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5+css3+jquery 견적비용은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정보
html5+css3+jquery 견적비용은어떻게 생각하시나요?본문
안녕하세요
웹디10년차입니다
10년차라고해도 회사에 있다가 이제 나왔으니 틀에박힌 디자인만 하다가 이제 날개를 펼까합니다
질문은요
html5+css3+jquery로 페이지6 짜리로 홈페이지 만드는 비용은 얼마로 견적을 내야 할까요?
아는사람한테 물어보니 기존홈페이지보다1.5배는 더 받아야 한다는사람도 있고 아니면 두배정도 말씀하시던데
견적이 참 어렵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이 알고 싶습니다
웹디10년차입니다
10년차라고해도 회사에 있다가 이제 나왔으니 틀에박힌 디자인만 하다가 이제 날개를 펼까합니다
질문은요
html5+css3+jquery로 페이지6 짜리로 홈페이지 만드는 비용은 얼마로 견적을 내야 할까요?
아는사람한테 물어보니 기존홈페이지보다1.5배는 더 받아야 한다는사람도 있고 아니면 두배정도 말씀하시던데
견적이 참 어렵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이 알고 싶습니다
추천
0
0
댓글 20개

페이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능이 중요하겠죠..
어떤 기능에 어떤 디자인의 퀄리티를 원하는지 상세하게 상담을 하고나서 견적을 잡으시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어떤 기능에 어떤 디자인의 퀄리티를 원하는지 상세하게 상담을 하고나서 견적을 잡으시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엘남매아빠님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플래시 대신에 jQuery 로 동적인 부분을 처리하신다면 더 적게 받으셔야죠. 플래시는 경력이 있으시니까 잘 아시겠지만 완전 개삽질이지만 jQuery 는 플래시에 비해 무지 간단하니까,....
더군다나 테이블 코딩이 아니라 css + html5 코딩이라면 그부분도 더 저렴해져야죠. 얼마전 10년전 테이블 코딩으로 짜여진 (어쩌면 10년도 더 전에 짜여진걸수도) 페이지를 div 코딩으로 바꾸는데 눈알이 빠지는 줄 알았습니다.
css 나 jQuery, html5 코딩이 모두다 웹구축을 더 빠르고 쉽게 할수 있기위해 나온 standard 인데, 웹구축 비용이 더 비싸진다는 건 말이 안되죠.
물론 한국에서의 웹구축비용자체가 말이 안된다고도 생각합니다.
제가 만약에 한국에서 웹구축을 해야한다, 그걸로 밥을 먹고 살아야 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차라리 편의점 알바로 일을 하겠습니다. 짜장면 배달을 하던가.
더군다나 테이블 코딩이 아니라 css + html5 코딩이라면 그부분도 더 저렴해져야죠. 얼마전 10년전 테이블 코딩으로 짜여진 (어쩌면 10년도 더 전에 짜여진걸수도) 페이지를 div 코딩으로 바꾸는데 눈알이 빠지는 줄 알았습니다.
css 나 jQuery, html5 코딩이 모두다 웹구축을 더 빠르고 쉽게 할수 있기위해 나온 standard 인데, 웹구축 비용이 더 비싸진다는 건 말이 안되죠.
물론 한국에서의 웹구축비용자체가 말이 안된다고도 생각합니다.
제가 만약에 한국에서 웹구축을 해야한다, 그걸로 밥을 먹고 살아야 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차라리 편의점 알바로 일을 하겠습니다. 짜장면 배달을 하던가.
cshop2 님 댓글 감사드립니다
저도 편집프로그램 쿽부터 시작해서 배웠어요 플래시,에디터,포토샵,일러가 제 작업툴이구요 저는기획부터 시작해서 코딩까지 모두 해내야하는 쇼핑몰업체에 있었던지라 감이 좀 오시죠? ㅋ
근데 지금은 모바일환경으로 인해 html5,css3,jquery를 따로배우고 지금도 배움이 진행중입니다
그래서 변해야 한다는 겁니다 플래시의 노동은 압니다 저도 플래시 중급정도는 하거든요
문제는 모바일환경이 또다른 것들을 요구하기 때문이지요
아무쪼록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도 편집프로그램 쿽부터 시작해서 배웠어요 플래시,에디터,포토샵,일러가 제 작업툴이구요 저는기획부터 시작해서 코딩까지 모두 해내야하는 쇼핑몰업체에 있었던지라 감이 좀 오시죠? ㅋ
근데 지금은 모바일환경으로 인해 html5,css3,jquery를 따로배우고 지금도 배움이 진행중입니다
그래서 변해야 한다는 겁니다 플래시의 노동은 압니다 저도 플래시 중급정도는 하거든요
문제는 모바일환경이 또다른 것들을 요구하기 때문이지요
아무쪼록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와... + 헉 ^^
10년차이신데 퀵을 아시네요. :D
10년전이면 Quark 보다는 InDesign 이 대세아니였나요? 아닌가? 맥에서는 아직도 퀵 쓰던 때였나?
