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질문..sp1과 sp2의 컴퓨터 공유 정보
급질문..sp1과 sp2의 컴퓨터 공유
본문
급한데다가 마땅한 곳이 업어서
여기다가 질문 올립니다.
sp2를 처음 써보는지라..
집에 컴퓨터가 공유기를 통하여
제 작업용 컴퓨터와 막내별 컴퓨터
제 노트북과 똥팔육 노트북 이렇게 네대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오늘 막내별의 컴퓨터 하드 디스크가 맛이 가서
하드 디스크를 SATA로 교체하여 주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부터입니다.
ST1에서는 SATA 디스크가 인식이 되지 않아서
(CMOS에서는 잡히지만
파티션 구도로 넘어가기 전에 하드디스크를 인식할수 없다고 나옵니다.)
부랴부랴 SP2를 구해서 설치하니 잘 되긴합니다.
그런데 예상치 못했던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SP2가 깔린 컴에서는 SP1이 깔린 컴으로 접속이 가능하고 파일의 복사 및 삭제도 가능합니다.
SP1이 깔린 컴에서는 SP2가 깔린 컴이 보이긴 하지만
들어가려고 하면 뭔 계정과 아이디를 물어 옵니다.
이 계정과 아이디는 어디서 설정해야 하는지요?
IPX/SPX 프로토콜 설치하였고
작업그룹도 같이 되어 있고 일단 방화벽도 해제를 해 두었는데도
SP1이 깔린 컴에서 SP2가 깔린 컴으로 들어가려고 할때마다
아이디와 계정을 물어 옵니다.
경험 있으신 분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추천
0
0
댓글 10개

인터넷 연결공유는 잘 되고 있습니다.

SP2 가 깔린 컴터가 부팅시 락이 걸려 있나요?

아뇨..락은 안걸려 있습니다.

SATA 디스크는 SP1에 인식시키려면
진행과정에서 강제인식을 하게 한 뒤에 플로피 디스크에
드라이브를 담아서 넣어 줘야 하는데 대용량 플래시메모리를 두개나 쓰기 때문에
플로피 디스크를 안 씁니다.
그래서 SP2를 깔았더니 애먹이는군요.
진행과정에서 강제인식을 하게 한 뒤에 플로피 디스크에
드라이브를 담아서 넣어 줘야 하는데 대용량 플래시메모리를 두개나 쓰기 때문에
플로피 디스크를 안 씁니다.
그래서 SP2를 깔았더니 애먹이는군요.

플로피를 안쓰셔도 인식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nlite를 사용해서 sp1시디에 sata구동용 파일을 넣어 버리면 씨디부팅시 바로 읽을수 잇습니다..
nlite를 사용해서 sp1시디에 sata구동용 파일을 넣어 버리면 씨디부팅시 바로 읽을수 잇습니다..

제가 자주 다니던 곳에서의 자료입니다..
[답변내용-1]
각각의 컴에 상대 컴에서 현재 로그온하는 사용자랑 같은 이름과 같은 암호의 사용자를 추가하고, 안전을 위해 관리자그룹 말고 유저그룹이나 게스트그룹에 등록하세요. 보안 설정을 안건드렸다면 게스트를 포함해서 모든 사용자 그룹이 네트웍에서 접근 가능하게 되어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네트웍 접근 가능에 유저그룹이 포함되있고, 거부엔 에버리원과 유저,게스트그룹이 없거든요. 그상태라면 접속될겁니다. 접근 가능에 관리자나 뭐 다른그룹은 없어도 됩니다.
보안 설정에서 공유에 영향 줄만한게.. 2000은, 익명연결에 추가제한, 랜매니저 인증수준 이정도겠네요. 엑스피는 랜매니저 인증수준, sam계정과 공유의 익명 열거.. 대충 이정도만 살피면 될거같네요. 그외에 레지스트리에서 익명연결 제한하는거랑 서비스 같은거 수정했으면 복구 해주시고.
