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오시는 분들 중에 rest_api 제작 중이신 분 계신지요? 정보
커뮤니티 오시는 분들 중에 rest_api 제작 중이신 분 계신지요?
본문
냑 커뮤니티 사용자 중에 현재는 개발이 중단은 되었지만,
그누보드 rest api 를 활용하여, 사이트 제작 중이신분 계신지요 ?
손 놓기 보다 서로 으쌰으쌰 해서 AI 도움 받아 완성하는게 어떨까? 싶기도 하고
그리고 정보 공유도 좀 하고...
기존에 개발 중이던 코드를 싹 갈아엎고 15버전으로 밑바닥부터 다시 만들고 있는데요
토큰 문제야 이미 냑 측에서 개발이 완료된 상태라 크게 문제는 없지만,
게시판의 글등록 + 첨부파일 등록 문제가 조금 있는데 ...
어떻게 해결하셨을까?
싶기도 하고 ...이런 저런 이야기가 하고 싶습니다.
1
베스트댓글

@glitter0gim 저기요?
그냥 시비가 아닌 논리와 반박으로 댓글 달아보겠습니다.
1. 나홀로라고 언급하셨습니다.
언제 어디서 나혼자 열심히 개발하는 중입니다라고 제가 언급했습니까?
누군가에게 욕 먹으면서까지 API 개발 문법이 어렵다라고 했던 사람인데 ㅡ.ㅡ
2. 커뮤니티라는곳이 이런것도 할수있고 저런곳도 할수있는곳입니다.
개발중단 되었으니 비속어로 갖다버려야 합니까?
좋은거고 가치가 충분하니 언급한거라 생각 안되시나요?
3. 오픈소스의 개념을 님께서 좋아하시는 클로드에 물어보시겠습니까?
4. 제 본문에 공식으로 열어 달라는 글이 어디 있는지 캡쳐나 인용 부탁드리겠습니다.
5. 진짜 비아냥 거려서 죄송한데요? 중단된 사유를 진짜 모르겠어요?
전 리네 글 올리고 리자님 댓글 보자마자 딱 알겠던데?
6. 누구랑 논의를 해야되는건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심지어 버그 제보시 인력 부족으로 개인이 수정해야되는 상태인데요?
부탁드립니다.
싫어하지 말아달라는 권한은 없습니다.
저 역시도 님이 싫습니다.
누구나 누구를 싫어할 수는 있습니다.
차라리 무관심이 낫지 적어도 없는 이야기 혹은 본인 판단으로 이렇다라고 단정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하지도 언급하지도 않은 이야기와 함께 비슷한 맥락이라는 이유로 본인 해석을 타인에게 권유하지 말아 주십시요
다시 한번 더 부탁 드리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가 싫으시면 차단을 하세요
시비를 걸지 마시구요
이전에는 몰랐는데 오늘 봤거든요?
댓글 진짜 시비 걸고 싶어서 안달난 사람 처럼 보였는데요
언급하시고 강조하신 "개발"
직설적으로 여쭤볼게요
"개발"해보신 적 있으세요?
여기까지입니다

많이 뜨거운 글이 되었네요.
각자의 신념과 주관으로 발전을 위한 대화들이지 근거나 맹목적으로 우기는 대화는 아닌것 같아 그래도 SIR라는 커뮤니티의 수준을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그누보드로 인해 누구나 쉽게 사이트를 제작하고 경험할 수 있다는 것에 다시 한번 감사하게 되는 날이네요.
일요일인데 모두 즐겁게 보내시고 이런 의견들이 발전되어 더욱더 발전하는 SIR를 응원해봅니다~!!!

그누 깃허브에 사람이 없어요.
거기 이슈나 PR이 거의 제가 올린 겁니다.
깃허브에 코드 올라온지가 12년? 가량 지난 것 같은데, 제가 1년여 간 시간 쪼개가며 활동한 게 거의 대부분을 채울 정도로 그누 저장소에 사람이 없습니다.
댓글 23개

