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회사에서 서버를 관리하라 합니다 ㅠ.ㅠ 정보
아.. 회사에서 서버를 관리하라 합니다 ㅠ.ㅠ본문
apm 외엔 사용해보지 못한 저에게..
Fedora Core 를 다뤄라하네요 ㅠ.ㅠ
혹시 도움될만한 사이트 아시는곳이 있는지..요
도움을 주십시오 ㅠ.ㅠ
추천
0
0
댓글 23개
아함;;; superuser.co.kr / kldp.co.kr 등등에서 찾아보세용 ^^;
감사합니다 ^^
고급 리누기 유저 탄생!!
^^; 탄생할려면 쪼매더 기다려주세요
저두 알깨고 나올려고 안간힘을 써볼테니요
감사합니다.
저두 알깨고 나올려고 안간힘을 써볼테니요
감사합니다.

관리하면 되지요 ㅎㅎ
해두면 나중에 재산이 됩니다.
구닥다리 본체 하나 주워다가 직접 집에서 설치해보고 테스트 해보면 금방늡니다.
사이트보단 책이 좋을 것 같은데요
예전에 http://www.superuser.co.kr/ 의 박성수씨가 지은 책이 좋은 것 같습니다.
참고로 사이트는 http://www.superuser.co.kr/ 과 http://oops.org 정도 보면 충분할것 같습니다.
해두면 나중에 재산이 됩니다.
구닥다리 본체 하나 주워다가 직접 집에서 설치해보고 테스트 해보면 금방늡니다.
사이트보단 책이 좋을 것 같은데요
예전에 http://www.superuser.co.kr/ 의 박성수씨가 지은 책이 좋은 것 같습니다.
참고로 사이트는 http://www.superuser.co.kr/ 과 http://oops.org 정도 보면 충분할것 같습니다.
아 테스트서버를 하나 만든다는걸 왜 생각못했을까요..
유창화님 감사합니다 ^^
유창화님 감사합니다 ^^
공룡책이라 불리우는 오라일리의 책을 하나 사셔서 곁에 두시고 라면 받침으로 사용하시다가
급한 일 있을때 펴보시는것도 괜찮고 ( 기능보다 기본에 충실한 책이라 오히려 도움이 안될 수 도 -_-; )
요즘 서점에 가면 다양한 리눅스 관련 서적들이 많습니다.
혀를 내두를 정도로 정말 잘 해놨습니다.
저는 주로 책을 펼치는것을 좋아하기에 책을 권해드립니다.
인터넷에서 얻는 정보로는 부족할때가 많더군요.
특히.. apm 설치라던가.. 사용하지도 않을 옵션을 그냥 주우욱 적어놓고 그거대로 설치하도록 만들기도 하지요.
다른 글 찾아보면 동일 글들의 복사본 글들이 대부분이고. -_-;
그리고.. 리눅스라는 요놈이 정말 아무도 해결 못할 일들이 벌어질때도 가끔 있습니다.
책만으로 부족할때도 있고 경험으로 해결해야 할때도 많습니다.
경험치가 스킬이 되어 돌아오는 힘들고 희안하며 재밌고 열받는.. 하지만 성능만큼은 정말
눈이 확 튀어나올만큼 대단한 물건입니다.
큰맘 드시고 free BSD 쪽으로 가보시는것도 괜찮습니다. 쿨럭;
설치법은 우분투의 환경과 거의 동일합니다. (free BSD)
급한 일 있을때 펴보시는것도 괜찮고 ( 기능보다 기본에 충실한 책이라 오히려 도움이 안될 수 도 -_-; )
요즘 서점에 가면 다양한 리눅스 관련 서적들이 많습니다.
혀를 내두를 정도로 정말 잘 해놨습니다.
저는 주로 책을 펼치는것을 좋아하기에 책을 권해드립니다.
인터넷에서 얻는 정보로는 부족할때가 많더군요.
특히.. apm 설치라던가.. 사용하지도 않을 옵션을 그냥 주우욱 적어놓고 그거대로 설치하도록 만들기도 하지요.