또, 공유폴더의 공유권한에 읽기가 가능하게 되어있는지랑, 해당 폴더의 사용권한에 유저그룹이나 해당 사용자가 읽기가 가능한지도 보시고요... ^^*
[답변내용-2]
홈을 쓰시나요? 아니면 프로를 사용하시나요.. 중요한 문제중 하나이고욤.. 홈에서는 공유가 안될 수도 있으니.. 유의 하시고염.. 프로라면 공유할 드라이버나 폴더를 선택합니다.. 사전에 탐색기 옵션중에 모든 폴더에 동일한 권한 지정이라는 게 있는 데 이것을 푸세요.. 그래야 2000이랑 쓰는 방식이 같아집니다.. 그리도 또 하나 관리 옵션 가셔서 게스트 계정도 열어두셔야 겠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유져.. 원하는 폴더나 드라이버에서 새공유를 선택한다음 권한을 따로 지정하든가 아니면 에버리원을 읽고 쓰기 가능하게 체크를 해주면 됩니다.. 점 더 보안을 기한다면 사용자컴에 어드민 아이디를 여러개 등록하시고염 어드민만 접근하게 하셔도 되겠죠..
[답변내용-3]
방법은 제어판 -> 관리도구 ->로컬보안설정->보안옵션 에서
네트워크엑세스 sam계정과 공유의 익명 열거 혀용 안함 을 *사용안함*으로 해놔야 공유가 가능
하더군요~ 재부팅후 적용
그런데 xp정품을 깔고 써팩 깔거 보안 패치를 하면 이게 자동으로 활성화가 돼는 현상이 잇는것
같습니다~ 즉 보안패치 내에 이 옵션에 자동활성화 버그나 옵션이 존재 하는듯하네요~
전에 xp 프로 깔때는 이옵션이 사용안함으로 돼어 있엇는데 이번 보안패치 (서팩) 하면서 사용함
으로 바뀌네요~ 혹시 저와 같은 현상 이신분들은 확인 해보시는게 조을듯 하네요~
[답변내용-4]
기본적으로 윈도우 XP에 IPX/SPX/NetBios 프로토콜을 설치해주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실행해서 다시 한번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타 운영체제에는 네트워크 설정 하지 않는걸 마지막으로 고르시고 완료 하시면 됩니다.
[답변내용-5]
2000서버에서 보안설정에서 공유를 하셨는지 꼭 체크한 후에..
IPX/SPX를 설치하세요...그런다음에...사용자를 추가해주세요..아니면 게스트계정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공유폴더 보안을 설정하시던가..XP사용자이던지...XP에서 이 사용자로 공유를 하던가..
XP에서도 IPX/SPX를 설치한후에 공유설정을 하셔야 합니다.이것은 할 줄 아시나 봅니다.
ip는 고정이던지 상관이 없습니다.ipx/spx이면...
[답변내용-6]
공유폴터로 끌어 놓으세요.. 아님 시작 검색에서 파일이름을 찾아보세요.
그래되.안되실때는...
일단은 설정의 제어판에서 관리도구를 실행합니다.
그럼 몇게의 프로그램이 뜨는데... 거기서 컴퓨터 관리를 실행하세요
글쿠나서 로컬 및 사용자그룹 밑의 사용자를 클리하면 Guest가 X표 되어 있으면 네트워크가
안됩니다.
2000도 마찬가지구요
속성으로 가서 계정 사용안함에 점이 찍어져 있으면 없에구 네트워크 공유해보세요
그럼 끝
[답변내용-7]
XP 자체적으로 방화벽 서버가 구축이 되어 있어서
XP 보다 하위 버젼의 운영체제와 네크워크 공유를 해주실려면..
XP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홈 네크워킹 마법사로 공유를 설정을 하셔야 될겁니다.
만져 본지가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 가물 한디 ~
바탕화면에 네크워크환경에 속성에 들어가시면 ~
로컬연결 .. 나오는 부분 옆 좌측에 보시면 홈 어쩌구 하는거 있을껀디
그걸로 설정 작업하셔야지만 아마 공유가 될듯 합니다.
[답변내용-8]
윈도 2000 에서 암호가 걸려서 아마 안될것입니다...
컴퓨터 관리 모드에 들어가서
로컬 사용자 및 그룹에 들어가세요
그리고 사용자에 아이디 하나 만들어서
접근할때 만든 아이디로 공유하면 간단하죠 ~
[답변내용-9]
일단 workgroup의 이름을 같게 하고 xp의 계정중 guest계정을 사용가능하게 합니다
그리고 나면 네트워크에 윈2000을 깐 컴도 나타나는데요
클릭하면 패스워드를 넣으라고 나올것입니다
여기서 패스워드는 adim계정의 패스워드를 넣으면 됩니다
그러면 접속이 되지요 파일 공유도 문제없구요
참고로, NTFS포맷으로 설치한 분들은 게스트 사용가능으로 하고 폴더공유가능으로 하면 됩니다.