멋진 생각을 가지고 계시네요 ㄷㄷ

@그레이코드82 잘 개발 되다가 사측 사정으로 인해, 중지 되어 안타까움에 눈물을 흘립니다 ㅠ
+@ 이건 여담으로, 이전부터 그누6 API로 개발하다가
(갈아엎기전 코드가 그누6)
다시 그누5 API 비공식 개발을 하셔서 그걸 토대로 다시 만들까? 했거든요
지금 얼추보면 앱까지 나온거 봐선, API 자체로는 문제가 없어 보이기는 한데 세세한 버그들이 좀 있어서 아쉬움에 ㅠㅠㅠ

버그, 이슈부터 공유되어야 고칠수가 있지요

@크라슐라 물론입니다. 그게 제 전문이기도 하구요 ㅎㅎ
그누6 에서는 거의 전담급으로 했었고 + 그누5 API 도 거의 버그 제보 열심히 했습니다.
자유게시판 자체에 그걸 하나하나 나열부터 해야 할까? 싶기도 합니다. 크라슐라님 말씀 들어보면 ㅎ

@미니님a 깃허브 이슈로 올려야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api 랑 앱 다운로드 쪽은 설명이 필요한부분이 있는데
없어가지고 버그처럼 보이는 부분도 있는거같아요.
저두 며칠간 보다가 말아가지고.. ㅎ


@미니님a 오픈소스인데 냑회원끼리 모여서 하면 되지않을까요
예전부터궁금했던게 라이믹스쪽은 이용자들 커밋활발한데
그누도 똑같이 오픈소스인데 이용자들 커밋 거의 없드라구요
버그 뭐있는지 궁금해요

@크라슐라 이 댓글에 대한 의문은 왠지 다른 분이 대신 해주실 것 같다는 느낌이...
다음 주쯤에 정리해서 업로드 해봐야겠습니다.
저야 리뉴얼 계획을 API 기반으로 변경할 것을 확정한 터라
시간은 많이 없어서 하루 하루 작업이 더디기는 하지만 꼭 마무리를 ㅠㅠ

길게 쓰다가 지웠습니다. 그누보드xAI 버전 기다릴렵니다.

@솔그루 새로운 프로젝트명?인가요? 첨 듣습니다

그누 깃허브에 사람이 없어요.
거기 이슈나 PR이 거의 제가 올린 겁니다.
깃허브에 코드 올라온지가 12년? 가량 지난 것 같은데, 제가 1년여 간 시간 쪼개가며 활동한 게 거의 대부분을 채울 정도로 그누 저장소에 사람이 없습니다.

@jihan006? 역시 댓글 남겨주실거라 생각했습니다. 추천으로. 대신합니다
작년에 슬림으로 REST 작업해 봐야겠다 싶어 auth 쪽만 해보다가 그누 공식 나온다고 해서 멈췄는데… 중단되었나 보군요 ㅜㅜ

@ifelse 저도 완성되믄 만들어야지 해서 시간 나니 해야지 하다가 이런 상황이 와버렸네요ㅜㅜ

나홀로 REST API 개발을 진행하다가 한계에 부딪히어서,
커뮤니티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가는 것으로 보이네요.
공식적으로 중단된 API를 개인적으로 계속 개발하는 것은 자유지만,
이를 커뮤니티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은 조금 신중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오픈소스라 해도 공식 개발팀이 정책과 방향성을 정하는 것이고,
커뮤니티 이용자는 그것을 기반으로 활용하는 것이 맞겠죠.
개인이 API를 활용하거나 확장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우리가 해볼 테니 공식적으로 열어달라’는 접근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공식 개발팀이 API 지원을 중단한 이유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요?
이를 충분히 검토하면서 논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glitter0gim 저기요?
그냥 시비가 아닌 논리와 반박으로 댓글 달아보겠습니다.
1. 나홀로라고 언급하셨습니다.
언제 어디서 나혼자 열심히 개발하는 중입니다라고 제가 언급했습니까?
누군가에게 욕 먹으면서까지 API 개발 문법이 어렵다라고 했던 사람인데 ㅡ.ㅡ
2. 커뮤니티라는곳이 이런것도 할수있고 저런곳도 할수있는곳입니다.
개발중단 되었으니 비속어로 갖다버려야 합니까?
좋은거고 가치가 충분하니 언급한거라 생각 안되시나요?
3. 오픈소스의 개념을 님께서 좋아하시는 클로드에 물어보시겠습니까?
4. 제 본문에 공식으로 열어 달라는 글이 어디 있는지 캡쳐나 인용 부탁드리겠습니다.
5. 진짜 비아냥 거려서 죄송한데요? 중단된 사유를 진짜 모르겠어요?
전 리네 글 올리고 리자님 댓글 보자마자 딱 알겠던데?
6. 누구랑 논의를 해야되는건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심지어 버그 제보시 인력 부족으로 개인이 수정해야되는 상태인데요?
부탁드립니다.
싫어하지 말아달라는 권한은 없습니다.
저 역시도 님이 싫습니다.
누구나 누구를 싫어할 수는 있습니다.
차라리 무관심이 낫지 적어도 없는 이야기 혹은 본인 판단으로 이렇다라고 단정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하지도 언급하지도 않은 이야기와 함께 비슷한 맥락이라는 이유로 본인 해석을 타인에게 권유하지 말아 주십시요
다시 한번 더 부탁 드리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가 싫으시면 차단을 하세요
시비를 걸지 마시구요
이전에는 몰랐는데 오늘 봤거든요?
댓글 진짜 시비 걸고 싶어서 안달난 사람 처럼 보였는데요
언급하시고 강조하신 "개발"
직설적으로 여쭤볼게요
"개발"해보신 적 있으세요?
여기까지입니다

