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까방권이라는게 있는걸까요? 정보
평생 까방권이라는게 있는걸까요?
본문
2002년 월드컵에서 우리는 길거리의 모르는 사람과 부등켜 안고 승리의 기쁨을 맛보고
출전 선수들에서 까방권(까임방지권?) 이라는 걸 줬지요.
그런데 지금의 축구 감독은 이 까방권이 먹히지 않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때는 그랬지만 지금은 다르다~
3
베스트댓글

솔직히 축구선수로서의 실력은 김민재가 낫습니다.
감독은 선수시절 평범했던 사람들이 더 뛰어나구요.
슈퍼스타가 감독이 되면 선수들이 못할때 왜 이게 안되지? 나는 현역때 되었는데. 이렇게 됩니다.
특히 슈퍼스타 공격수치고 명감독은 더 어려워요.
우리나라에서 성과를 냈던 히딩크나 벤투도 선수시절 평범해서 문제점이 생기면 개인능력보다 조직의 힘으로 극복하려 했지요.
공격수 슈퍼스타 출신은 이회택 차범근 클린스만 등이 있는데 제일 못했습니다.
제가 축구감독 삼대장으로 꼽는 엘레니오 에레라나 리누스 미헬 그리고 아리고 사키는 다 선수시절 무명이었구요.
이 세명은 카테나치오 토탈리즘 압박축구 등 축구역사를 분기한 혁명적 패러다임을 연 사람들이구요.
특히 현대축구는 아리고 사키 축구의 해석에 불과해요.
지금의 축구는 사키이즘의 우산 아래에 있습니다.
그 사키는 선수였던 적이 없었는데 누가 이걸 가지고 트집을 잡으니까 경마의 기수가 말이 되어봐야할 필요는절대로 없다는 명언을 남겼지요.
홍명보는 감독 능력이 평범합니다. 상대가 원톱을 쓰나 투톱을 쓰나 쓰리톱을 쓰나 펄스나인의 제로톱을 쓰나 무조건 평행포백 하나만 고집합니다.
상대에 따라서 쓰리백과 높낮이 편차를 둔 세미 포백과 정통포백을 적시로 구사하던 히딩크와 비교조차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명감독은 내가 잘하는 걸 더 잘하게 만드는 능력보다는 상대방이 못하는 걸 더 못하게 만드는 감독이 능력치가 높은 감독입니다. 후자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진짜 공부를 많이 해야 합니다.
이런점에서 클린스만은 빵점입니다. 잘난 선수들의 잘난 능력을 전력의 최우선으로 두는 식이지요.
무조건 외국감독 왔어야 했어요.
그리고 눈이 앞으로만 향하는 공격수 출신과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수비수 출신보다는 팔방 시각에서 균형을 가지는 미드필더 출신의 평범한 선수가 후일 명감독이 될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승부는 조치훈의 스승인 기다니의 명언처럼 강한자가 이기는게 아니라 이기는자가 강한 것입니다.
승부를 못하는 감독은 현역시절 위상과는 별개로 그저 애물단지에 불과하며 애물단지로 전락하면 이전의 까방권도 해제되는게 이치입니다.

영원한 리베로 홍명보. 지금 축구를 보는 세대들이 230대가 많다보니 홍명보의 입지가 없어서 그런거 같아요. 2002 월드컵을 본 세대들이라면 홍명보를 그렇게 생각할 수 없을 것입니다.

@리자 뭐랄까, 일은 잘하는데 결정적일 때 깐족거리는 직원이 있는 것 같아요.
그렇다고 밉상은 아니고 엄청 빠릿한데 2% 부족한 것 같기고 하고.
암튼 그런 것 같은 느낌.
댓글 15개

영원한 리베로 홍명보. 지금 축구를 보는 세대들이 230대가 많다보니 홍명보의 입지가 없어서 그런거 같아요. 2002 월드컵을 본 세대들이라면 홍명보를 그렇게 생각할 수 없을 것입니다.

웬만하면 그럴 수 있는데 우리 축구에 끼친 해악을 생각하면
그 친구 얼굴 보면 볼수록 기분이 언짢아 지던데요.