그냥 무조건 하드를 공유하려고 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답변내용-10]
두대의 pc가 동시에 연결되었다면 아주 간단합니다. 무선랜이든 유선랜으로 연결되어 있던지 말입니다.
우선 각각의 pc의 작업 그룹을 동일하게 해줍니다. 이름을 같게 맞추어 주세요.(꼭 그럴 필요는 없지만 이후 작업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그 리고 각각의 pc의 로컬 사용자를 동일한 이름으로 등록합니다. 물론 관리자(administrator)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겠지요. 이것도 귀찮다면 administrator의 암호를 동일하게 하면 됩니다. 이것도 귀찮다면 두 administrator 암호 모두 빈 공간으로 남겨 두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것은 아주 위험합니다. 특히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pc라면... .방법은 컴퓨터 관리를 실행시키거나 실행->compmgmt.msc를 처서 실행 시켜도 됩니다. 일단 실행 시킨후 로컬 사용자및 그룹->사용자에서 위의 방법대로 새로 사용자를 만들던지 administrator 암호를 동일화 시키던지 결론은 두 pc모두 동일한 이름과 암호로 설정된 것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합니다. 꼭 로그인 할 때 이것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각 각의 pc에 공유할 폴더를 새로 만들던지 이미 있다면 공유를 시키시면 그만입니다. 기본적으로 보안설정이 everyone에 읽기,쓰기,수정까지 다 되니까요. 바이러스나 해킹이 위험스러우시다면 읽기만 설정해야 되고 읽기 쓰기 모두 안전하게 하고 싶다면 특정 이름과 암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기 까지는 너무 복잡하니까 그냥 기본설정으로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각각의 공유된 폴더를 찾으면 됩니다. 방법은 바탕화면의 내 네트워크 환경을 실행시켜서 브라우징 된 pc를 찾던지 아니면 실행->"\\컴퓨터이름\공유폴더이름"을 입력하고 실행키면 공유된 폴더창이 뜹니다. 만약 두 모두 administrator로 로그인 되지 않았다면 이름과 암호를 넣어라고 하는 창이 뜨는데 처음에 만든 동일한 이름과 암호를 넣으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답변내용-11]
클라이언트의 제어판 => 사용자 및 암호 항목에서 XP에서 사용할 계정을 등록해 보세요.
[답변내용-12]
XP에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를 2003에서 만들어줘야 합니다!
관리도구 -> 컴터관리 -> 로컬사용자그룹 -> 사용자 에서 새 사용자를 만들면 됩니다.
[답변내용-13]
윈도우즈 xp에서
탐색기 -> 폴더옵션 -> 보기 -> 모든 네트워크의 공유 어쩌구 저쩌구(추천) -> 앞에 체크를 없앤후 재부팅 합니다.
그리고 시작 -> 실행 -> \\xxx.xxx.xx.xx\c$
그리고 엔터를 친 후 아뒤와 암호(2000의) 넣으면 들어가 집니다.
xxx.xxx.xx.xx <=== 이것은 2000의 아이피 주소입니다.
참고로...
\\ip\드라이브문자$ <<이건 관리공유라는 건데 이걸로 네트웍 드라이브를 연결시에는 2000의 관리자의 계정명과 비번이 필요합니다. 일반 유저용 아디로는 접근할 수 없고...일부 백신등을 설치하면 관리공유가 보안상의 문제로 해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컴퓨터관리-공유에서 관리공유가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2000을 쓰는 컴퓨터의 파일시스템이 ntfs라면 폴더-등록정보-보안탭에서 권한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공유의 사용권한에서 백날 권한줘봐야...보안탭에서 권한 없으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답변내용-14]
윈도우 2000의 관리도구의 컴퓨터관리에 보시면 사용자관리
여기 보면 사용자와 그릅이 있는데 사용자안의 guest를 클릭하여보면 정보가 표시되고 그안의 이계정 사용하지 않음의 체크박스를 지워주시면 될겁니다.
참고로, 안되실때는..
시작-제어판-관리도구-컴퓨터 관리-시스템 도구-로컬 유저와 그룹-유저 에 보면 guest 계정이 비활성화 되어 있을껍니다. 더블클릭 하셔서 활성화 시켜주면 됩니다.
