Spec-Kit by github > AI

AI

Spec-Kit by github 정보

Spec-Kit by github

본문

https://sir.kr/ai/934 이전 글에 너무 간단하게 적어서 그런지 별 호응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https://github.com/github/spec-kit

이전 글 쓸 때 0.0.18이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0.0.20이네요.  아무래도 github에서 kiro를 앞서기 위해서(??)  출시한 것 같으니..  업데이트는 자주 될 것 같습니다.

 

어쨌든 유튜브에 한국어로 자세하게 셜멍이 나왔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3hIUZ6zcM2o

 

추천
1
  • 복사

댓글 7개

영상 잘 보았습니다.

저도 예전에 딱 저 영상처럼 생각해서

저렇게 해주는 툴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요즘에 느끼는건

저렇게 빡세게 플랜을 하나 그냥 적당히 플랜해서 만드나 많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AI 성능이 점점 더 좋아지는것 같습니다.

(플랜, 플랜, 하다보니 플랜 지옥에 빠지는것 같은 느낌이 들더라구요..ㅎㅎ)

 

그래서 저는 요즘 저렇게 플래닝 하는것은 안하고

아키텍팅에 좀 더 머리를 씁니다.

전체적인 아키텍팅을 잘 구상하고 데이터 흐름과 UX등을 고민한다음

최대한 하나의 프로그램이 커지지 않도록 잘 설계하고 구상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별로 AI에게 맡겨서 개발 하는 편인데요..

일단 AI에게 플래닝을 간단하게 시키고 그대로 진행하는 편입니다.

나온 결과를 보면 잘못하는 경우도 있고 의외로 내가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을 넣어놓은 경우도 있구요

 

어차피 프로젝트는 화면이 나오기 시작하면 그때 부터가 시작입니다.

그때부터 진정한 요구사항이 나오기 시작하고

기획을 얼마나 빡세게 했더라도 보이는 화면이나 구동되는 동작들이 나오면

요구사항을 또 변하기 마련이니까요..

 

그냥 제가 체감상 요즘 내린 결론이 그렇습니다 ㅎㅎ

 

 

@똥싼너구리 저야 지금은 많이 사용을 안한편이라서..  KIRO이후에 이런 류의 개발이 점점 대세가 되어가는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이전글에도 언급했었지만,  결국은 나머지 5-10%를 누가 잘 고쳐주느냐인 것 같습니다.

이 때 스펙을 잘 잡아서,  수정을 했을 때, 놀라울정도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느낌입니다.

@마젠토 

그렇죠 아마 저렇게 하면 아주 잘 개발될것 같습니다.^^

저도 나중에 프로젝트 정리 시기가 되면 한번 익혀 봐야 겠습니다!!

github 에 나온 사진 앨범 애플리케이션 예제를 만드는데 족히 30분~1시간 정도는 걸리는것 같네요. 기본으로 하니 nextjs+nodejs 로 만들어 주는것 같고, 추가로 라라벨+react 로 만들고 있는중인데 아직 결과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마지막 명령 /tasks 가 /sc:task 슈퍼클로드와 헷갈려 다시 작업중이네요 ㅠ

시간이 상당히 오래걸리네요. 예제 만드는데 1시간이 넘어가는듯 합니다.

클로드 코드가 월정액이기에 망정이지 종량제라면 함부로 접근하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ㅠ

@리자 대부분 월정액으로 쓰고 있어서 별문제는 없을 듯합니다.  아마 API로 쓴다면중국것으로 하면 조금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asks 에서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결과가 정상 작동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최소 1시간반 정도 걸려서 완성했는데 작동은 안하네요.

 

뭐 대충 이런 화면이 만들어 졌습니다. ㅎ

 

b44533953e5af93fe2e8117cb7e6455a_1757488799_885.png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