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개인사업자 정보
프리랜서 개인사업자본문
프리랜서는 개인사업자 안내고 일하는게 유리합니까?
개인사업자 내고 일하는게 유리합니까?
개발은 소득세가 40%가 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추천
0
0
댓글 3개

원칙대로라면 사업자등록을 하는게 맞습니다.
수익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 뭐 그렇게들 말 하는데 우리 사회가 그렇게 아릅답지는 않은 거 같아요.
혼자 집에서 작게 하는 일이면 굳이 사업자등록 하지 않는 게 낫지 않나 싶네요.
사업자등록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많이 오를거에요.
하청 받을 때는 일용직이나 계약근로자로 해서 3.3% 원천징수 방식으로 하면 되고요 개인 거래 위주로 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거기까지가 한계입니다.
1인 기업이지만 계속해서 키워나갈 마음이 있다면 사업자등록은 가능하면 빨리 하는 게 낫습니다.
단돈 만원이라도 세금 신고하는 게 낫고요.
나중에 투자나 대출 받을 때 참고가 많이 되요.
30대까지는 창업 지원 하는 곳이 여러 개가 있는데 중기청이나 지자체, IT면 과기부에서 시행하는 것도 있고요.
스타트업 창업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게 대부분이라 회사를 키워 나갈 것인지 1인 프린랜서 형태로 계속 갈 것인지를 결정 하셔야 할 거 같아요.
소득세 40%는 처음 들어봐요.
간이과세로 신고하시고 부가세 말고 다른 세금이 또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수익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 뭐 그렇게들 말 하는데 우리 사회가 그렇게 아릅답지는 않은 거 같아요.
혼자 집에서 작게 하는 일이면 굳이 사업자등록 하지 않는 게 낫지 않나 싶네요.
사업자등록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많이 오를거에요.
하청 받을 때는 일용직이나 계약근로자로 해서 3.3% 원천징수 방식으로 하면 되고요 개인 거래 위주로 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거기까지가 한계입니다.
1인 기업이지만 계속해서 키워나갈 마음이 있다면 사업자등록은 가능하면 빨리 하는 게 낫습니다.
단돈 만원이라도 세금 신고하는 게 낫고요.
나중에 투자나 대출 받을 때 참고가 많이 되요.
30대까지는 창업 지원 하는 곳이 여러 개가 있는데 중기청이나 지자체, IT면 과기부에서 시행하는 것도 있고요.
스타트업 창업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게 대부분이라 회사를 키워 나갈 것인지 1인 프린랜서 형태로 계속 갈 것인지를 결정 하셔야 할 거 같아요.
소득세 40%는 처음 들어봐요.
간이과세로 신고하시고 부가세 말고 다른 세금이 또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바보천사님의 글은 일목요연하네요^^ 감사합니다^^

일반사업자 내고 하셔요.
세금계산서 발행을 할수 있어야, 기업간 거래가 편하지 않나요. 그래야 계약도 잘 되고요.
회계담당자들도 원천징수 처리 다들 귀찮아 해요.
그리고 종합소득세 많이 낼 만큼 매출 끌어 올리기도 힘들어요.
세금계산서 발행을 할수 있어야, 기업간 거래가 편하지 않나요. 그래야 계약도 잘 되고요.
회계담당자들도 원천징수 처리 다들 귀찮아 해요.
그리고 종합소득세 많이 낼 만큼 매출 끌어 올리기도 힘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