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된 짓. 정보
못된 짓.
본문
추천
0
0
댓글 19개

ㅋㅋ 와사비는 안써있는데 와사비도 들어있나요

@nanati 요즘 한국 과자에 녹차와 와사비가 많이 들어 가고 있어요. 진짜 괴물맛...ㅠㅠ

@묵공 전 와사비 맛 과자 좋아해요 ㅋㅋㅋ 일본에도 많죠 흐흐

@nanati 저도 평소 와사비는 즐겨 먹는데 이게 과자에 들어 가면 왠지..그 맛이...영...매운 청국장에 맛동산을 같이 먹는 기분이라고 할까요?ㅎㅎㅎ


@nanati 오신다는 소식이 있으면 맛동산에 와시비를 발라 놓고 공항에서 대기하고 있겠습니다.

@묵공 맛동산도 좋아하고 와사비도 좋아하는데 큰일났네요...



오늘 마트에서 봤던 과자네요...
가격은 올리고... 과자는 실험용으로 나오고....
가격은 올리고... 과자는 실험용으로 나오고....

@iwebstory 보통 와사비와 녹차 맛은 덤핑을 치더라구요. 그만큼 맛이 없다는 거죠.

@묵공 그걸 살 뻔 했는데....... 마누라가 말려서 안샀는데.. 샀으면.. 한 소리 들을 뻔 했네요. 핫.. ㅜㅜ


닉이랑 제목이 묘하게...



와사비가 고추냉이인가요? 겨자가 와사비인가요? 이거 구분이 항상 헛갈리네요. 술안주로 좋을듯도 합니다ㅋ 멸치깡 부대찌링 곱창구칩 이런거 나올날도 머잖았네요.

@쪼각조각 고추냉이죠... 녹색요~ ㅎ

@쪼각조각 와사비가 고추냉이고 겨자는 겨자아닐까요? 저도 헷갈리네요.ㅎㅎㅎ

위키백과사전에 의하면
흔히 와사비라 일컫던 것을 대체할 한국어 명칭(한국어 순화어)으로 고추냉이가 널리 알려지게 되어 방송에서도 종종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학명 Wasabia koreana에 해당하는 식물에 대한 명칭으로, 와사비라 일컫는 향신료의 재료가 되는 식물과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별개의 식물로 볼 수 있다. 그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식물학계에서 "광릉에서 채집보고된 W. koreana(=Cardamine pseudowasabi)는 고추냉이로, 울릉도에 도입되어 야생으로 퍼져 자라며 전국에서 재배되기도 하는 W. japonica(=Eutrema japonica)는 겨자냉이로 불러야 타당할 것이다"라는 제안이 나오게 되었다[1] . 그러나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시중의 국어사전에는 와사비의 한국어 순화어로 고추냉이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식물학계와 한국어학계 간의 소통을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https://ko.wikipedia.org/wiki/고추냉이
흔히 와사비라 일컫던 것을 대체할 한국어 명칭(한국어 순화어)으로 고추냉이가 널리 알려지게 되어 방송에서도 종종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학명 Wasabia koreana에 해당하는 식물에 대한 명칭으로, 와사비라 일컫는 향신료의 재료가 되는 식물과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별개의 식물로 볼 수 있다. 그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식물학계에서 "광릉에서 채집보고된 W. koreana(=Cardamine pseudowasabi)는 고추냉이로, 울릉도에 도입되어 야생으로 퍼져 자라며 전국에서 재배되기도 하는 W. japonica(=Eutrema japonica)는 겨자냉이로 불러야 타당할 것이다"라는 제안이 나오게 되었다[1] . 그러나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시중의 국어사전에는 와사비의 한국어 순화어로 고추냉이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식물학계와 한국어학계 간의 소통을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https://ko.wikipedia.org/wiki/고추냉이

@해피정 와사비=고추냉이=겨자가 모두 한 뜻이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