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7~9시간은 자야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하루 7~9시간은 자야 정보

하루 7~9시간은 자야

본문

저녁 11시

 

일단 지금 자도 건강에는 큰 도움이 됩니다.

 

알면서도 못 하고는 있습니다. ㅡㅡ.

 

이제 주무세요.

그리고 새벽에 일어나는 겁니다!

 

11시. 하나, 둘, 셋. 새벽 2시 

조금 빠르죠?

 

새벽 3시 기상. 

4시간은 잘 수 있습니다.

 

깼는데 멀쩡한 거예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오래 못 사실 것 같기는 해요. 이렇게 자면요.

 

하루 7~9시간은 자야

건강하게 명을 다하여 살 수 있다고 해서요.

 

저녁 10시 이전에 주무시면 많이 이롭다고 합니다.

 

가장 최근까지 조사한 결과입니다. ~~

추천
0
  • 복사

댓글 4개

http://dongascience.donga.com/special.php?idx=987
과학적인 접근방법이네요?

‘잠을 적게 자고도 멀쩡하니 얼마나 좋을까’ 라고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대신 이들의 수명은 보통 초파리에 비해 짧았기 때문이다.
인간에게도 셰이커와 같은 기능을 가진 유전자가 있다.
초파리로 잠 유전자를 연구하는 최준호 카이스트 교수는
“잠은 항상성이 있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든
평균 수면시간을 채우려는 경향이 있다”며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항상성이 충족되지 못하면
반대급부로 수명이 단축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수면을 늘리는 대표적인 유전자 ABCC9가 있는 사람은 좀 더 자고
그 이유는 칼륨 이온 통로에 있다. 네. 그렇군요.

신경세포는 이 통로를 통해 신경정보를 뇌로 전달하는데,
ABCC9 유전자가 이 통로를 망가뜨려 신경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면량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변이가 일어난 셰이커 유전자(아미노산 하나가 다른 것)도
칼륨 이온 통로를 망가뜨린다.

칼륨 이온 통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ing1134&logNo=70176141699
http://www.seehint.com/word.asp?no=14250
https://ko.wikipedia.org/wiki/이온_통로
http://www.ksmcb.or.kr/file/bio_2016/lectures/cv14.pdf

//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618601001

‘바이페이직 수면’(biphasic sleep)으로도 불리는 분할 수면

건강에 이롭나요? 해롭나요?
분할 수면은 많은 이점이 있어 그동안 행하며 살았어요.
잠을 나눠서 자면 오래 살아요? 일찍 죽어요? < 중요한 것은 이것.
오래 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며 살았어요!
제 전문 패턴입니다. 잠을 나눠서 잔다!

//

https://www.bbc.com/korean/features-41775870

중요한 것은 하루 6시간 이하로 잠이 부족하거나
오히려 10시간 이상 잠을 많이 자는 이들이
평균적으로 더 건강하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사춘기 전 단계 아이들은 하루 11시간,
갓 태어난 아기는 18시간,
10대 청소년은 10시간까지 자는 것을 권유한다.

하지만 성인의 경우, 7시간에서 9시간 사이의 잠을
자는 것이 가장 질병에 걸릴 확률이 낮다.

하루 1~2시간만 덜 자도 건강에 해가 된다.
며칠간 밤을 새워야 건강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헐. 가끔 그랬는데요. 다시는 안 할래요!

//

http://kormedi.com/1229395/수명-연장하는-적정-수면-시간/

평균 수면 시간(7~9시간) 그룹
5시간 그룹
10시간 이상씩 자는 그룹

이와 관련해 한국인의 적정 하루 수면 시간은 7~8시간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 대학 예방의학교실
연구 팀에 따르면, 7~8시간 수면을 취하는 사람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연구 팀은 1993년부터 함안, 충주 등 4개 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사람 1만3164명을 15년 이상 추적하여
2010년까지 확인된 1580명의 사망자를 조사했다.

//

http://www.consumerwi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2

수면시간의 길이가 수명을 좌우한다

수면시간이 4시간보다 작은 경우... 80% 단명

60세 이상의 노년층은 매일 다섯 시간 반에서
일곱 시간 정도 수면하는 것이 좋다.

알츠하이머학회의 한 연구에 따르면, 매일 밤 수면이 7시간이내로
제한된 노인은 대뇌의 노쇠가 2년 정도 늦게 온다. 그러나
7시간 이상의 장시간 수면, 혹은 수면부족은 주의력 약화를
불러오고 노년 치매나 조기 사망의 위험이 증가한다.