이상... 여러 답변을..모아 봤읍니다... 참고해 보세요... ^^*
[답변내용-1]
각각의 컴에 상대 컴에서 현재 로그온하는 사용자랑 같은 이름과 같은 암호의 사용자를 추가하고, 안전을 위해 관리자그룹 말고 유저그룹이나 게스트그룹에 등록하세요. 보안 설정을 안건드렸다면 게스트를 포함해서 모든 사용자 그룹이 네트웍에서 접근 가능하게 되어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네트웍 접근 가능에 유저그룹이 포함되있고, 거부엔 에버리원과 유저,게스트그룹이 없거든요. 그상태라면 접속될겁니다. 접근 가능에 관리자나 뭐 다른그룹은 없어도 됩니다.
보안 설정에서 공유에 영향 줄만한게.. 2000은, 익명연결에 추가제한, 랜매니저 인증수준 이정도겠네요. 엑스피는 랜매니저 인증수준, sam계정과 공유의 익명 열거.. 대충 이정도만 살피면 될거같네요. 그외에 레지스트리에서 익명연결 제한하는거랑 서비스 같은거 수정했으면 복구 해주시고.
또, 공유폴더의 공유권한에 읽기가 가능하게 되어있는지랑, 해당 폴더의 사용권한에 유저그룹이나 해당 사용자가 읽기가 가능한지도 보시고요... ^^*
[답변내용-2]
홈을 쓰시나요? 아니면 프로를 사용하시나요.. 중요한 문제중 하나이고욤.. 홈에서는 공유가 안될 수도 있으니.. 유의 하시고염.. 프로라면 공유할 드라이버나 폴더를 선택합니다.. 사전에 탐색기 옵션중에 모든 폴더에 동일한 권한 지정이라는 게 있는 데 이것을 푸세요.. 그래야 2000이랑 쓰는 방식이 같아집니다.. 그리도 또 하나 관리 옵션 가셔서 게스트 계정도 열어두셔야 겠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유져.. 원하는 폴더나 드라이버에서 새공유를 선택한다음 권한을 따로 지정하든가 아니면 에버리원을 읽고 쓰기 가능하게 체크를 해주면 됩니다.. 점 더 보안을 기한다면 사용자컴에 어드민 아이디를 여러개 등록하시고염 어드민만 접근하게 하셔도 되겠죠..
[답변내용-3]
방법은 제어판 -> 관리도구 ->로컬보안설정->보안옵션 에서
네트워크엑세스 sam계정과 공유의 익명 열거 혀용 안함 을 *사용안함*으로 해놔야 공유가 가능
하더군요~ 재부팅후 적용
그런데 xp정품을 깔고 써팩 깔거 보안 패치를 하면 이게 자동으로 활성화가 돼는 현상이 잇는것
같습니다~ 즉 보안패치 내에 이 옵션에 자동활성화 버그나 옵션이 존재 하는듯하네요~
전에 xp 프로 깔때는 이옵션이 사용안함으로 돼어 있엇는데 이번 보안패치 (서팩) 하면서 사용함
으로 바뀌네요~ 혹시 저와 같은 현상 이신분들은 확인 해보시는게 조을듯 하네요~
[답변내용-4]
기본적으로 윈도우 XP에 IPX/SPX/NetBios 프로토콜을 설치해주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실행해서 다시 한번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타 운영체제에는 네트워크 설정 하지 않는걸 마지막으로 고르시고 완료 하시면 됩니다.
[답변내용-5]
2000서버에서 보안설정에서 공유를 하셨는지 꼭 체크한 후에..
IPX/SPX를 설치하세요...그런다음에...사용자를 추가해주세요..아니면 게스트계정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공유폴더 보안을 설정하시던가..XP사용자이던지...XP에서 이 사용자로 공유를 하던가..
XP에서도 IPX/SPX를 설치한후에 공유설정을 하셔야 합니다.이것은 할 줄 아시나 봅니다.
ip는 고정이던지 상관이 없습니다.ipx/spx이면...
[답변내용-6]
공유폴터로 끌어 놓으세요.. 아님 시작 검색에서 파일이름을 찾아보세요.
그래되.안되실때는...
일단은 설정의 제어판에서 관리도구를 실행합니다.