암튼.. ㅋㅋㅋㅋ
여기 게시판에 10명중 9명은 퀵이 뭐야? 먹는거야? 이럴것 같은데... 저는 어려서 디자이너가 알더스 (Aldus) 쓰는것도 봤지요. ㅎㅎㅎㅎ 대략 93년정도...
10년차이신데 퀵을 아시네요. :D
10년전이면 Quark 보다는 InDesign 이 대세아니였나요? 아닌가? 맥에서는 아직도 퀵 쓰던 때였나?
암튼.. ㅋㅋㅋㅋ
여기 게시판에 10명중 9명은 퀵이 뭐야? 먹는거야? 이럴것 같은데... 저는 어려서 디자이너가 알더스 (Aldus) 쓰는것도 봤지요. ㅎㅎㅎㅎ 대략 93년정도...
딴지 거는건 아닌데 10년전에 인디자인이 있었나요?;
전 10년전이면 페이지메이커만 있는줄 알았었는데..ㅎㄷㄷ 하네요 ㅎㅎ
전 10년전이면 페이지메이커만 있는줄 알았었는데..ㅎㄷㄷ 하네요 ㅎㅎ

재순님 말이 맞아요~ 인디자인의 전신이 페이지 메이커죠 ~ㅎ 저도 쿽 3.3K 쓰다가 지금은 아범으로 넘어와서 인디자인만 쓰고 있네요 쿨럭. ㅜ

작업일 * 하루 일당 + @( 사용 이미지, 폰트등등 비용, HTML5 코딩에 따른 비용) = 비용
스카이 워러님 답변감사드립니다^^
참고하겠습니다
참고하겠습니다
css3나 html5가 웹을 빠르고 쉽게 구축할 수 있게 한다면 클라이언트가 빠르고 쉽게 배워서 구축하면 될걸 굳이 의뢰할 필요가 있을까요??? 자신이 못하는 일을 누군가의 노동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합당한 대가를 지불함이 마땅하지요
그런 개발의 기술적 측면들의 발달이 디자이너나 프로그래머의 가치를 평가절하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개발자 또는 웹개발에 문외한인 사람들에 비해 새로운 개발능력을 갖추는 일은 분명 시간과 노력의 투자이며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한데 왜 비용상승이 말이 안된다는 것인지가 오히려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디자인 역시 그렇지만 프로그래밍 역시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한 영역임이 분명한데 타깃에 대한 고민과 전개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없지요
엘남매아빠님 말씀처럼 페이지 분량이나 개발환경보다는 기능과 요구되는 퀄리티에 대해 정확히 상담하시고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런 개발의 기술적 측면들의 발달이 디자이너나 프로그래머의 가치를 평가절하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개발자 또는 웹개발에 문외한인 사람들에 비해 새로운 개발능력을 갖추는 일은 분명 시간과 노력의 투자이며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한데 왜 비용상승이 말이 안된다는 것인지가 오히려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디자인 역시 그렇지만 프로그래밍 역시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한 영역임이 분명한데 타깃에 대한 고민과 전개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없지요
엘남매아빠님 말씀처럼 페이지 분량이나 개발환경보다는 기능과 요구되는 퀄리티에 대해 정확히 상담하시고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토키메키님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에 사촌오빠 홈페이지를 반응형웹페이지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오빠는 스마트폰에서 안보여도 좋으니 피시에서만 보면 이상없는걸로 해서 무조건 싸게만 그리고 뭔가 플래시만 넣어서 약간 움직임이 있는걸로만 요구합니다
참 답답하고 말이 안통하지만 반응형홈페이지는 내렸습니다
암튼 감사드립니다 여기라도 털어놓으니 그래도 속이 좀 시원한듯합니다
이번에 사촌오빠 홈페이지를 반응형웹페이지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오빠는 스마트폰에서 안보여도 좋으니 피시에서만 보면 이상없는걸로 해서 무조건 싸게만 그리고 뭔가 플래시만 넣어서 약간 움직임이 있는걸로만 요구합니다
참 답답하고 말이 안통하지만 반응형홈페이지는 내렸습니다
암튼 감사드립니다 여기라도 털어놓으니 그래도 속이 좀 시원한듯합니다

저는 그냥 마켓의 현실을 말하고 있을 뿐 입니다. 10년전 사이트 구축비용이 현재 구축비용의 10배 가까이 되었을 겁니다. 동일한 기능의 사이트라면.
