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고수에게 질문합니다.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네트워크 고수에게 질문합니다. 정보

네트워크 고수에게 질문합니다.

본문

보통 집이나 사무실에서 빠른 인터넷을 쓰면서 Static으로 5개정도의 IP를 받아서 사용합니다.

 

네트마스크가 255.255.255.248(?)인가요?  

 

번호 5개.. xxx.xxx.xxx.18-22까지 5개 라고 가정하고..

 

21과 22에 2개의 웹서버를 사용하고..

 

18번은 로컬 라우터통해서 인트라넷용으로 서버를 운영한다고 했을 때..

 

질문..

 

아이피 22번이 해킹당하면, (셋중에 하나가)

 

나머지 18번과 21번의 해킹 당할 위험도는 어느정도 될까요?

 

   

 

 

추천
0
  • 복사

댓글 8개

웹취약점 있을때 , 웹쉘 업로드하면 다 뚫리는거 아닐까요?
왜냐면, 80포트는 보통 모두 열어두니깐요.
짧은 생각입니다.^^
네트워크 공격인 DDOS 나 ARP Spoofing 등의 공격이 아닌
단순 웹서버의 공격이라면 한 서버에만 피해가 갑니다.
왜냐하면 각각 독립된 서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nas 등을 이용하여 웹서버간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진다면 csrf 로 양 쪽 공격 다 가능하겠죠
공유등은 없습니다.  단순가정은 두 아이피로 나눠져 있다는 것입니다. 즉 물리적 공간만 같이 있다는 것이죠..

둘다 차단은 완벽하다고 가정하에.. 직원 실수로 해킹툴이 한쪽에 깔려 있을 때..

네트마스크로 쌓여져 있는 비슷한 아이피를 타고 넘을수 있느냐죠?

비슷한 것이 이중 라우터로 되어 있는 것을 타고 넘어갈수 있느냐와도 비슷할것 같습니다.
그렇죠.  2개가 다른 방법으로 해킹되지 않는 이상은..

어차피 물리적으로 같은 장소에 5개의 아이피를 준것이지만,  실제로는 미국과 한국에 떨어져 있는 아이피와 같다고 봐야죠.. ㅎㅎ

두개의 아이피중 하나는 메인 인트라넷으로 쓰고..(보안상)..

다른 한개의 아이피는 라우터를 하나 붙여서 직원들의 스마트폰용 와이파이로 쓰고 있는데..  전산팀에서 보안상 안된다는 궤변을 하고 있어서..

하도 오랜만이라 저도 헷갈려서 물어봤습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