그럼 몇게의 프로그램이 뜨는데... 거기서 컴퓨터 관리를 실행하세요
글쿠나서 로컬 및 사용자그룹 밑의 사용자를 클리하면 Guest가 X표 되어 있으면 네트워크가
안됩니다.
2000도 마찬가지구요
속성으로 가서 계정 사용안함에 점이 찍어져 있으면 없에구 네트워크 공유해보세요
그럼 끝
[답변내용-7]
XP 자체적으로 방화벽 서버가 구축이 되어 있어서
XP 보다 하위 버젼의 운영체제와 네크워크 공유를 해주실려면..
XP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홈 네크워킹 마법사로 공유를 설정을 하셔야 될겁니다.
만져 본지가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 가물 한디 ~
바탕화면에 네크워크환경에 속성에 들어가시면 ~
로컬연결 .. 나오는 부분 옆 좌측에 보시면 홈 어쩌구 하는거 있을껀디
그걸로 설정 작업하셔야지만 아마 공유가 될듯 합니다.
[답변내용-8]
윈도 2000 에서 암호가 걸려서 아마 안될것입니다...
컴퓨터 관리 모드에 들어가서
로컬 사용자 및 그룹에 들어가세요
그리고 사용자에 아이디 하나 만들어서
접근할때 만든 아이디로 공유하면 간단하죠 ~
[답변내용-9]
일단 workgroup의 이름을 같게 하고 xp의 계정중 guest계정을 사용가능하게 합니다
그리고 나면 네트워크에 윈2000을 깐 컴도 나타나는데요
클릭하면 패스워드를 넣으라고 나올것입니다
여기서 패스워드는 adim계정의 패스워드를 넣으면 됩니다
그러면 접속이 되지요 파일 공유도 문제없구요
참고로, NTFS포맷으로 설치한 분들은 게스트 사용가능으로 하고 폴더공유가능으로 하면 됩니다.
그냥 무조건 하드를 공유하려고 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답변내용-10]
두대의 pc가 동시에 연결되었다면 아주 간단합니다. 무선랜이든 유선랜으로 연결되어 있던지 말입니다.
우선 각각의 pc의 작업 그룹을 동일하게 해줍니다. 이름을 같게 맞추어 주세요.(꼭 그럴 필요는 없지만 이후 작업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그 리고 각각의 pc의 로컬 사용자를 동일한 이름으로 등록합니다. 물론 관리자(administrator)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겠지요. 이것도 귀찮다면 administrator의 암호를 동일하게 하면 됩니다. 이것도 귀찮다면 두 administrator 암호 모두 빈 공간으로 남겨 두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것은 아주 위험합니다. 특히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pc라면... .방법은 컴퓨터 관리를 실행시키거나 실행->compmgmt.msc를 처서 실행 시켜도 됩니다. 일단 실행 시킨후 로컬 사용자및 그룹->사용자에서 위의 방법대로 새로 사용자를 만들던지 administrator 암호를 동일화 시키던지 결론은 두 pc모두 동일한 이름과 암호로 설정된 것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합니다. 꼭 로그인 할 때 이것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각 각의 pc에 공유할 폴더를 새로 만들던지 이미 있다면 공유를 시키시면 그만입니다. 기본적으로 보안설정이 everyone에 읽기,쓰기,수정까지 다 되니까요. 바이러스나 해킹이 위험스러우시다면 읽기만 설정해야 되고 읽기 쓰기 모두 안전하게 하고 싶다면 특정 이름과 암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기 까지는 너무 복잡하니까 그냥 기본설정으로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각각의 공유된 폴더를 찾으면 됩니다. 방법은 바탕화면의 내 네트워크 환경을 실행시켜서 브라우징 된 pc를 찾던지 아니면 실행->"\\컴퓨터이름\공유폴더이름"을 입력하고 실행키면 공유된 폴더창이 뜹니다. 만약 두 모두 administrator로 로그인 되지 않았다면 이름과 암호를 넣어라고 하는 창이 뜨는데 처음에 만든 동일한 이름과 암호를 넣으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답변내용-11]
클라이언트의 제어판 => 사용자 및 암호 항목에서 XP에서 사용할 계정을 등록해 보세요.
[답변내용-12]
XP에서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를 2003에서 만들어줘야 합니다!
관리도구 -> 컴터관리 -> 로컬사용자그룹 -> 사용자 에서 새 사용자를 만들면 됩니다.
