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 틀때도 저작권료 내야돼? 정보
기타 애국가 틀때도 저작권료 내야돼?본문
이제부터 애국가 부러지 마세요~~돈내고 부르세요... 정말로 저작권에 미친자들이구면....
아무데나 저작권이라..이제는 어디까지 갈건데...갈때까지 다간 시절 같은데....아이고...
--------------------------------------------------------------------------------
애국가 틀때도 저작권료 내야돼?
음악저작권협 "무단사용" 프로축구팀 고소
주로 대중가요를 둘러싸고 벌어져온 저작권료 공방이 애국가에까지 번졌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축구 경기장에서 저작권료를 내지 않고 애국가를 튼 것은 저작권법 위반이라며 최근 프로축구단인 부천에스케이와 대전시티즌을 각각 서울 종로경찰서와 대전 둔산경찰서에 고소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2001년 개정된 저작권법은 프로경기장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음악저작물을 방송할 때는 저작권료를 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애국가도 그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저작권협회 쪽은 “부천에스케이 프로축구단은 지난해 6월28일 이후 부천경기장에서 애국가의 저작권료를 내지 않은 채 무단으로 방송해왔다”고 주장했다.
협회 관계자는 “프로스포츠 경기장은 물론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거나 끝낼 때 나오는 애국가도 모두 저작권료 징수 대상에 해당한다”며 “지난해의 경우 애국가 사용과 관련해 방송사와 기타 프로경기구단 등으로부터 약 700만원의 저작권료를 징수해 이 가운데 400여만원을 저작권자인 고 안익태 선생의 유족에게 분배했다”고 말했다. 프로축구장 한곳에서 보통 1년 동안 애국가 사용에 대해 걷는 저작권료는 입장객 수 등에 따라 1만~6만원 정도라고 그는 전했다.
이에 대해 부천에스케이 구단 쪽은 “애국가는 국민의 공공재이고 경기 시작에 앞서 권장되는 일종의 국민적 의식인데, 여기에 저작권료를 물리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반박했다. 황준범 기자
http://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3/12/005000000200312121918302.html
아무데나 저작권이라..이제는 어디까지 갈건데...갈때까지 다간 시절 같은데....아이고...
--------------------------------------------------------------------------------
애국가 틀때도 저작권료 내야돼?
음악저작권협 "무단사용" 프로축구팀 고소
주로 대중가요를 둘러싸고 벌어져온 저작권료 공방이 애국가에까지 번졌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축구 경기장에서 저작권료를 내지 않고 애국가를 튼 것은 저작권법 위반이라며 최근 프로축구단인 부천에스케이와 대전시티즌을 각각 서울 종로경찰서와 대전 둔산경찰서에 고소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2001년 개정된 저작권법은 프로경기장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음악저작물을 방송할 때는 저작권료를 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애국가도 그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저작권협회 쪽은 “부천에스케이 프로축구단은 지난해 6월28일 이후 부천경기장에서 애국가의 저작권료를 내지 않은 채 무단으로 방송해왔다”고 주장했다.
협회 관계자는 “프로스포츠 경기장은 물론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거나 끝낼 때 나오는 애국가도 모두 저작권료 징수 대상에 해당한다”며 “지난해의 경우 애국가 사용과 관련해 방송사와 기타 프로경기구단 등으로부터 약 700만원의 저작권료를 징수해 이 가운데 400여만원을 저작권자인 고 안익태 선생의 유족에게 분배했다”고 말했다. 프로축구장 한곳에서 보통 1년 동안 애국가 사용에 대해 걷는 저작권료는 입장객 수 등에 따라 1만~6만원 정도라고 그는 전했다.
이에 대해 부천에스케이 구단 쪽은 “애국가는 국민의 공공재이고 경기 시작에 앞서 권장되는 일종의 국민적 의식인데, 여기에 저작권료를 물리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반박했다. 황준범 기자
http://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3/12/005000000200312121918302.html
추천
0
0
댓글 5개
// 작년 한해 '애국가'를 상업적인 목적(아마추어가 아닌 프로스포츠경기 및 이에 준하는 행사...)으로 사용한 저작권료(표현이 좀 그렇네요.)의 수익중 200여만원 정도의 금액을 '고 안익태(~1965)'씨 유족들에게 분배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그 동안 줄곧 관례처럼 이어졌던 일이었는데, 올해 들어 모 축구경기와 관련하여 정상적으로 저작권(료)의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즉, 상업적인 목적의 축구경기장에서 정상적으로 지불해야 할 100여만원 정도의 저작권(료)를 미루다가 엊그제 비로소 매스컴에 보도된 것입니다.//
현재의 저작권법상, 음반 및 출판(신문을 비롯한 각종 소식지 및 연예관련 정보가 실려있는 시한성 출판물 제외.)물에 대해서, 원 저작권자의 사후 50년까지도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보호해 줍니다. 따라서, 애국가의 저작권 효력이 2015년까지도 살아있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후 1년 이후부터 저작권자의 사망이후 50년이라는 부분이 적용되기때문에, 2016년까지도 '애국가'의 저작권이 살아있게 되는 것이죠.)
죄송한 말씀이지만, '한심한 나라'라는 표현은 어패가 있군요.
