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 업데이트 때 유용한 파일 비교 프로그램 [kiss] 정보
그누보드 업데이트 때 유용한 파일 비교 프로그램 [kiss]
본문
그누보드 업데이트 때 유용한 파일 비교 프로그램
그누보드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관리하는 건 매우 신경 쓰이는 일입니다.
특히, 만든지 오래된 홈페이지의 경우 어디를 고쳤는지 기억이 나지도 않고... 으아... 미쳐요.
그렇다고 그냥 놔두자니 보안 문제 때문에 더 신경 쓰이고...
그럴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winmerge"입니다.
- 기존 파일과 새 파일 내부에서 코드 소스가 바뀐 부분을 찾아 줍니다.
- 변경된 파일도 찾아 줍니다. 즉, 폴더를 비교해 주는 것입니다.
- 이미지 정보가 바뀐 것도 찾아 줍니다.
- 심지어, 바이너리 모드에서도 바뀐 곳을 찾을 수 있습니다.
너무 고마운 것은!!!
무료 프로그램이고 오픈소스라는 것입니다!!!!!
가보시면, 홈페이지도 구형이고 win XP이상이라는 것 때문에 지금도 사용이 가능할까 걱정이 되겠지만,
릴리즈 보시면 2023년에도 꾸준히 업데이트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 : 이거 외에, 그누보드 업데이트 때 유용한 방법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세요~~~!!!!!
추천
7
7
관련링크
https://winmerge.org/?lang=ko
181회 연결
댓글 9개

저도 Winmerge 사용합니다.
그누보드 패치 파일만 받아서 한 폴더에 낮은 버전부터 최신버전 까지 압축해제 후
패치할 사이트와 비교 및 적용하면 좋습니다.
그누보드 패치 파일만 받아서 한 폴더에 낮은 버전부터 최신버전 까지 압축해제 후
패치할 사이트와 비교 및 적용하면 좋습니다.

윈머지 좋죠.
git으로 코드 관리하는 걸 추천합니다.
보통은 그누보드 저장소를 클론한 후에 브랜치를 하나 만들고 거기에 사이트 소스를 덮은 후 변경사항을 커밋하면 됩니다.
후에 업데이트는 master -> 사이트브랜치로 병합하면 업데이트 완료죠. 매번 어디가 바뀌었는지 확인해서 하나씩 고칠 필요가 없죠.
물론, 충돌이 발생한다면 고쳐야하고 git을 다룰 줄 알아야겠지만 조금만 고생해두면 나머지가 아주 편해지죠.
git 사용이 가능한 서버라면 파일업로드도 더욱 편리해지고요.
git으로 코드 관리하는 걸 추천합니다.
보통은 그누보드 저장소를 클론한 후에 브랜치를 하나 만들고 거기에 사이트 소스를 덮은 후 변경사항을 커밋하면 됩니다.
후에 업데이트는 master -> 사이트브랜치로 병합하면 업데이트 완료죠. 매번 어디가 바뀌었는지 확인해서 하나씩 고칠 필요가 없죠.
물론, 충돌이 발생한다면 고쳐야하고 git을 다룰 줄 알아야겠지만 조금만 고생해두면 나머지가 아주 편해지죠.
git 사용이 가능한 서버라면 파일업로드도 더욱 편리해지고요.

@jihan?
그누보드 원본을 upstream 저장소로 등록하면,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하실겁니다.
그누보드를 fork 한 원격 저장소는 downstream 이 되고, 보통 내 저장소니 origin main 이 됩니다.
그누보드 원본을 upstream 저장소로 등록하면,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하실겁니다.
그누보드를 fork 한 원격 저장소는 downstream 이 되고, 보통 내 저장소니 origin main 이 됩니다.

@솔그루 물론이죠. 원본 저장소를 업스트림으로 추가하기 전에 내 코드를 관리하는 저장소가 먼저 구축되어야하고 저게 그 단계죠.
내 코드를 master의 브랜치를 따서 따로 관리하고 업스트림으로 추가해서 마스터 간에 업데이트를 받아오고 그걸 다시 내 브랜치로 병합하는거죠.
master로 바로 받아도 되지만 따로 브랜치를 따는게 충돌 해결이나 내 코드 변경이력이 master와 섞이지 않는게 관리하기 좋더군요.
어쨌든 저장소를 새로 만들어서 내 코드를 관리하는게 아니라, 그누보드 원본 저장소를 클론하여 시작하는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죠.
간혹 그냥 새 저장소를 파고 시작해버려서 오히려 병합하기 곤란한 환경을 만들어버려서 git 사용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꼭 있더군요.
내 코드를 master의 브랜치를 따서 따로 관리하고 업스트림으로 추가해서 마스터 간에 업데이트를 받아오고 그걸 다시 내 브랜치로 병합하는거죠.
master로 바로 받아도 되지만 따로 브랜치를 따는게 충돌 해결이나 내 코드 변경이력이 master와 섞이지 않는게 관리하기 좋더군요.
어쨌든 저장소를 새로 만들어서 내 코드를 관리하는게 아니라, 그누보드 원본 저장소를 클론하여 시작하는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죠.
간혹 그냥 새 저장소를 파고 시작해버려서 오히려 병합하기 곤란한 환경을 만들어버려서 git 사용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꼭 있더군요.

한때는 이걸 사용했었지요.ㅋ

@비타주리 : 지금은 혹시 더 좋은 거라도 있는지요....???


이런게 있다니 .. 감사합니다.!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