그 동일한 기능을 플래시로 짜느냐, 아니면 여러가지 .js library 와 asset 들을 사용해 짜느냐에 따라 근로자의 노동시간 과 강도가 달라집니다.
그리고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것은 jQuery 에 비교해서 플래시로 작업 하는 경우, 노동의 강도도 엄청나고 시간도 매우 오래 걸린다는 것 이겠죠?
jQuery 가 나온게 8년전이고 css (css 2.1 나 css3 나 거기서 거기죠) 는 더 오래되었고, 이 것들이 신기술도 아닌데, 이것들을 쓴다고 "새로운 개발능력" 을 가졌다고 말하기는 좀 그렇네요.
이 문제와는 별도로 한국에서 사이트 구축에 "합당한 대가" 가 지불되고 있는가?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한국분들 일도 안맡아서 해보고 하는 얘기가 아닙니다.
그 동일한 기능을 플래시로 짜느냐, 아니면 여러가지 .js library 와 asset 들을 사용해 짜느냐에 따라 근로자의 노동시간 과 강도가 달라집니다.
그리고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것은 jQuery 에 비교해서 플래시로 작업 하는 경우, 노동의 강도도 엄청나고 시간도 매우 오래 걸린다는 것 이겠죠?
jQuery 가 나온게 8년전이고 css (css 2.1 나 css3 나 거기서 거기죠) 는 더 오래되었고, 이 것들이 신기술도 아닌데, 이것들을 쓴다고 "새로운 개발능력" 을 가졌다고 말하기는 좀 그렇네요.
이 문제와는 별도로 한국에서 사이트 구축에 "합당한 대가" 가 지불되고 있는가?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한국분들 일도 안맡아서 해보고 하는 얘기가 아닙니다.
새로운 웹표준(대중화되지않았지만 자바스크립이나 제이쿼리는 오래된기술이긴하져)방식
덕분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건 저 하나인가요..
정말 개발자분들은 쉽게 느껴지실지도 모르겟네여.
전 디자이너라 정말 혼란이 ...대혼란이...ㅠㅠ
헬프미...
쉬운코딩이라해도.. 처음엔 비용이 들지않나여.. 라고 생각하는 1인..
덕분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건 저 하나인가요..
정말 개발자분들은 쉽게 느껴지실지도 모르겟네여.
전 디자이너라 정말 혼란이 ...대혼란이...ㅠㅠ
헬프미...
쉬운코딩이라해도.. 처음엔 비용이 들지않나여.. 라고 생각하는 1인..
북극곰님 답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북극곰님의 의견에 적극동감이 됩니다
저는 디자이너지만 웬만한건 다해야 하는 쇼핑몰 노가다를 주업무로 했는데요
그러고보니 새로운툴을 하나 접하고 코딩하는방식마저 다르다는것은
극심한 스트레스입니다
그래도 새로운것을 알아간다는것은 또하나의 즐거움중 하나더군요
모두 힘내자구요
제 글에 이렇게 많은 분들이 글을 올려주셔서 외롭다는 생각은 이제 버려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북극곰님의 의견에 적극동감이 됩니다
저는 디자이너지만 웬만한건 다해야 하는 쇼핑몰 노가다를 주업무로 했는데요
그러고보니 새로운툴을 하나 접하고 코딩하는방식마저 다르다는것은
극심한 스트레스입니다
그래도 새로운것을 알아간다는것은 또하나의 즐거움중 하나더군요
모두 힘내자구요
제 글에 이렇게 많은 분들이 글을 올려주셔서 외롭다는 생각은 이제 버려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음..저도 테이블코딩인데요. 시대에 뒤쳐지는 것 같아서 요즘 웹표준 배우고 있는데요. ㅡㅡ;;
웹표준으로 만들면 더 받아야 하는거 아닌지요? 크로스브라우징이다 뭐다....거기다가 모바일에서도 반응하는 제이쿼리까지...넣으면 더 많은 작업비용을 받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음....작업 두개를 하고 있는데...테이블로 간단하게 되는 것을 DIV로 힘들게 계산기 두둘겨 가면서 하고 있어요..ㅠㅠ
근데 막상 완성된 페이지를 보면 수정은 확실히 DIV코딩이 쉽고 간결하긴 하네요. 힘들지만 공부한다는 샘 치고 DIV로 하고 있는데 작업 속도가...;;;;;;
웹표준으로 만들면 더 받아야 하는거 아닌지요? 크로스브라우징이다 뭐다....거기다가 모바일에서도 반응하는 제이쿼리까지...넣으면 더 많은 작업비용을 받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음....작업 두개를 하고 있는데...테이블로 간단하게 되는 것을 DIV로 힘들게 계산기 두둘겨 가면서 하고 있어요..ㅠㅠ
근데 막상 완성된 페이지를 보면 수정은 확실히 DIV코딩이 쉽고 간결하긴 하네요. 힘들지만 공부한다는 샘 치고 DIV로 하고 있는데 작업 속도가...;;;;;;
잘은 모르지만,
우선 테이블 코딩 보다는 html5 ,css3.0 jquery 로 작업하는건 적어도 2배는 받아야한다고 봅니다만.