'저작권료' 운운하는 일부 FM을 고수(?)한다는 몇몇 사람들 때문에,
>>~~~~~~~~아 한심한 우리나라...어디까지 갈건데~~~~~~~
라는 표현은 삼가해 주셨으면 합니다.
곧이 곧대로 '저작권(료)'의 일률적인 적용만을 부르짖는 일부 사람들의 탄력적이지 못한 사고와 이해(利害)에서 비롯된 사건임을 파악하셔야 할 줄로 압니다.
그러나, '애국가'가 한 나라의 '국가'라는 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국가 '애국가'를 정말로 보호(?)하려는 의도였었다면... 글쎄요.
'단지 그럴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하시기를...
글재주가 미약하여 표현이 상당히 서투르고, 문맥의 구조도 매끄럽지 못합니다.
이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좀 더 정확한 일들과, 감정에 상당부분 치우친 내용이 아닌, 일부 몰지각하고 중립성 없는 매스컴에 휘둘리지 마시기를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시드니님 너무나 직접적인 표현을 쓴 점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참고로, 작년 한해 400여만원 정도의 저자권(료) 관련 금액을 유족들에게 지급했다고 보도된 미디어가 있는 반면, 200여만원이라고 기재한 미디어매체도 있더군요. 그 부분에 관해서는 본 사건(?)과 사건의 발단이 된 사람들의 멱살이라도 잡고 흔들어야 제대로 된 금액이야기가 나올법도 하군요.
이것은 그 동안 줄곧 관례처럼 이어졌던 일이었는데, 올해 들어 모 축구경기와 관련하여 정상적으로 저작권(료)의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즉, 상업적인 목적의 축구경기장에서 정상적으로 지불해야 할 100여만원 정도의 저작권(료)를 미루다가 엊그제 비로소 매스컴에 보도된 것입니다.//
현재의 저작권법상, 음반 및 출판(신문을 비롯한 각종 소식지 및 연예관련 정보가 실려있는 시한성 출판물 제외.)물에 대해서, 원 저작권자의 사후 50년까지도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보호해 줍니다. 따라서, 애국가의 저작권 효력이 2015년까지도 살아있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후 1년 이후부터 저작권자의 사망이후 50년이라는 부분이 적용되기때문에, 2016년까지도 '애국가'의 저작권이 살아있게 되는 것이죠.)
죄송한 말씀이지만, '한심한 나라'라는 표현은 어패가 있군요.
'저작권료' 운운하는 일부 FM을 고수(?)한다는 몇몇 사람들 때문에,
>>~~~~~~~~아 한심한 우리나라...어디까지 갈건데~~~~~~~
라는 표현은 삼가해 주셨으면 합니다.
곧이 곧대로 '저작권(료)'의 일률적인 적용만을 부르짖는 일부 사람들의 탄력적이지 못한 사고와 이해(利害)에서 비롯된 사건임을 파악하셔야 할 줄로 압니다.
그러나, '애국가'가 한 나라의 '국가'라는 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국가 '애국가'를 정말로 보호(?)하려는 의도였었다면... 글쎄요.
'단지 그럴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하시기를...
글재주가 미약하여 표현이 상당히 서투르고, 문맥의 구조도 매끄럽지 못합니다.
이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좀 더 정확한 일들과, 감정에 상당부분 치우친 내용이 아닌, 일부 몰지각하고 중립성 없는 매스컴에 휘둘리지 마시기를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시드니님 너무나 직접적인 표현을 쓴 점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참고로, 작년 한해 400여만원 정도의 저자권(료) 관련 금액을 유족들에게 지급했다고 보도된 미디어가 있는 반면, 200여만원이라고 기재한 미디어매체도 있더군요. 그 부분에 관해서는 본 사건(?)과 사건의 발단이 된 사람들의 멱살이라도 잡고 흔들어야 제대로 된 금액이야기가 나올법도 하군요.
기고만장할 노늣이구만요!
애국가 저작권 피하는 방법:
1. 국호를 대한유에스에이로 변경
2. 국기를 미국 성조기 안에 별하나더 추가 변경
3. 무궁화를 독수리로 변경
4. 애국가를 미국 애국가로 변경
~~~~~~~~아 한심한 우리나라...어디까지 갈건데~~~~~~~
1. 국호를 대한유에스에이로 변경
2. 국기를 미국 성조기 안에 별하나더 추가 변경
3. 무궁화를 독수리로 변경
4. 애국가를 미국 애국가로 변경
~~~~~~~~아 한심한 우리나라...어디까지 갈건데~~~~~~~
저작권료 주고요.
들어줬으니 청취비 달라고 조르면 좋을듯 합니다.
들어줬으니 청취비 달라고 조르면 좋을듯 합니다.
헐~~정말로 황당한 일이네요~~~저작권료~~~
요즈음 대한 민국 무지 살기 좋은 나라가 되어 가는군요~~~쩝~~^^;;
이러다 숨쉬는것 조차 돈내고 사는것 아닌지 모르겠네요~~~ㅜㅜ
요즈음 대한 민국 무지 살기 좋은 나라가 되어 가는군요~~~쩝~~^^;;
이러다 숨쉬는것 조차 돈내고 사는것 아닌지 모르겠네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