[답변내용-13]
윈도우즈 xp에서
탐색기 -> 폴더옵션 -> 보기 -> 모든 네트워크의 공유 어쩌구 저쩌구(추천) -> 앞에 체크를 없앤후 재부팅 합니다.
그리고 시작 -> 실행 -> \\xxx.xxx.xx.xx\c$
그리고 엔터를 친 후 아뒤와 암호(2000의) 넣으면 들어가 집니다.
xxx.xxx.xx.xx <=== 이것은 2000의 아이피 주소입니다.
참고로...
\\ip\드라이브문자$ <<이건 관리공유라는 건데 이걸로 네트웍 드라이브를 연결시에는 2000의 관리자의 계정명과 비번이 필요합니다. 일반 유저용 아디로는 접근할 수 없고...일부 백신등을 설치하면 관리공유가 보안상의 문제로 해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컴퓨터관리-공유에서 관리공유가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2000을 쓰는 컴퓨터의 파일시스템이 ntfs라면 폴더-등록정보-보안탭에서 권한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공유의 사용권한에서 백날 권한줘봐야...보안탭에서 권한 없으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답변내용-14]
윈도우 2000의 관리도구의 컴퓨터관리에 보시면 사용자관리
여기 보면 사용자와 그릅이 있는데 사용자안의 guest를 클릭하여보면 정보가 표시되고 그안의 이계정 사용하지 않음의 체크박스를 지워주시면 될겁니다.
참고로, 안되실때는..
시작-제어판-관리도구-컴퓨터 관리-시스템 도구-로컬 유저와 그룹-유저 에 보면 guest 계정이 비활성화 되어 있을껍니다. 더블클릭 하셔서 활성화 시켜주면 됩니다.
이상... 여러 답변을..모아 봤읍니다... 참고해 보세요... ^^*

공유폴더 접근시 사용자 이름이 비활성화 또는 접근 거부화면이 나오는 문제
XP 내컴퓨터 ->오른쪽마우스클릭 -> 관리에서 게스트계정 활성화 여부 확인
게스트 계정 비활성화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 속성 클릭
"계정사용 안함"에 되어 있는 체크를 풀어주고 적용 -> 확인을 합니다.
접근하는 컴퓨터를 로그오프 또는 restart시켜 다시 공유폴더에 접근하면 접근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XP 내컴퓨터 ->오른쪽마우스클릭 -> 관리에서 게스트계정 활성화 여부 확인
게스트 계정 비활성화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 속성 클릭
"계정사용 안함"에 되어 있는 체크를 풀어주고 적용 -> 확인을 합니다.
접근하는 컴퓨터를 로그오프 또는 restart시켜 다시 공유폴더에 접근하면 접근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전에 제가 당황했던거랑 같은것 같습니다.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cm_free&wr_id=145395&sca=&sfl=wr_name%2C1&stx=%B8%ED%C7%D4%BE%C6%C0%CC&sop=and
관리에서 a라는 사용자를 생성하시고 비번 1234 해서 접속하고자 하는 곳에서 사용자를 물어오면 a 1234로 로그인을 하면 연결이 됩니다.
중간 설명은 위 연후아빠님이 잘 해주셨네요^^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cm_free&wr_id=145395&sca=&sfl=wr_name%2C1&stx=%B8%ED%C7%D4%BE%C6%C0%CC&sop=and
관리에서 a라는 사용자를 생성하시고 비번 1234 해서 접속하고자 하는 곳에서 사용자를 물어오면 a 1234로 로그인을 하면 연결이 됩니다.
중간 설명은 위 연후아빠님이 잘 해주셨네요^^

오래전 비슷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때 전,
암호를 묻는 컴의 로그인 설정을
바꾼 후
암호담당 폴드를 제거하고
재 부딩 후 로그인대화창에 확인을 한 후
컴의 로그를 해제시켰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전,
암호를 묻는 컴의 로그인 설정을
바꾼 후
암호담당 폴드를 제거하고
재 부딩 후 로그인대화창에 확인을 한 후
컴의 로그를 해제시켰던 적이 있었습니다.

도움주신 헐오라버님,연후아빠님,명함아이님,소망님 감사합니다.
sp2가 무거운것 같아서
CD 구워서 드러이브 인식 시킨 후에 SP1로 깔았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sp2가 무거운것 같아서
CD 구워서 드러이브 인식 시킨 후에 SP1로 깔았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