다른 글 찾아보면 동일 글들의 복사본 글들이 대부분이고. -_-;
그리고.. 리눅스라는 요놈이 정말 아무도 해결 못할 일들이 벌어질때도 가끔 있습니다.
책만으로 부족할때도 있고 경험으로 해결해야 할때도 많습니다.
경험치가 스킬이 되어 돌아오는 힘들고 희안하며 재밌고 열받는.. 하지만 성능만큼은 정말
눈이 확 튀어나올만큼 대단한 물건입니다.
큰맘 드시고 free BSD 쪽으로 가보시는것도 괜찮습니다. 쿨럭;
설치법은 우분투의 환경과 거의 동일합니다. (free BSD)
넵
사무실에도 몇권의 책이 있는데..
모두 Fedora Core 과는 거리가 있는듯 합니다.
아니면 제가 잘몰라서 그러는건지..
위 유창화님의 말과 오리주둥이님의 말대로 테스트서버를 만들어서 책을보고
차근차근 셋팅부터 해보는게 낳을거 같습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사무실에도 몇권의 책이 있는데..
모두 Fedora Core 과는 거리가 있는듯 합니다.
아니면 제가 잘몰라서 그러는건지..
위 유창화님의 말과 오리주둥이님의 말대로 테스트서버를 만들어서 책을보고
차근차근 셋팅부터 해보는게 낳을거 같습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레드햇을 다루셨다면 fedora 역시 동일합니다.
그누..... 생명은 속도군요~~
질문하고 나서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순위가 있다면
1등하지 않을까 싶군요.
일설하고 위에 언급된 사이트 추천입니다. 강추입니다.
처음 저도 서버 관리 배울때 책으로 2번 다(두번 나왔습니다.)
구매를 하여 구닥다리 컴 하나에 설치해 가면서 공부를 했습니다.
책을 구매하지 않아도 됩니다.(사이트에 다 나와있는 내용을 정리해 책으로..)
그런데 '서버 관리' 배운다는 것이 끝이 있을까요??????
질문하고 나서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순위가 있다면
1등하지 않을까 싶군요.
일설하고 위에 언급된 사이트 추천입니다. 강추입니다.
처음 저도 서버 관리 배울때 책으로 2번 다(두번 나왔습니다.)
구매를 하여 구닥다리 컴 하나에 설치해 가면서 공부를 했습니다.
책을 구매하지 않아도 됩니다.(사이트에 다 나와있는 내용을 정리해 책으로..)
그런데 '서버 관리' 배운다는 것이 끝이 있을까요??????
당장급한게.. 서버안에 계정을 하나 셋팅해야합니다.
미치겠습니다 ㅠ.ㅠ 어찌해야하는지 조차모르니..
로그인 계정과 패스워드도 팀장님께서 말씀안해주시네요 ㅠ.ㅠ
곧 갈켜줄께 말만 하구선..
으앙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미치겠습니다 ㅠ.ㅠ 어찌해야하는지 조차모르니..
로그인 계정과 패스워드도 팀장님께서 말씀안해주시네요 ㅠ.ㅠ
곧 갈켜줄께 말만 하구선..
으앙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adduser xxxx
passwd xxxx
passwd xxxx

Fedora 라고 별로 틀린것도 없습니다.
레뎃 계열은 거의 비슷하니까 레딧9.0관련 서적 보셔도 됩니다.
최신 정보는 인터넷 검색으로~~
위에 추천하신 사이트들 자주 방문하셔서 보시구요
에러 메세지 검색같은건 구글이 짱입니다.
레뎃 계열은 거의 비슷하니까 레딧9.0관련 서적 보셔도 됩니다.
최신 정보는 인터넷 검색으로~~
위에 추천하신 사이트들 자주 방문하셔서 보시구요
에러 메세지 검색같은건 구글이 짱입니다.
fedora 계열과 레드햇 계열은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서버관리자로서 얘기한다면 페도라는 비추 입니다.