왜인가는?
우선 새로운 웹표준 규격으로 작업됩니다.
또한 플래시 보단 jquery가 웹접근성이 뛰어나기때문이며
jquery가 플래시 보단 쉽다는 관념이 잘못됐다 봅니다. 다 때에 따라서 그 도구를 이용하기 어려울수도 편할수도 있는겁니다.
그리고 테이블 코딩방식의 레이어잡기는 이제는 사용하는걸 추천하지않는 방식이기에
새로운 웹표준 방식을 적용하는 과정 중에 새롭게 지식을 습득해야 하므로
작업페이에서 적어도 2배를 말씀드리는겁니다.
물론 들어가는 페이지의 이미지처리와 네비게이션메뉴의 스킬, DB연동에 따른 폼처리부분과 보안, 레이아웃의 디자인 적인 감각,jquery의 스킬등 여러 요소도 봐야겠지요.
우선 테이블 코딩 보다는 html5 ,css3.0 jquery 로 작업하는건 적어도 2배는 받아야한다고 봅니다만.
왜인가는?
우선 새로운 웹표준 규격으로 작업됩니다.
또한 플래시 보단 jquery가 웹접근성이 뛰어나기때문이며
jquery가 플래시 보단 쉽다는 관념이 잘못됐다 봅니다. 다 때에 따라서 그 도구를 이용하기 어려울수도 편할수도 있는겁니다.
그리고 테이블 코딩방식의 레이어잡기는 이제는 사용하는걸 추천하지않는 방식이기에
새로운 웹표준 방식을 적용하는 과정 중에 새롭게 지식을 습득해야 하므로
작업페이에서 적어도 2배를 말씀드리는겁니다.
물론 들어가는 페이지의 이미지처리와 네비게이션메뉴의 스킬, DB연동에 따른 폼처리부분과 보안, 레이아웃의 디자인 적인 감각,jquery의 스킬등 여러 요소도 봐야겠지요.

저는 사실 10여년 전부터 플래시를 접했었지만 action script 도 제대로 작성하지 못하는 플래시 초짜 입니다. 사실 배울 필요도 별로 없었죠. 필요한 플래시가 있으면 decompiler 로 다운 받아서 swf 를 fla 로 변화해 디자인만 조금 바꿔쓰면 되는 일 이었으니까.
하지만 플래시의 action script 은 javascript 에서 파생되었고, javascript 보다는 더 간소화 되어있는 형식이라는 점은 이해합니다.
http://www.oreillynet.com/pub/a/javascript/2001/12/07/action.html
그리고 jQuery 는 플래시의 action script 보다도 더 간소화된 형식의 javascript library 입니다. 그래서 플래시 중급정도 실력 (action script 2, 3 는 어느정도 코딩하시는 분들) 만 되도, jQuery 를 아주 우습게들 여기십니다. 플래시의 action script 에 비교하면 무지 간단하니까.
그래서 jQuery 가 어떻게 플래시 보다 더 어려운지 전혀 이해를 할수 없네요. 전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테이블 코딩이 div 코딩보다 더 쉽다고 말씀하실 수 있는지...
혹시 드림위버로 테이블 만들어 코딩하는게 쉽다고 하시는건가요?