오픈 소스에 점 하나만으로도,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면 개발인 것이지~
. . .
제발, 우월감에서 벗어나세요.
. . .
그리고, https://sir.kr/cm_free/1703174#c_1703194
이 댓글이 뭐가 문제인가요?
퍼블리싱을 하려면 기존의 타 프로젝트 수준을 충족하는 것이 기본이고,
거기서 더 나은 성능을 갖춰야 한다는 조언이 거북하신가요?
제 생각엔, 개인 프로젝트의 서브 폴더에나 두고 사용할 것을 퍼블리싱하는 것 같아서~

@glitter0gim 와.. 완전체였군요

제일 처음 slim을 사용해서 rest를 만들어 보다가, PHP는 저하고 안맞아서..
(그때 Chatgpt같은 것이 있어다면)
다음으로 도전해 본것이 node(nest.js) 인데, 생각보다 자료가 많이 있어서, 나름 어느정도 구현을 했었던 기억이..
그 때, 생각했던것이 RestAPI 스펙을 각각 구현하지 말고, 어느 통일된 스펙자료를 먼저 만들면 어떨까요 라고 했던 것 같습니다.
FastAPI버전의 API와 PHP Slim의 API가 구현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왔던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한번 설치해 보고, 바빠서 자세히 비교 못해 본 기억)
지금이라도 한국형 보드의 문서화를 통해서 만들어 두면, 그 기준으로 각각의 프런트엔드도 만들고, 그 기준으로 백엔드도 만들고 했으면 합니다.
시간이 된다면, 현재는 게시판(보드)+ 채팅(게시판과 연동) 까지 되는 솔루션을 만들어 보고 싶네요. 대세가 오픈 채팅방이라고 해서 지난 1년간 살아보니, 좋긴한데, 오픈 채팅방의 문제점(?) 3개월까지만 남아 있고, 좋은 자료는 지나면 찾기가 힘들고 해서, 게시판+채팅+Notification되는 것을 만들어 보고 싶네요.
한국형 보드의 문서화를 한다면, 조금이라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젠토 openapi spec 기준으로 맞추면
다른점이라고하면 slim 프레임워크에서는 put 메서드를 못쓴다는거 정도네요

@마젠토 생각해보면, rest api 관련 sir에 검색해보면 예전(?)에 업로드 해두신 자료 및 정보들이 많기는 하더라구요..
저 역시도, 나중을 위해서 개발이 완료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ㅠ
물론 유지보수 및 추가 개발은 나중 문제기는 하지만.

많이 뜨거운 글이 되었네요.
각자의 신념과 주관으로 발전을 위한 대화들이지 근거나 맹목적으로 우기는 대화는 아닌것 같아 그래도 SIR라는 커뮤니티의 수준을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그누보드로 인해 누구나 쉽게 사이트를 제작하고 경험할 수 있다는 것에 다시 한번 감사하게 되는 날이네요.
일요일인데 모두 즐겁게 보내시고 이런 의견들이 발전되어 더욱더 발전하는 SIR를 응원해봅니다~!!!

@그레이코드82 추천으로 대댓글 대신합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