계속해서 새로운 코어가 나오고 있고, 버전마다 틀려지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제가 본것만 해도 여러개 이고요.
만약 회사에서 테스트용이나 내부용(수시로 엎어도 되는)이 아닌 상업용(즉, 외부 서비스용)으로 사용한다고 하시면 다른 배포판을 사용하는게 좋을듯 하군요.
개인적으로는 안녕리눅스를 선호합니다만 초보자가 다루기에는 좀 어려울 듯도 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당부는.. 서버관리자는 몇달안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몇년간 여러가지 상황을 접해보고.. 서버도 날려보고.. 분해 조립도 여러번 해보고.. 해야 진정한 서버관리자가 될수 있습니다.
긴 시간을 두고 천천히 공부하시고.. 특히 잘 모르는 부분은 리눅스 내의 man 을 잘 활용하시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겁니다.
서버관리자로서 얘기한다면 페도라는 비추 입니다.
계속해서 새로운 코어가 나오고 있고, 버전마다 틀려지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제가 본것만 해도 여러개 이고요.
만약 회사에서 테스트용이나 내부용(수시로 엎어도 되는)이 아닌 상업용(즉, 외부 서비스용)으로 사용한다고 하시면 다른 배포판을 사용하는게 좋을듯 하군요.
개인적으로는 안녕리눅스를 선호합니다만 초보자가 다루기에는 좀 어려울 듯도 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당부는.. 서버관리자는 몇달안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몇년간 여러가지 상황을 접해보고.. 서버도 날려보고.. 분해 조립도 여러번 해보고.. 해야 진정한 서버관리자가 될수 있습니다.
긴 시간을 두고 천천히 공부하시고.. 특히 잘 모르는 부분은 리눅스 내의 man 을 잘 활용하시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겁니다.
감사합니다. 겸이님
머라 말씀을 드려야 할지..
이전에 있던 개발자님께서 서버관리까지 하셨는데..
그분이 나가시고 제가 들어온터라.. 서버관리할사람이 없어서..
무지한 저라도 해야한다는듯이 말씀을 하셔서 공부를 할려합니다.
이미 서버는 만들어져있고 현재는 다행이도 꾸준히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그안에 계정을 하나더 만들어야 하는게 저의 첫번째 임무이네요
감사합니다
머라 말씀을 드려야 할지..
이전에 있던 개발자님께서 서버관리까지 하셨는데..
그분이 나가시고 제가 들어온터라.. 서버관리할사람이 없어서..
무지한 저라도 해야한다는듯이 말씀을 하셔서 공부를 할려합니다.
이미 서버는 만들어져있고 현재는 다행이도 꾸준히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그안에 계정을 하나더 만들어야 하는게 저의 첫번째 임무이네요
감사합니다
겸이님 말씀이 백번 맞습니다.
저도 페도라는 별로.. 좀 무겁다는 느낌도 많이들구요..
저번에 어느 분이 yum 업데이트로 서버를 날려먹어서 뒤집어졌다는 피눈물 섞인
이야기를 들으면서 담배를 권한적이 있습니다.
저역시 겸이님처럼 안녕과 레뎃9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힘내셔요.
저도 페도라는 별로.. 좀 무겁다는 느낌도 많이들구요..
저번에 어느 분이 yum 업데이트로 서버를 날려먹어서 뒤집어졌다는 피눈물 섞인
이야기를 들으면서 담배를 권한적이 있습니다.
저역시 겸이님처럼 안녕과 레뎃9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힘내셔요.

느긋하게 축하드려도 되나요.
좋으시겠습니다. 일하면서 배울 수 있는 꿈의 기회..
좋으시겠습니다. 일하면서 배울 수 있는 꿈의 기회..
개인적으로 맘에드는 리눅스는 CentOS 입니다.
안녕리눅스 : 뭐랄까 범용 리눅스가 맞긴 하지만.... 안녕만의 독특한 패키지도 그렇고...
약간은 비추죠...하지만 용량면에서 고민을 하신다면 추천할 만한 os입니다.
