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높이 상승 원인이 뭐지? (수정요함) 정보
해수면 높이 상승 원인이 뭐지? (수정요함)본문
해수면 높이 상승 원인이 뭐지?
갑자기 궁금했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문제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닌 것 같아서..
검색을 하다 보니..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1. 해양 수온 상승,
2. 그린란드와 남극 얼음층 해빙,
3. 기타 산악지대와 알래스카 빙하 해빙.
가장 큰 요인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렇게 된 이유.. 근본적인 원인은.. 이산화탄소
글쿤.. 정작 중요한 내용을 빼 먹었네..
1번 이산화탄소 체체로 수정요함.. ㅡㅡ
/////////////////
북극해의 얼음은 모두 녹는다 하여도..
해수면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물 위에 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것에 해당하는 북극해는 뺐다. ㅡㅡ/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북극해의 해빙은..
1975년부터 2012년 사이 65%나 줄어들었다.
하지만 해수면은 뭐 이렇게 많이 녹았다 하는데도? 빈둥빈둥..
컵에 물을 담아 얼음을 띄운다. 동동동..
물이 넘칠 만큼 꽉 채웠다. 그리고 얼음을 넣었다.
컵 밖으로 툭 튀어 나온 얼음이 모두 녹으면 넘칠 것이다?
얼음은 물 보다 비중이 작아 가볍다..
컵 속의 얼음은 녹아도 무게와 물의 질량 변화는 없다.
이런 사연으로..
북극해의 해빙 모두 녹는다 하여도 해수면 상승은 없다.
해빙(海氷)일 때 만이다..
물위에 떠 있는 빙산인 아이들만 그렇다.
땅에 있는 것과 물에 떠 있는 아이들 녹는 속도가 다르다?
//////////////////
해양 수온 상승
온도가 올라가면.. 플랑크톤이 늘어난다
플랑크톤이 번식하면? 이산화탄소를 많이 흡수하겠지요?
이산화탄소를 먹어 치우니.. 고마운데요.
이것이 꼭 그렇지만은 않다! 네요.. 요즘 노는 꼴을 보니..
다시 해양 표면층의 수온을 높이는 ‘악순환’을 유발했다.
플랑크톤이 북극 온난화를 20%까지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온난화에 의한 수온 상승이 5~6도라면
여기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영향까지 더해져
실제로는 6~7도가 상승하게 된다는 뜻이다.
요로코롬 놀고 있다. 바다에 사는 식물성 플랑크톤 님께서..
//////////////////
그린란드와 남극 얼음층 해빙
그린란드의 얼음이 모두 녹으면?
지구 해수면은 7m 높아진다.
6m 표현 문서가 가장 많이 보이고,
뭐 이쯤 되어도.. 치명적이네..
높은 산속으로 들어가면 살 수는 있을지도..
..............................
남극이 녹으면 어떻게 되지?
남극의 얼음은 대륙 위에 있는 얼음이기 때문에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한다.
모두 녹았을 경우 대략 60m 이상 높아진다.
지구의 대부분 육지는 사라지겠당.. ㅜㅜ
추가 : 2015.11.03 11:51
정말 다행이다.
//////////////////
기타 산악지대와 알래스카 빙하 해빙
요즘 보니까 알래스카의 얼음도 녹고 있다는 것 같은데..
그러다 보게 된 기사..
텐산 산맥의 빙하 가운데 약 4분의 1(27%)이 소멸했다.
알프스 빙하 50년여 만에 519㎞서 368㎞로 줄어..
과거 보다 2배는 빨라져서..
이제는 다시 예측을 해야 한다고 하는 기사도 보인다.
................................
지구 온난화로 얼음이 녹아 궁지에 몰린다 하지를 않나..
빙하기가 온다고 하지를 않나..
(지구 온난화 현상과 빙하기 같이 진행 중이라 함)
소행성 충돌하면 한방에 간다는 이야기에..
화성에서 물 봤다! 사건 이후, 외계인 침공설까지..
//////////////////
울나라는?
왜 이렇게 높을까.. 2010년 측정값.. 지난 43년간,
우리나라 주변 해양의 표층수온은 1.29도 상승했다.
세계 평균은 0.40도.. 3배가 넘는 셈이다.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문제점..
1. 일단 제일 먼저.. 잡히는 물고기가 달라 지겠지요.
수산업계는 변화에 대비를.. ㅡㅡ
2. 큰 문제는 육지가 사라지면서..
덩 달아 사라지는 나라들이 생깁니다.
남태평양의 키리바시와 투발루,
인도양의 몰디브 등은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를 잃었고. 나라를 포기하였다.
투발루 총리 “바닷물 들어와도 국토 포기 안해” < 2012년
투발루는 9개섬 가운데 벌써 2곳이 바다에 잠겨
정부는 국토 포기를 선언했다. < 2015년
3. 태풍 피해도 심해졌을 것 같아 검색을 했으나
국내에 피해를 끼친 영향력 있는 태풍 정보는 없다..
아마도 태풍의 습관 때문 아닐까.. 우측를 공격하는 성격..
일본이 많이 다친 것은 아닌지..
4.
//////////////////
막으면 되지!
과학자들의 말씀 > 방법이 없다!
너무 빠르게 녹고 있는 남극의 토텐빙하, 막을 방법도 없다.
남극의 토텐빙하가 모두 녹으면,
전 세계 해수면은 적어도 3.5m 상승할 것으로 보여진다.
남극 한쪽에서 빙하가 녹고 있지만 이 영향은 전 세계에 걸쳐 나타난다.
해수면이 언제 정확히 높아지느냐에 따라
인류는 침수되는 지역에서 다른 곳으로 이주를 해야 한다.
/////////////////
결론 이 모든 것의 원인은 지구 온난화 탓이라 하며
노력을 해도 멈출 수 없다.
지구 온난화, 자연 주기설이던, 인간의 잘못이던 현재 지구는 이렇다..
남극의 빙하가 증가하는 이유도 온난화 영향이라고 한다.
/////////////////
1. 해빙 (解氷) > 얼음이 녹아 풀림.
2. 해빙 (海氷) > 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얼음.
////////////////
추가 : 2015.10.14 14:38
수상하였던 정보 수정합니다.
If the Antarctic ice sheet melted, it would raise global sea level by nearly 60 metres.
남극의 얼음이 모두 녹을 경우, 전 세계의 해수면은 60m 정도 상승할 것이다.
그린란드의 60m 정보는 오타로 사료 됩니다. 남들 모두 남극이라 하고..
그린란드 정보는 대부분 5 ~ 최대 10m 였습니다. 평균치 6m
감사!
0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