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냐 파워콤이냐.... 정보
KT냐 파워콤이냐....
본문
3년 7개월째 KT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몇일전부터 파워콤 가입하면 사은품준다고 대대적으로 저희 아파트를 돌더군요.
와이프가 압력밥솥을 갖고 싶다는 말에
'그래 이왕 요금차이도 별로 없고 이참에 한번 바꿔보자' 생각을 하고 신청을 했습니다.
그리고 몇일후 KT에서 전화가 옵니다.
'광랜 교체작업을 해야하는데 언제 방문하면 되겠습니까?'
헐...그럼 진작에 광랜으로 바꿔주던가...파워콤이 설치니까 이제사 광랜으로 교체라니..
다음날 KT 기사가 나왔습니다.
나 : "공유기를 사용해서 랜선을 거실과 작은방 두곳에 뽑아주시면 안될까요?"
KT기사 : "그건 안됩니다."
나:"파워콤에서는 원하는데로 해준다던데..."
KT기사 : "KT에서는 그렇게 할수 없습니다."
네가지 없이 말하더군요.
어차피 파워콤으로 바꿀생각이라서 대충 설치하고 돌아가고
다음날 파워콤에서 나와서 공유기(내 것)달아서 랜선을 거실과 작은방으로 뽑아주었습니다.
그리고 어제 KT에 인터넷 해지신청하려고 신분증 복사본을 보냈더니
전화가 왔습니다.
왜 인터넷을 해지할려고 하는지(공유기, 랜선)에 대한 설명을 했더니
그 정도는 KT에서도 해줄 수 있답니다.(KT 00지사 000이라고 말하더군요.)
'공유기 사용못하게 필사적으로 막을때는 언제고...허허 참.'
그기다 한술 더 떠서 공유기 자기들이 가져와서 달고 랜선 원하는데로 뽑아준답니다.
이런...진작에 그렇게 해줬으면 내가 3년7개월이나 사용한 KT를 떠날 생각을 안했을텐데...
괘씸한 생각에 "그렇게 오래 사용했으면 사은품 같은것도 하나 없나요?" 하고 물었더니
"뭐가 필요하세요?" 합니다.
'이런...이제 대리점 차원이 아니라 KT에서도 사은품을 주나' 싶더군요.
조금 의아 했습니다.
갖고싶은 물건을 말했더니 보내준답니다.
사실 저 같은 경우는 KT요금이 파워콤보다 월 4000원 정도 쌉니다.
그리고 저의 상식으로는
파워콤은 포트 하나에 허브를 연결해서 각 이용자에게 보내주고,
KT는 포트 하나에 이용자 하나씩 연결한다고 알고있습니다.(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속으로는 KT를 계속사용하고 싶었던 참에 잘 되었다 생각하고,
다시 KT로 바꾸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파워콤 위약금은 어떻게 하죠?" 했더니
"걱정마세요 저희가 다 해드릴께요. 설치 반환금 대략 3만원정도 나올겁니다." 합니다.
오늘 KT 위탁업체가 설치하러 옵니다.
아직도 어리버리합니다. KT가 언제부터 이렇게 적극적이었나 싶게....
사은품이 문제가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KT의 태도가 사뭇 적응 안되면서 '파워콤으로 인해서 KT가 급하긴 급했구나' 생각이 들더군요.
추천
0
0
댓글 8개

제 친구의 경우는 파워콤으로 바꾼 후에 KT에 위약금 대신 준다고 해주고 안 주던데;;;
파워콤 설치 후 2달 동안 KT요금도 냈었다네요...
파워콤에서 KT꺼 해지해주고 위약금까지 다 내준다고 했으면서...
결국엔 파워콤때문에 많은 돈을 버렸다는...
저는 자취방에선 파워콤쓰고 집에선 지역유선 인터넷(경동케이블)씁니다...
그런데 지역유선 인터넷이 파워콤이 쓰는 IP 대역폭이랑 비슷한...
58.xxx.xxx.xxx
네임 서버도 같은 것 쓰구요... ㅋㅋ
제가 사는 동네는 KT랑 지역유선 인터넷 밖에 안 들어와서 그냥 싼 지역유선 인터넷 신청했습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600KB/s정도 나오고 업로드는 100KB/s 정도 나오는데 파워콤보다 업로드가 조금 더 높네요. ㅋㅋㅋ
예전에 KT 4년쓰다가 파워콤으로 바꿨었는데 파워콤이 안 되는 곳으로 이사를 오는 바람에...
파워콤 설치 후 2달 동안 KT요금도 냈었다네요...
파워콤에서 KT꺼 해지해주고 위약금까지 다 내준다고 했으면서...
결국엔 파워콤때문에 많은 돈을 버렸다는...
저는 자취방에선 파워콤쓰고 집에선 지역유선 인터넷(경동케이블)씁니다...
그런데 지역유선 인터넷이 파워콤이 쓰는 IP 대역폭이랑 비슷한...
58.xxx.xxx.xxx
네임 서버도 같은 것 쓰구요... ㅋㅋ
제가 사는 동네는 KT랑 지역유선 인터넷 밖에 안 들어와서 그냥 싼 지역유선 인터넷 신청했습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600KB/s정도 나오고 업로드는 100KB/s 정도 나오는데 파워콤보다 업로드가 조금 더 높네요. ㅋㅋㅋ
예전에 KT 4년쓰다가 파워콤으로 바꿨었는데 파워콤이 안 되는 곳으로 이사를 오는 바람에...

음... 최근 네임 서버가 바뀐 듯 하네요...
KINX.net인가... 거기로요...
KINX.net인가... 거기로요...
파워콤은 광? 동축? 케이블이 따로 들어와야 하지 않나요?
KT는 벽에 붙은 전화플러그에 꼽으면 되서 파워콤으로 안바꾸고 쓰고 있습니다.
집안에 케이블들 돌아다니는 게 싫어서..
KT는 벽에 붙은 전화플러그에 꼽으면 되서 파워콤으로 안바꾸고 쓰고 있습니다.
집안에 케이블들 돌아다니는 게 싫어서..

저는 춘천에 전화가 없어서 어차피 케이블이 들어와야해서 KT보단 싼 파워콤으로 신청했습니다,,

아파트는 광랜이예요. 케이블 들어올 필요가 없죠. KT나 파워콤이나...모뎀도 필요없고....
주택은 틀리겠쬬..
Down/Up속도 품질 (최대 / 평균 / 최소/초당) - KT 광랜, 공유기 사용
다운로드 36.21 Mbps 35.0 Mbps 34.08 Mbps 4.38Mbps/s
업 로 드 37.5 Mbps 34.81 Mbps 33.55 Mbps 4.35Mbps/s
주택은 틀리겠쬬..
Down/Up속도 품질 (최대 / 평균 / 최소/초당) - KT 광랜, 공유기 사용
다운로드 36.21 Mbps 35.0 Mbps 34.08 Mbps 4.38Mbps/s
업 로 드 37.5 Mbps 34.81 Mbps 33.55 Mbps 4.35Mbps/s

그래서 시장은 경쟁을 해야 하나봅니다.
독점으로 오만해져가는 기업이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도록 경쟁업체는 꼭 있어야 할듯..
너이봐!~ 너 말이야 너너~
독점으로 오만해져가는 기업이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도록 경쟁업체는 꼭 있어야 할듯..
너이봐!~ 너 말이야 너너~
너이봐=네이...

이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