그렇지만 서버스팩이 딸리다고..........리눅스를 못돌리고 그럴 상황이 나올 확률은 제로겠죠???
지금 시점에서 서버스팩이 딸리는 서버를 운영하는곳은 없으니까요
지금은 쌍팔년도가 아니기에.........ㅡ.ㅡ
sulinux : 슈퍼유져코리아인가요? 암튼 거기에서 배포하는 배포판입니다.
아주아주 맘에 안드는 os입니다. 이유는 .... apm을 인스톨할때 소스컴파일을 해서 인스톨을 하더군요.... 그것까진 좋습니다.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를 인스톨하거나 제거를 할때 여러모로 신경이 쓰이는 os입니다.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으로서 rpm을 좋아하는터라 다소 비약이 있을 수 있는 문구일수 있습니다.
초보자들에겐 더할 나위없이 좋은 리눅스이기도 합니다. 아파치 버전별 mysql버전별 php버전별로 인스톨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해주더군요...처음에 rpm으로 설치를 해준다면 아주 좋을껀데요....
페도라 코어 5 : 뭐랄까 최신을 달리는 최고의 os라고 칭해도 과언이 아닌 os입니다.....
나이트 업데이트를 하는 집단입니다....하룻밤에도 몇개의 업데이트를 치고...
마치 "우리는 최신 기술만쓴다~!" 라고 자랑하듯............업데이트 하나는 엄청난 os입니다.
그렇지만 서버부분에서는 뭐라 말할 수 없는 불안감이 있더군요.
CentOS : 제가 제일 좋아하는 os입니다.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os를 리빌해서 쓰지만....
그전까지는 센트를 썼죠...... 확인 되지 않은 소문엔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AS인지 ES인지를
센트가 리빌드 해서 만들어놓은 것이라고 이야기들 합니다.
레드헷의 rhn과 마찬가지로 yum 업데이트라는 것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업데이트 되는 버전은 안정화버전을 주로 업데이트하므로 운영하시기엔 무리가 없을듯 합니다.
우분투.....젠투......이딴건..........안써봤습니다.........ㅡ.ㅡ
안녕리눅스 : 뭐랄까 범용 리눅스가 맞긴 하지만.... 안녕만의 독특한 패키지도 그렇고...
약간은 비추죠...하지만 용량면에서 고민을 하신다면 추천할 만한 os입니다.
그렇지만 서버스팩이 딸리다고..........리눅스를 못돌리고 그럴 상황이 나올 확률은 제로겠죠???
지금 시점에서 서버스팩이 딸리는 서버를 운영하는곳은 없으니까요
지금은 쌍팔년도가 아니기에.........ㅡ.ㅡ
sulinux : 슈퍼유져코리아인가요? 암튼 거기에서 배포하는 배포판입니다.
아주아주 맘에 안드는 os입니다. 이유는 .... apm을 인스톨할때 소스컴파일을 해서 인스톨을 하더군요.... 그것까진 좋습니다.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를 인스톨하거나 제거를 할때 여러모로 신경이 쓰이는 os입니다.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으로서 rpm을 좋아하는터라 다소 비약이 있을 수 있는 문구일수 있습니다.
초보자들에겐 더할 나위없이 좋은 리눅스이기도 합니다. 아파치 버전별 mysql버전별 php버전별로 인스톨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해주더군요...처음에 rpm으로 설치를 해준다면 아주 좋을껀데요....
페도라 코어 5 : 뭐랄까 최신을 달리는 최고의 os라고 칭해도 과언이 아닌 os입니다.....
나이트 업데이트를 하는 집단입니다....하룻밤에도 몇개의 업데이트를 치고...
마치 "우리는 최신 기술만쓴다~!" 라고 자랑하듯............업데이트 하나는 엄청난 os입니다.
그렇지만 서버부분에서는 뭐라 말할 수 없는 불안감이 있더군요.
CentOS : 제가 제일 좋아하는 os입니다.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os를 리빌해서 쓰지만....