(지금처럼만 하면) 까방권 인 듯요... ㅎ

@지운아빠 뭔소리야? (내방으로)
ps. 같은 회사 사람입니다. ^^

@리자 뭐랄까, 일은 잘하는데 결정적일 때 깐족거리는 직원이 있는 것 같아요.
그렇다고 밉상은 아니고 엄청 빠릿한데 2% 부족한 것 같기고 하고.
암튼 그런 것 같은 느낌.

@늘솔 0.01그램 부족합니다.

@리자 이었던이 아니고 입니다? 재취업 하신건가요? :-)

직원의 역량이 있고,
리더의 역량이 있습니다.
해외 나갈때 인터뷰를 봤습니다.
어제, 답변도 봤습니다.
제가선수로서는 좋게 평을 드리지만
감독으로서는,
낙제점주고 싶습니다.

그누보드를 평생 무료배포중인 분도 까방권 획득이 힘든 마당에
평생 까방권이라뇨

솔직히 축구선수로서의 실력은 김민재가 낫습니다.
감독은 선수시절 평범했던 사람들이 더 뛰어나구요.
슈퍼스타가 감독이 되면 선수들이 못할때 왜 이게 안되지? 나는 현역때 되었는데. 이렇게 됩니다.
특히 슈퍼스타 공격수치고 명감독은 더 어려워요.
우리나라에서 성과를 냈던 히딩크나 벤투도 선수시절 평범해서 문제점이 생기면 개인능력보다 조직의 힘으로 극복하려 했지요.
공격수 슈퍼스타 출신은 이회택 차범근 클린스만 등이 있는데 제일 못했습니다.
제가 축구감독 삼대장으로 꼽는 엘레니오 에레라나 리누스 미헬 그리고 아리고 사키는 다 선수시절 무명이었구요.
이 세명은 카테나치오 토탈리즘 압박축구 등 축구역사를 분기한 혁명적 패러다임을 연 사람들이구요.
특히 현대축구는 아리고 사키 축구의 해석에 불과해요.
지금의 축구는 사키이즘의 우산 아래에 있습니다.
그 사키는 선수였던 적이 없었는데 누가 이걸 가지고 트집을 잡으니까 경마의 기수가 말이 되어봐야할 필요는절대로 없다는 명언을 남겼지요.
홍명보는 감독 능력이 평범합니다. 상대가 원톱을 쓰나 투톱을 쓰나 쓰리톱을 쓰나 펄스나인의 제로톱을 쓰나 무조건 평행포백 하나만 고집합니다.
상대에 따라서 쓰리백과 높낮이 편차를 둔 세미 포백과 정통포백을 적시로 구사하던 히딩크와 비교조차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명감독은 내가 잘하는 걸 더 잘하게 만드는 능력보다는 상대방이 못하는 걸 더 못하게 만드는 감독이 능력치가 높은 감독입니다. 후자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진짜 공부를 많이 해야 합니다.
이런점에서 클린스만은 빵점입니다. 잘난 선수들의 잘난 능력을 전력의 최우선으로 두는 식이지요.
무조건 외국감독 왔어야 했어요.
그리고 눈이 앞으로만 향하는 공격수 출신과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수비수 출신보다는 팔방 시각에서 균형을 가지는 미드필더 출신의 평범한 선수가 후일 명감독이 될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승부는 조치훈의 스승인 기다니의 명언처럼 강한자가 이기는게 아니라 이기는자가 강한 것입니다.
승부를 못하는 감독은 현역시절 위상과는 별개로 그저 애물단지에 불과하며 애물단지로 전락하면 이전의 까방권도 해제되는게 이치입니다.

@비타주리 경마의 기수가 말이 되어봐야할 필요는 절대로 없다
엄청난 명언이네요~


@Gothrock 스리르 인가요?

@리자 ai가 뭐 다 그렇죠~

누군가 그러더라구요.
실력과 가르침은 다르다
예) 코딩은 잘하지만, 그 기술을 타인에게 가르치는 걸 어렵+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