꺼벙이.. 고도리...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꺼벙이.. 고도리... 정보

꺼벙이.. 고도리...

본문

순 우리말로 된 동물 새끼들 몇의 명칭..

 

 

1. 꺼벙이. 

1949017410_1737937745.6787.jpg

병아리와 달리 줄무늬가 선명한 꿩의 새끼를 일컫는 말입니다.

꺼벙이는 행동이 병아리와 달라, 상당히 멍청해 보인다고.. 그래서 어리숙한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로도 사용되었다고 하는군요.

꺼벙이가 조금 더 자라면  "줄레" 라고 불렀답니다.

 

 

2. 개호주

1949017410_1737937873.6162.jpg

호랑이 새끼

 

 

3. 고도리

화투 놀이의 하나인 고스톱에서 고도리(5점 짜리 새 - 일본어에서 유래)가 아니라,

고등어 새끼 입니다.

1949017410_1737937989.7035.jpg

 

 

4. 솔받이1949017410_1737938019.1753.jpg

한 배에서 나온 세마리 강아지.

 

 

5. 송치 

태중에 있는 송아지(아직 태어나지 않은...)

 

6.악재기

1949017410_1737938124.4881.jpg

학의 새끼

 

 

7. 초고리

1949017410_1737938156.2247.jpg

새끼 매

 

 

8. 태성 

이마가 흰 망아지

 

 9. 학배기

잠자리 애벌레

 

10.팽팽이 

열목어 새끼

 

11. 열쫑이

겨우 날기를 시작한 새의 새끼들

 

12. 애소리 

새의 새끼들 통합해서 부르는 단어.

 

13. 풀치 

갈치 새끼

 

14. 발강이

잉어 새끼

 

15. 모쟁이, 모롱이

송어 새끼

 

16. 떡마래미

방어 새끼

 

17. 능소니

1949017410_1737938376.0142.jpg

새끼 곰.

 

 

18. 껄떼기

농어 새끼

 

 

19. 노가리

술 안주로 자주 등장하니 다들 아시죠?

명태 새끼 입니다.

 

20. 꽝다리

조기 새끼

 

21. 굼벵이 

매미의 애벌레

 

22. 간자미

가오리 새끼

 

 

순 우리말 단어들은 잘 몰라도 정겹게 들리는 듯 합니다. ^^

 

  

추천
5
  • 복사

댓글 11개

@Gothrock 

우리말에는 다른 언어에서는 볼 수 없는 

수많은 표현들과 단어들이  참 많습니다.

 

그건 

우리 민족이 그만큼 오래된 민족이라는 방증이라..

 

뚝심(끈기)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마를 표현한 것 이라니 참 재밌네요.ㅎㅎ

 

아마도 "뚝배기" 처럼 생긴 이마를 표현한 것이 아닐까 싶군요.

발탄강아지 - 이제 막 걸음 떼기시작한 강아지

새살치 - 전어 새끼, 조금 더 크면 전어사리, 그보다 더 크면 엇사리...

 

 

노가리 고도리 풀치나 간자미는 어촌 동네에서 흔히 듣던 말이긴한데요, 새끼를 일컬어서 이런 다양한 표현이 있는 이유가 뭐였을지 궁금하긴 하네요.

경험상 생선 새끼는 먹거리 용도에서 쓰임새나 조리법이 확 달라지니까 마치 다른 개체인 것처럼 구분지으려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군요.

 

어미와 새끼의 명칭이 다른것에

그런 이유도 있겠지만, 

어미개체와 새끼 개체를 전혀 다른 생물로 파악했던 이유도 있었을 것이라고도 하는군요.

 

또한,  강아지, 망아지 등에 사용되는 "아지"는 작은 것 이라는 뜻의 순 우리말이라고 합니다.

 

노가리, 굼벵이 빼고는 다 처음 들어보는 말입니다.

제가 한쿡사람 맞나 싶습니다.

 

참 정감가고 이뿌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크론이 

많은 순 우리말 단어들이 사라지며,

그 자리를 신조어 또는 영어로 채워지고 있지요.

 

언어라는게 그렇게 변하는 것이라 어쩔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아쉬운 마음이...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