그전까지는 센트를 썼죠...... 확인 되지 않은 소문엔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AS인지 ES인지를
센트가 리빌드 해서 만들어놓은 것이라고 이야기들 합니다.
레드헷의 rhn과 마찬가지로 yum 업데이트라는 것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업데이트 되는 버전은 안정화버전을 주로 업데이트하므로 운영하시기엔 무리가 없을듯 합니다.
우분투.....젠투......이딴건..........안써봤습니다.........ㅡ.ㅡ
감사합니다.
하지만.. 지금 셋팅이 되어있다는게 문제입니다 ^^;
하지만.. 지금 셋팅이 되어있다는게 문제입니다 ^^;
useradd 아이디
passwd 아이디
기본적으로 이거면 끝나는거 아닌가요???
시스템 계정 만들어주면....ftp도 자동으로 셋팅........
mysql 은 셋팅을 해주셔야합니다만, 때때로 자동으로 셋팅해주는 os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sulinux 는 메일계정까지 셋팅해주더군요.
웹호스팅 업체가 아니면 서버관리는 그다지 할게 없을듯 합니다.
1.방화벽셋팅
2.ssh ftp 포트 바꾸기
3.로그로테이트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서버관리자에게 메일 날려주기 등등.......
4.사용자 홈디렉토리에 public_html 디렉토리 만들어주기
5.아파치 셋팅
6.버추얼 호스트 셋팅
기본적으로 이것만 하시면 서버관리는 다 하신듯.
웹 호스팅서버는 음........ 쿼터제 사용자 계정별 권한 설정등........
passwd 아이디
기본적으로 이거면 끝나는거 아닌가요???
시스템 계정 만들어주면....ftp도 자동으로 셋팅........
mysql 은 셋팅을 해주셔야합니다만, 때때로 자동으로 셋팅해주는 os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sulinux 는 메일계정까지 셋팅해주더군요.
웹호스팅 업체가 아니면 서버관리는 그다지 할게 없을듯 합니다.
1.방화벽셋팅
2.ssh ftp 포트 바꾸기
3.로그로테이트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서버관리자에게 메일 날려주기 등등.......
4.사용자 홈디렉토리에 public_html 디렉토리 만들어주기
5.아파치 셋팅
6.버추얼 호스트 셋팅
기본적으로 이것만 하시면 서버관리는 다 하신듯.
웹 호스팅서버는 음........ 쿼터제 사용자 계정별 권한 설정등........
한가지 추가..........서버용이라면 우분투나 젠투는 절대 꿔줘입니다........
데탑용으로 페도라 우분투 젠투 모두 좋습니다.
데탑용으로 리눅스를 쓴다는건 약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고, 구지 리눅스를 써야하는가?
라는 의구심이 들긴합니다.
물론 개발자로서 테스트용이면 어쩔수 없지만요......
데탑용으로 페도라 우분투 젠투 모두 좋습니다.
데탑용으로 리눅스를 쓴다는건 약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고, 구지 리눅스를 써야하는가?
라는 의구심이 들긴합니다.
물론 개발자로서 테스트용이면 어쩔수 없지만요......
sulinux 에 대한 내용이 조금 상반됩니다.
초보자분들께 죄송하지만 rpm 자체에 의존성문제가 더 심각해서,
리눅스를 사용하시는분들은 대부분 소스컴파일을 하라고 권고합니다.
이유는 작업자의 입맛대로 수정할수있기때문이며 , 단점은 작업량이 많은것입니다.
안녕 리눅스의 경우 개발 라이브러리까지 제거하여 사실상 apm 외에는 거의 사용할수 없게 되어있습니다.
저의 경우 와우리눅스 시리즈/미지리눅스 시리즈/한컴리눅스 시리즈/레드햇 리눅스 시리즈/
데비안 리눅스/ 젠투 리눅스/ASP 리눅스/터보 리눅스/부요리눅스/알짜 리눅스 시리즈/SU리눅스/안녕 리눅스/
등... 리눅스계열 외 유닉스계열까지 여러 종류 써보고 말씀드리는것입니다.