30-60세의 청장년: 매일 7시간정도의 수면을 취할 것

성년 남자는 약 6시간 50분정도, 성년 여자는 7시간30분 정도의
수면이 적당하고, 밤10시부터 새벽 5시에는 가장 양질의 수면시간이다.

오, 남자 여자 다르네?

13-29세의 청년 시기: 매일 8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한다.

이 연령대의 청소년은 통상 매일 8시간의 수면이 필요하고,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원칙을 준수해야한다.
밤 3시정도에는 깊은 수면상태에 들어 있어야 한다.
평상시 밤12시에는 잠자리에 들어야 하고,
아침 6시에는 기상해야 한다.

4-12세의 아동: 매일 10-12시간 수면을 취할 것

4-10세의 아 동은 매일 12시간의 수면이 필요하고
매일저녁 9시 정도에는 잠자리에 들고
오후에 약간의 낮잠을 자는 것이 좋다.

연령이 많아질수록 아동의 수면시간은 10시간에서
심지어 8시간만 자도 충분해진다.

/////////////////////////////////

https://www.sciencetimes.co.kr/?news=머리-잘-쓰려면-하루-78시간-자야

머리 잘 쓰려면 하루 7~8시간 자야 좋다.

http://kormedi.com/1287471/장수를-위한-생활습관-적정-수면시간-유지법-10/
적어도 7시간

https://news.joins.com/article/23207200

'한국인 적정 수면시간은 7~8시간'이라는
권고 사항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시간 이상 자면 심장병·뇌졸중 등
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다.
취침·기상 시간이 불규칙하면 뇌혈관질환 위험이 2배 높아졌다. 

하루 7∼8시간 잘 경우 심혈관질환 등 각종 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이 가장 낮다는 국내 연구 결과에 따라
그동안 한국인의 적정 수면시간은 7∼8시간으로 권고됐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이보다 짧은 5∼7시간을 잘 때
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가장 낮다고 밝혀진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협심증·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하루 수면시간이 5∼7시간보다 길수록 커졌다.
수면시간이 5∼7시간인 그룹에 비해
수면시간이 7∼9시간인 그룹과 9시간 이상 자는 그룹의
심혈관질환 위험은 각각 1.9배, 2.8배로 더 높았다.

https://namu.wiki/w/잠
평균적으로 적정 수면 시간은 완전히 뇌가 잠들어서,
수면 뇌파를 발생시키는 시간을 기준으로 6~8시간이다.

////////////////////

가장 최근 기사는?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87511#0BJz
연령별 권장 수면 시간은 어린이의 경우 9~11시간,
청소년은 8~9시간, 성인은 7~9시간, 노인은 7~8시간이 적당하다.

어쩌라는 거지? 왜 계속 바뀌지?

외국 애들은?

National Sleep Foundation Recommends New Sleep Times
https://www.sleepfoundation.org/press-release/national-sleep-foundation-recommends-new-sleep-times

Age                               Recommended    May be appropriate
Teenagers 14-17 years        8 to 10 hours    7 hours 11 hours
Young Adults 18-25 years    7 to 9 hours      6 hours 10 to 11 hours
Adults 26-64 years            7 to 9 hours      6 hours 10 hours
Older Adults ≥ 65 years      7 to 8 hours      5 to 6 hours 9 hours

맞추기 힘드네? 테이블로 그려야 할 것 같음.

전체 평가? 7시간 자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은 분위기.
별로 안 잤는데도 멀쩡한 기분이 나는 이유

수면의 질을 좌우하는 '90분'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917373

모두 좋은데 방법이 없네요?

최근 수면 전문가들은 수면 직후부터 90분까지 이뤄지는
첫 번째 논렘 수면에 주목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107604

논렘 수면은 피로를 풀고 기억을 저장하는 깊은 잠의 단계다.
첫 논렘 수면이 이뤄지는 90분을 ‘수면의 골든타임’이라고 부른다.

이때가 전체 수면시간 중 가장 깊은 잠을 자는 단계
잠든 직후 90분 동안 숙면하면 평소보다 적게 자더라도
다음날 개운함을 느낄 수 있다.

////////////////////////

개운할 뿐이지 수명에는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혼자 생각입니다. ㅡㅡ)
알레르기가 있어서 어제 약 먹고 잤는데 아침 10시에 일어났네요.
약사가 이 약 먹으면 조금 졸리실거에요. 했는데 허언이 아니었어요. ㅎ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