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이름 짓기 정보
도메인 이름 짓기
본문
언제나 어려운 일입니다.
도메인 방어 한다고 co.kr, kr, net까지 다 등록하고 몇 년동안 버린 돈이면 서버를 하나 샀을텐데 뭐하는 짓(?)인가 싶기도 하고...
작년부터 도메인 방어 신경 안 쓰고 내가 쓸 도메인만 연장하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내 도메인은 나 밖에 관심이 없었다는... 내가 연장 안 하면 당장이라도 다른 사람이 등록해서 유사 사이트를 만들어서 나를 곤란하게 만들지도 모른다는 괜한 노파심 때문에 몇 만원씩 10년을 넘게 꼬박꼬박 지불해 왔는데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와서...
도메인 방어는 사이트 인지도를 봐 가면서 해야겠어요. ㅡㅡ;
.kr 첫 등록 할 때도 새벽에 등록 예약 해 놓고 계속 클릭하다가 겨우 등록했는데 몇 년 지나고 보니 그 도메인은 나만 쓰고 있더라는... ㅎㅎ
어제, 오늘 도메인 하나 등록하려고 고민하고 있는데 도메인 방어까지 생각하고 있는 나를 보면서 옛생각이 났습니다. 허허허허~ 웃음이 납니다.
추천
0
0
댓글 7개
유명한 사이트 운영하시나봐요 도메인 몇개씩 방어도 하고
daum.com
daum.com

이글보니 어쩜그리 요즘의 제 생각과 똑같으신지.... 흥분해서 4개싹쓸이하고 눈떠보니 왜 그랬나..
그래서 요즘은 무리수를 둔 네이밍의 닷컴보다는 간단하면서 좋은이름의 .co.kr /.kr 만 등록하는 (.com 이나 .net은 이미 해외에서 선점해 줘서 고맙다는 인식의 전환) 게 더 좋더라구요.
닷컴을 써야한다면 .com만 등록하고 혹시나 나중에 따라쟁이들이 생기면 ooo닷컴 으로 이름을 바꾸면 되지 뭐 하는 생각의 전환..
편하고 쉽게 생각하면 별거아닌데, 어렵고 돈나가는 길을 왜 갔었나 싶네요.
그래서 요즘은 무리수를 둔 네이밍의 닷컴보다는 간단하면서 좋은이름의 .co.kr /.kr 만 등록하는 (.com 이나 .net은 이미 해외에서 선점해 줘서 고맙다는 인식의 전환) 게 더 좋더라구요.
닷컴을 써야한다면 .com만 등록하고 혹시나 나중에 따라쟁이들이 생기면 ooo닷컴 으로 이름을 바꾸면 되지 뭐 하는 생각의 전환..
편하고 쉽게 생각하면 별거아닌데, 어렵고 돈나가는 길을 왜 갔었나 싶네요.

아... 저랑 비슷하시네요. ㅎㅎ 저도 해외에서 com, net 등록 돼 있으면 오히려 고맙더라구요. ㅋ 그런 도메인만 찾기도 했어요.

저도 바보천사님처럼 뭐하나 하려면 도메인 네이밍을 우선시했는데요.
세상에서 나만가진이름이어야 돼 그래서 닷컴이 가능해야 하고, 나머지도 내가 가지고 있어야 돼..
다 부질없더라구요. 네임이란게 이리끼워맞추면 또 맞춰지고..
예를들어 이노xxx를 할래 하면 innoxxx , inno-xxx, inoxxx
엔xxx를 할래 하면 nxxx, enxxx, n-xxx 경우의 수가 많고 피곤하더군요.
게다가 좋은 이름은 닷컴이 이미 선점되어 있으니, 약간 비틀어야 하는데
누가 이런 이름을 직관적으로 이해할까 싶고..
그래서 요즘은 업무적으로 할 것은 남들도 쉽게 공감가고 진지하게 자연어에 가까운 .co.kr 이 더좋아요.
세상에서 나만가진이름이어야 돼 그래서 닷컴이 가능해야 하고, 나머지도 내가 가지고 있어야 돼..
다 부질없더라구요. 네임이란게 이리끼워맞추면 또 맞춰지고..
예를들어 이노xxx를 할래 하면 innoxxx , inno-xxx, inoxxx
엔xxx를 할래 하면 nxxx, enxxx, n-xxx 경우의 수가 많고 피곤하더군요.
게다가 좋은 이름은 닷컴이 이미 선점되어 있으니, 약간 비틀어야 하는데
누가 이런 이름을 직관적으로 이해할까 싶고..
그래서 요즘은 업무적으로 할 것은 남들도 쉽게 공감가고 진지하게 자연어에 가까운 .co.kr 이 더좋아요.

저는 괜찮은 이름이다 싶으면 일단 메모해 두기만 하는데 가끔 너무 괜찮다 싶어도 참습니다.ㅎㅎㅎㅎㅎ

일단 등록을 하게 되면
매년 어쩔 수 없이 연장하게 되는 것 같아요.
뻔한 욕심일 수 있는데 ㅎㅎ 그래도 놓아주지 못하는 욕심이....
매년 어쩔 수 없이 연장하게 되는 것 같아요.
뻔한 욕심일 수 있는데 ㅎㅎ 그래도 놓아주지 못하는 욕심이....

도메인이 중요하긴 합니다만....
정작 일반 사용자들은 네이버나 다음으로 검색해서 들어오는 비율이 더 크지 않을까요...
전 그래서 도메인은 별 신경안씁니다.
정말 비슷한 도메인으로 누군가 유사한 사이트만들어 놓을 정도면 유명하다는건데, 그 정도면 어차피 별 신경안써도 사용자들이 알아서 들어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작 일반 사용자들은 네이버나 다음으로 검색해서 들어오는 비율이 더 크지 않을까요...
전 그래서 도메인은 별 신경안씁니다.
정말 비슷한 도메인으로 누군가 유사한 사이트만들어 놓을 정도면 유명하다는건데, 그 정도면 어차피 별 신경안써도 사용자들이 알아서 들어오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