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대에서 나쁜 기름을 골라 버렸더니 정보
씽크대에서 나쁜 기름을 골라 버렸더니
본문
참기름 하나 남네요. 양심고백을 하려면 일찍 하던가 이미 몇 십년에 거쳐 몇 드럼통은 마시고도 넘겼을 텐데...
이 영상이 신빙성이 있어 보이는 게 제가 어려서는 온통 돼지기름 뿐이 없었습니다. 핫도그니 뭐니 하는 길거리 튀김집에는 늘 버터처럼 굳어 있는 일명 쇼팅이라는 돼지기름통을 쌓아 놓고 튀겼구요. 이후 콩기름이다 뭐다 하는 씨앗을 가공한 제품들이 나왔는데 수치상으로 보나 체감상으로 보나 그 이후 국내 심혈관 질환자들이 급격하게 팽창~
1
베스트댓글
삼양라면의 우지-소기름- 파동이 생각나는군요.
삼양라면이 공업용 우지로 라면을 만들었다고 했던...
그 틈에 많은 라면 회사들이 설립 또는 제품 양산...
(사실 삼양라면은 초창기 부터 국민 건강을 위해, 우지를 사용했다고 함.)
1989년 당시 우지를 이유로,
삼양식품, 삼립유지, 서울 하인즈, 오뚜기식품, 부산 유지 등 5개 식품회사의
경영진 구속...
이후, 실제 우지의 유해성을 입증하지 못해, 5년 8개월의 소송 끝에 전원 무죄 판결..
그 사이, 삼양라면은 시장 점유율 31% ->10% 로, 서울 하인즈와 삼립유지는 롯데 삼강에 밀리고... 부산유지는 부도...
(사실, 당시 우지 파동이후 13일 만에 보건사회부 장관이 "인체에 해가 없다."고 발표 하기도 했으나, 언론들은 연일 맹폭함.. )
그 때 당시 삼양라면은 북미에 수출도 했었는데.. 그 사건으로 수출 축소..
라면 뿐만 아니라, 튀김류, 통닭등도 매출 감소...
그리고 그 혜택을 본 것은 농심...
당시 떠돌던 말은..
노태우 가 정치 헌금을 요구한 것을 거절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사실 "공업용 우지"라는 말은 아예 존재도 하지 않았던 기름이었고... 언론에서 만들어낸 신종단어 였다는...)
그런데... 내 어린 시절, 6~70년대 면실유, 낙화유(땅콩기름)는 흔하게 튀김에 사용되던 기름이기도 했는데...
댓글 5개

이래서 과자를 먹지 말라는거군요

@수평선1203 저 영상 말고 더 찾아 보시면 왜 비 정제 올리브유를 먹으라는 지에 대한 확신이 듭니다.
삼양라면의 우지-소기름- 파동이 생각나는군요.
삼양라면이 공업용 우지로 라면을 만들었다고 했던...
그 틈에 많은 라면 회사들이 설립 또는 제품 양산...
(사실 삼양라면은 초창기 부터 국민 건강을 위해, 우지를 사용했다고 함.)
1989년 당시 우지를 이유로,
삼양식품, 삼립유지, 서울 하인즈, 오뚜기식품, 부산 유지 등 5개 식품회사의
경영진 구속...
이후, 실제 우지의 유해성을 입증하지 못해, 5년 8개월의 소송 끝에 전원 무죄 판결..
그 사이, 삼양라면은 시장 점유율 31% ->10% 로, 서울 하인즈와 삼립유지는 롯데 삼강에 밀리고... 부산유지는 부도...
(사실, 당시 우지 파동이후 13일 만에 보건사회부 장관이 "인체에 해가 없다."고 발표 하기도 했으나, 언론들은 연일 맹폭함.. )
그 때 당시 삼양라면은 북미에 수출도 했었는데.. 그 사건으로 수출 축소..
라면 뿐만 아니라, 튀김류, 통닭등도 매출 감소...
그리고 그 혜택을 본 것은 농심...
당시 떠돌던 말은..
노태우 가 정치 헌금을 요구한 것을 거절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사실 "공업용 우지"라는 말은 아예 존재도 하지 않았던 기름이었고... 언론에서 만들어낸 신종단어 였다는...)
그런데... 내 어린 시절, 6~70년대 면실유, 낙화유(땅콩기름)는 흔하게 튀김에 사용되던 기름이기도 했는데...

@그레이 돼지기름이 건강식이 었다니...
기업+정치 가 되면 뭐든 개판이 되는 듯 합니다.

증국집 맛이 변한 것도 그 때문이죠.
라드유가 근본이죠 ㅋ
돼지기름에 굽듯이 볶아낸 볶음밥 먹고 싶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