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패널] Sentora 1.0.0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웹패널] Sentora 1.0.0 정보

[웹패널] Sentora 1.0.0

본문

@ Sentora 1.0.0 설치

 

CentOS 7 설치에 대해서는 여러 블러그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설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CentOS 7 최소(minimal)설치후 진행 하였으며, Sentora 설치 진행시에는 #은 제외하고 입력 하여 주시고, 이번 자료는 나누미 사이트에 리포팅 하기 위해서 VMWare 에서 작업한 내용을 캡춰한 것 입니다.
우선 자신의 서버 쉘 환경으로 접속 하셔서 아래와 같이 입력후 엔터를 클릭후 진행 합니다.


# bash <(curl -L -Ss http://sentora.org/install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074_5498.png

 

Sentora 설치에 앞서 설치에 필요한 OS 및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진행이 됩니다.
업데이트가 끝나면 서버 설치될 국가를 선택하게 됩니다. 해당 국가 지역의 번호를 입력하고 엔터를 클릭하시면 설치 다음 단계로 이동 됩니다. 설치시 영문이지만 보시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겁니다.
저는 미국이므로 1번을 선택 했습니다. 한국이라면 5번 아시아을 선택 하시면 되겠죠....^^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090_5329.png

  

이번에는 국가 선택이을 입력합니다. 앞서 말씀 드린것 처럼 저는 미국에 있으므로  49번의 United States를 선택 하고 엔터를 클릭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08_7678.png

 

서버가 사용될 타임존을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저는 미국 동부에 있으니 1번 이스턴타임을 선택하고 엔터를 칩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20_0685.png
  

다음 선택은 국가와 타임존이 맞는지 재차 확인하는 절차 입니다. 맞다면 1번 틀리면 2번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29_8762.png

 

다음은 서버 정보에 관해서 질의 하는 것인데 첫번째로는 도메인네임을 입력하거나 그냥 엔터를 치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 이미지의 두번째와 같이 자신의 서버 IP 주소가 출력 되는데 맞으면 엔터를 치고 다음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39_9171.png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49_732.png

 

서브도메인이 아니라는 워닝과 DNS 가 성공적으로 해결 되었다는 안내와 함께 서버 파라미터 값이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 입니다.
설정안 서버도메인과 IP 값이 같다면 y를 입력하고  엔터를 클릭 합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60_465.png

 

Sentora 웹패널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팩키지와 APM을 다운받아 설치를 진행 합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70_4596.png

설치가 끝났으니 재시동 해도 되냐는 물음에 y를 입력하고 엔터를 클릭 합니다.
재시동 되었을때 CentOS7 설치 했을때 사용한 관리자 아이디인 root 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합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84_8893.png

  

아래 이미지와 같이 root 폴더에 ls를 이용하여 passwords.txt 파일이 생성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vi 를 이용하여 패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 합니다.
# vi passwords.txt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194_2444.png

 

도메인이나 IP로 접근 했을때 웹패널 로그인에 사용될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하단 이미지에서 보는바와 같이 zadmin 과 nRWHbpVAqSjdMfOs 입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202_9734.png

  

이제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자신의 서버 IP 또는 localhost 로 이동 합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213_7014.png 

웹브라우저에 Sentora 웹패널 초기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위에서 확인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해 로그인 합니다.
아래 이미지는 로그인한  Sentora 웹패널 모습 입니다....^^

  

37660db323da89a938868faffdeec143_1446518226_88.png

 

설치시 함께 적용된 프로그램의 버전 입니다.


Sentora - (Current Version)
•MariaDB - 5.5.41
•Apache - 2.4.3
•PHP -5.4.16
•Bind - 9.9.2-P1
•phpMyAdmin - 4.0.10.1
•RoundCube - 0.9.2 *
•Dovecot  - 2.0.9
•Postfix  - 2.6.6
•proFTPd - 1.3.3g

 

Sentora 웹패널을 설치하고 잠시 살펴 본 바로는 다른 유료 웹패널에 비해서 다소 관리및 설정하는 부분이 약해 보이나 꼭 필요한 기능은 탑재하여 개인이 사용하는 서버에서는 훌륭하게 웹패널 역활을 수행 할것으로 봅니다.
사용 설정과 한글화 작업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자세하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nanoomi.org/bbs/board.php?bo_table=03_1&wr_id=47

 

추천
1
  • 복사

댓글 9개

글고 z패널경우 한글화가 어느정도 진행되어져 있습니다. 번역본 다운받아 설치하심 되구요 위 패널도 동일해보이기때메 언어팩 사용할수있을것 같습니다 :)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