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플라스틱 먹을 날만 기다리고 있다! 이것은 아니잖아? 정보
인간이 플라스틱 먹을 날만 기다리고 있다! 이것은 아니잖아?본문
며칠 전에 기사로 보았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이것은 아닌 것 같지요?
아닌 것 같습니다. 나 보다는..
내 새끼들이 더 많이 먹을 것 같아.. 아주 불안해 집니다!
기사 내용은 바다거북이 코에..
인간이 버린 빨대가 들어가 호흡이 곤란하였고
그래서 꺼내주었다.. 이렇게 시작은 합니다.
잘 했지요?
지난 2008년 두 마리의 향유고래가 사체로 발견됩니다.
한 마리는 엄청난 양의 쓰레기로 인해 위가 파열되었고..
다른 한 마리는 위에 축적된 플라스틱으로 인해
다른 먹이가 들어갈 공간이 없어 굶어 죽었습니다.
우리가 원한 것 절대 아닌데.. ㅡㅡ/
하와이 제도의 미드웨이 섬은..
거대한 바닷새인 알바트로스의 서식지로 유명한데요.
약 200만 마리의 알바트로스가..
이곳에서 둥지를 틀어 새끼를 키우는데
약 1/3이 굶어 죽었습니다.
큰 날개를 저어 태평양도 건너가는 그들이..
이 덩치 큰.. 알바트로스님들께서.. 귀한 자식에게..
플라스틱을 보고는 먹이 맞지?.. 하고는 물어도 주었다 합니다.
알바트로스 부모들 마음이 어떨지 상상이 되네요. ㅡㅡ
우리만 자식 키웁니까? 야들도 키웁니다. ㅠㅠ
미안하다 신천옹! 그러니 니들이 바보소리 듣는 겨.. ㅡㅡ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어마어마 한데요.
이 수치는 의미가 없겠습니다. 너무 많아서요.
미국인 1명이 1년 평균 소모하는 플라스틱은 100kg,
세계인의 1인 평균 소모량은 40kg..
우리 주변에서 늘 보잖아요?
모든 일회용 플라스틱 엄청 나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거의 대부분이 플라스틱 제품들 이네요. ㅠ
지난해 발표된 유엔환경계획(UNEP)의 보고서는
1000만~2000만 톤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합니다.
2014년 12월.. 오대양에 떠다니는 플라스틱의 총 무게는 25만 톤 이상이다.
이런 발표가 있고 난 후, 최근에 다시 조사를 했데요?
그 이상이다. ㅡㅡ
어? 그러면 나머지 플라스틱은 모두 어디로 갔지?
이놈의 태양.. ㅠ
바다에 오랫동안 떠다니는 플라스틱 병이나 비닐봉지들이..
태양의 자외선 및 파도와의 마찰 등에 의해 미세 입자로 분해된다..
그리고 또 하나는? 해저로 가라앉아 안 보인다. ㅡㅡ
자.. 이제.. 골치아픈 이야기에요?
이미 물고기와 한몸이 되었다!
미세 플라스틱 입자의 대부분은
그 크기가 모래알이나 주사바늘 구멍보다 더 작다.
심지어 1㎜의 1/1000인 1㎛ 크기의 미세 플라스틱도 발견된 적이 있다.
물고기가 먹고 내장기관에 머무르면 그나마 다행이나..
아.. 된장.. 아가미로 들어가서는.. 몸으로 들어가 버린다.
다행?스럽게도.. 플라스틱을 인간이 먹어..
해가 되지는 여부는 아직 안 밝혀 졌다고 합니다.
동물들에게는 해가 되는 것 맞고요.. 안 다행스럽지요..
이런 조사결과를 가지고.. 몽땅 분석한 결과!!
2050년에는 바닷새의 99%가 플라스틱을 먹게 된다!
바다를 뒤덮고 있는 쓰레기..
돌고 도는.. 먹이사슬..
이제 우리가 먹을 차례!
며칠 전 본.. 기사링크.. < 좀 더 정교한 내용이 담겨 있음다.
////////////////////
우리가 버린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들어가서는..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됩니다.
이 미세입자를 몸에 지닌 물고기가 인간들 식탁에 올라옵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저 작은 미립자들을 어떻게 발라서 주겠어요.
안 버리면 되는데.. ㅡㅡ 덜 만들어도 충분해 보이는데..
인간들 살아온 모습 보니까.. 풍요 다음 꼭. 빈곤이 오던데.. ㅡㅡ
////////////////////
1. 바다 스스로 쓰레기를 청소하게 만든 스무 살 청년
2. 리그닌’을 추출, 플라스틱 대체 물질 개발 진행 중!
//////////////////
추가 : 2015.11.20 00:07
소금에서 미세플라스틱 발견 됨.. ㅜㅜ
거저리(밀웜)들 바다에 풀어 놓으면 안 되나? ㅡㅡ
산소호흡기라도 장만해 주고..
산소통 하나 씩 매달아서 투입하면 ㅠㅠ
중국산 소금(해수염)에서 플라스틱이 발견 되었다. < 상세정보는 클릭요..
연구팀은 해수염, 호수염, 암염, 약용소금 형태의 15개 브랜드 소금을 조사하였고
200μm 이하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이
소금에 포함된 전체 미세플라스틱의 55%를 차지했다. 발표하심..
소금 속에 55%가 들어있다는 뜻은 다행스럽게도 아님.. ㅡㅡ 우짜냐 이제 ㅡㅡ
괴기는 피한다 하여도.. 소금은 먹어야 하는데.. ㅠ
조사결과..
해수염은 호수염에 비해 미세플라스틱양이
두 배(1kg당 550~681개 입자)나 많았고,
암염보다는 3배가 많게 나타났다.
어찌되었던.. 중국소금을 먹는 것은?
매일 소금섭취량은 5g 먹는다 가정했을 때?
"사람들은 매년 미세플라스틱 1,000개 입자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연구는 중국에 한정되었지만 전 세계 다른 지역도 안전하지는 않다!"
(연구팀 말씀이라 하심..)
0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