그런식으로 따지자면 div 코딩으로는 손가락 하나 까딱안하고 내가 원하는 모습의 레이아웃을 다 짜내주는 여러가지 보일러플레이트 (boilerplate) 솔루션들과 blue print css framework 같은 css 프레임워크들과 드림위버를 비교 하셔야죠.
손으로 직접 코딩을 하던, 이런 자동화 된 솔루션을 이용해 코딩을 하던, 어떤 경우에도 테이블 코딩보다는 div 코딩이 더 쉽고 시간이 절약됩니다.
서로 의견이 다를수 있자만, 단지 저는 더 일이 쉬워졌는데, 코딩 시간도 더 단축이 되었는데,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돈을 더 많이 요구할수 있는건지, 그 부분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할 뿐 입니다.
하지만 플래시의 action script 은 javascript 에서 파생되었고, javascript 보다는 더 간소화 되어있는 형식이라는 점은 이해합니다.
http://www.oreillynet.com/pub/a/javascript/2001/12/07/action.html
그리고 jQuery 는 플래시의 action script 보다도 더 간소화된 형식의 javascript library 입니다. 그래서 플래시 중급정도 실력 (action script 2, 3 는 어느정도 코딩하시는 분들) 만 되도, jQuery 를 아주 우습게들 여기십니다. 플래시의 action script 에 비교하면 무지 간단하니까.
그래서 jQuery 가 어떻게 플래시 보다 더 어려운지 전혀 이해를 할수 없네요. 전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테이블 코딩이 div 코딩보다 더 쉽다고 말씀하실 수 있는지...
혹시 드림위버로 테이블 만들어 코딩하는게 쉽다고 하시는건가요?
그런식으로 따지자면 div 코딩으로는 손가락 하나 까딱안하고 내가 원하는 모습의 레이아웃을 다 짜내주는 여러가지 보일러플레이트 (boilerplate) 솔루션들과 blue print css framework 같은 css 프레임워크들과 드림위버를 비교 하셔야죠.
손으로 직접 코딩을 하던, 이런 자동화 된 솔루션을 이용해 코딩을 하던, 어떤 경우에도 테이블 코딩보다는 div 코딩이 더 쉽고 시간이 절약됩니다.
서로 의견이 다를수 있자만, 단지 저는 더 일이 쉬워졌는데, 코딩 시간도 더 단축이 되었는데,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돈을 더 많이 요구할수 있는건지, 그 부분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할 뿐 입니다.

요즘 대부분 숍들 (웹개발 회사들) 작업과정을 보면 boilerplate 으로 기초 html 잡고, sass 나 less, 혹은 stylus 로 css 프로세싱해서 조그만, 보편적인 사이트 (뭐 쇼핑몰 같은 경우), (back-end 는 줌라 나 워프 같은 CMS 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는 디자이너 혼자서 하루만에 작업을 끝냅니다. 그것도 responsive 까지 완벽하게 적용된 사이트를.
손으로 아무리 빨리 css 를 작성해봐야 하루에 천줄도 못쓰지만, css 작업이 자동화가 되니 하루에 수천줄의 css 도 뽑아내기에 가능해진 일 입니다.
불과 1~2년 전만해도 상상도 못했던 작업속도입니다.
나는 다 수작업이야. css 프로세서 어떻게 쓰는지도 몰라. css 템플렛도 쓸줄 몰라. 보일러플레이트가 뭔지도 몰라. 그래서 나는 하루만에 사이트 절대 못 뽑아. 그러니 돈을 더 받아야 겠어. 훔?
이건 누가 생각해도 잘못된 사고방식이 아닐까요?
손으로 아무리 빨리 css 를 작성해봐야 하루에 천줄도 못쓰지만, css 작업이 자동화가 되니 하루에 수천줄의 css 도 뽑아내기에 가능해진 일 입니다.
불과 1~2년 전만해도 상상도 못했던 작업속도입니다.
나는 다 수작업이야. css 프로세서 어떻게 쓰는지도 몰라. css 템플렛도 쓸줄 몰라. 보일러플레이트가 뭔지도 몰라. 그래서 나는 하루만에 사이트 절대 못 뽑아. 그러니 돈을 더 받아야 겠어. 훔?
이건 누가 생각해도 잘못된 사고방식이 아닐까요?
제 생각엔 6페이지밖에 안돼니깐 개당 만원취급하면 적당하고 생각합니다..ㅎ;
ㄷㄷㄷ 6페이지...6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