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더와 프로그래머의 차이 정보
코더와 프로그래머의 차이본문
궁금해서 여쭵니다.
추천
0
0
댓글 3개

코더 : 단순히 프로그램만 짜는 사람, 프로그래머를 다소 비하하는 말
프로그램 코드를 단순히 입력하는 하는 사람
프로그래머 :컴퓨터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분석 설계부터 구현까지 가능한 사람 (수학 좀 하는 사람) ;;;
네이버왈~ 근데 신기하네요 네이버에서 복사해서 붙어넣기 하면 네이버라는 출처도 되니 신기
프로그램 코드를 단순히 입력하는 하는 사람
프로그래머 :컴퓨터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분석 설계부터 구현까지 가능한 사람 (수학 좀 하는 사람) ;;;
네이버왈~ 근데 신기하네요 네이버에서 복사해서 붙어넣기 하면 네이버라는 출처도 되니 신기
코더는 전산(컴퓨터) 뿐만 아니고 보안이 요구되는 즉, 암호(암구호)를 사용하는 부서에서 매우 엄청난 그리고 독립성이 강한 직업의 소유자를 말하기도 합니다.(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에 코더가 되려고 엄청 노력했으나 번번히 떨어졌다는 동화가 있습니다. 왜 어셈블리라는 언어가 그리도 어려웠는지... 좀 더 공부했더라면 합니다.)
위에 설명해 놓으신 것이 네이버에서 왔다기에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니 이렇게 나오는 군요..
코더 : coder
1. 암호를 만드는 사람[기계] 2.【전자】 평상 신호를 특정의 전신 암호로 바꾸는 장치
위에 설명해 놓으신 것이 네이버에서 왔다기에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니 이렇게 나오는 군요..
코더 : coder
1. 암호를 만드는 사람[기계] 2.【전자】 평상 신호를 특정의 전신 암호로 바꾸는 장치
프로그램어는 대게 AP,SP 로 나뉩니다.
코더는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AP)를 지칭하고 있는것 같은데
아마도 PHP 처럼 객체지향이 아닌 예전의 코볼처럼 순차적인 선언에 의한
언어로 개발할때는 왼쪽에서 몇 칸 띄우고.. 상단에 어떤 디비젼 같은 것을
선언을 해주어야 했습니다. 이때 모눈종이 같은 칸이 그려져 있는 종이(코딩용지)에
프로그램을 쓰는 작업을 코딩이라고 했던데서 유래한듯 합니다.
위와 같은 AP의 과정을 거쳐야 자신의 JOB에 필요한 하드웨어적인 공간을
Superuser 에게 요청을 하는데 Superuser(주무부서의장) 아래에 SP가 있습니다.
SP는 AP들이 하고 있는 JOB들을 관리하고 하드웨어적인 관리를 합니다.
XP에서 작업관리자 처럼 죽였다 살렸다 관리를 합니다.
또 만약 AP들이 데이터를 입력을 하거나 같은 작업의 반복이 있을 경우,
기계를 관리하는 OP는 따로있지만..
보통은 여자 OP(입력원,오퍼레이터)들인데 기가막히죠...
데이터 호환이 안될때 데이터 입력원을 부르는데 손톱 다친다고 키보드위에
수건 깔아놓고 딱 입력하고 갑니다.
이처럼 인력 자원을 부르거나 시스템의 예측,구매,보수하는 권한을 SP들이 가집니다.
SP 고참은 컴퓨터를 자주 만지지 않습니다.
SP를 외부에서 솔루션적으로 돕는 작업을 하는게 하드웨어 판매업체에서 파견된 CE가 있고
소프트웨어 판매처에서 파견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SE)가 있답니다.
무엇이든 영어,일어가 따라줘야..면장도 하겠죠..^^;;
코더는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AP)를 지칭하고 있는것 같은데
아마도 PHP 처럼 객체지향이 아닌 예전의 코볼처럼 순차적인 선언에 의한
언어로 개발할때는 왼쪽에서 몇 칸 띄우고.. 상단에 어떤 디비젼 같은 것을
선언을 해주어야 했습니다. 이때 모눈종이 같은 칸이 그려져 있는 종이(코딩용지)에
프로그램을 쓰는 작업을 코딩이라고 했던데서 유래한듯 합니다.
위와 같은 AP의 과정을 거쳐야 자신의 JOB에 필요한 하드웨어적인 공간을
Superuser 에게 요청을 하는데 Superuser(주무부서의장) 아래에 SP가 있습니다.
SP는 AP들이 하고 있는 JOB들을 관리하고 하드웨어적인 관리를 합니다.
XP에서 작업관리자 처럼 죽였다 살렸다 관리를 합니다.
또 만약 AP들이 데이터를 입력을 하거나 같은 작업의 반복이 있을 경우,
기계를 관리하는 OP는 따로있지만..
보통은 여자 OP(입력원,오퍼레이터)들인데 기가막히죠...
데이터 호환이 안될때 데이터 입력원을 부르는데 손톱 다친다고 키보드위에
수건 깔아놓고 딱 입력하고 갑니다.
이처럼 인력 자원을 부르거나 시스템의 예측,구매,보수하는 권한을 SP들이 가집니다.
SP 고참은 컴퓨터를 자주 만지지 않습니다.
SP를 외부에서 솔루션적으로 돕는 작업을 하는게 하드웨어 판매업체에서 파견된 CE가 있고
소프트웨어 판매처에서 파견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SE)가 있답니다.
무엇이든 영어,일어가 따라줘야..면장도 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