SUlinux 의 경우 APM + ftp + DNS + 각종플러그인 + ssh + 모니터링 + 백업 + 업데이트 등에 있어서
관리자에게 효율적인 업무와 업무시간 단축이라는 매리트를 느끼게 해줍니다.
개인적으로는 데비안 리눅스 또는 FreeBSD를 선호 하긴 하지만..
주력을 쓰는것은 REDHAT계열입니다.
ps. 수퍼유저코리아의 박성수씨 경우는 전문엔지니어로 실무 바이블까지 쓰신분입니다.
그쪽 팀에서 만든 리눅스라서 실무에서 필요한 리눅스배포본을 만드는게 목적인것으로 압니다.
Ps2. 저는 SUlinux와 전혀 무관하며, 그곳에서 소주 한번 얻어먹어보지 못했습니다. ㅡㅡ;
초보자분들께 죄송하지만 rpm 자체에 의존성문제가 더 심각해서,
리눅스를 사용하시는분들은 대부분 소스컴파일을 하라고 권고합니다.
이유는 작업자의 입맛대로 수정할수있기때문이며 , 단점은 작업량이 많은것입니다.
안녕 리눅스의 경우 개발 라이브러리까지 제거하여 사실상 apm 외에는 거의 사용할수 없게 되어있습니다.
저의 경우 와우리눅스 시리즈/미지리눅스 시리즈/한컴리눅스 시리즈/레드햇 리눅스 시리즈/
데비안 리눅스/ 젠투 리눅스/ASP 리눅스/터보 리눅스/부요리눅스/알짜 리눅스 시리즈/SU리눅스/안녕 리눅스/
등... 리눅스계열 외 유닉스계열까지 여러 종류 써보고 말씀드리는것입니다.
SUlinux 의 경우 APM + ftp + DNS + 각종플러그인 + ssh + 모니터링 + 백업 + 업데이트 등에 있어서
관리자에게 효율적인 업무와 업무시간 단축이라는 매리트를 느끼게 해줍니다.
개인적으로는 데비안 리눅스 또는 FreeBSD를 선호 하긴 하지만..
주력을 쓰는것은 REDHAT계열입니다.
ps. 수퍼유저코리아의 박성수씨 경우는 전문엔지니어로 실무 바이블까지 쓰신분입니다.
그쪽 팀에서 만든 리눅스라서 실무에서 필요한 리눅스배포본을 만드는게 목적인것으로 압니다.
Ps2. 저는 SUlinux와 전혀 무관하며, 그곳에서 소주 한번 얻어먹어보지 못했습니다. ㅡㅡ;
제가 페도라 사용합니다. 1.0인가.. 하여간 초기버전인데
버그 좀 있긴 합니다.
보안이고 자고 그냥 냅두고 사용중입니다.
크게 문제는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서버호스팅에 사용하는게
ftp / http 에 pop / smtp
또.. cron이랑.iptable. 몇몇.. 정도 수준이 아니가 합니다.
nntp를 따로 돌리실 일도 만무하실것 같고..
아무꺼나 써도 별 문제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안이 좀 문제인데.. 제가 그쪽에는 초보수준이라서.. 그냥 passwd에 다 nologin을 때리고 쓴다는 무식함이 좀 문제겠지요.
핵심은.. 서버 관리하시고..
수당이나 더 청구하십시요.. ^^
버그 좀 있긴 합니다.
보안이고 자고 그냥 냅두고 사용중입니다.
크게 문제는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서버호스팅에 사용하는게
ftp / http 에 pop / smtp
또.. cron이랑.iptable. 몇몇.. 정도 수준이 아니가 합니다.
nntp를 따로 돌리실 일도 만무하실것 같고..
아무꺼나 써도 별 문제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안이 좀 문제인데.. 제가 그쪽에는 초보수준이라서.. 그냥 passwd에 다 nologin을 때리고 쓴다는 무식함이 좀 문제겠지요.
핵심은.. 서버 관리하시고..
수당이나 더 청구하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