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광랜과 DNSEver서비스 이용해서 집에서 웹서버 운영하시는분 계신가요? 정보
혹시 광랜과 DNSEver서비스 이용해서 집에서 웹서버 운영하시는분 계신가요?
본문
우리 동네에 ftth가 들어왔는데 혹시
광랜으로 집에서 웹서버 돌리는분 계신가요?
근처에 설치한 후배집 가보니까 업로드 속도가 75M나 나오던데.
서비스용으로는 떤지 조언 들어보려구요.
추천
0
0
댓글 35개
괜찮을거 같은데요? 트래픽이 걸릴 정도로 성장하면 그때 생각해보면 되겠죠? ㅎ

헛 샤워하고 오니까 답변이 달려있네요. 코멘트 감사합니다. ^_^

ups는 예전에 일하던 직장(네트웍)에서 월급대신 받아온 좋은게(?) 있고요.!!
예전에 윈도우 apm 성능이 오히려 같은 사양 리눅스 시스템보다 좋았던 기억이 있어서.
윈도우를 쓸 작정이에요. 6.1 고정이면 지금 받는 서버호스팅 100m 데디케트 속도보다 좋네요..
와 한번 시도 해봐야겠어요.
2차 네임서버 팁 정말 고마워요 !!!
예전에 윈도우 apm 성능이 오히려 같은 사양 리눅스 시스템보다 좋았던 기억이 있어서.
윈도우를 쓸 작정이에요. 6.1 고정이면 지금 받는 서버호스팅 100m 데디케트 속도보다 좋네요..
와 한번 시도 해봐야겠어요.
2차 네임서버 팁 정말 고마워요 !!!
? 글쎄요? apm이 리눅스보다 윈에서 성능이 더 좋다는 이야긴 님에게서 처음 듣는군요?
apm이 원래 리눅스용으로 개발되어서 컴파일까지는 아니더라도 바이너리버전도 윈용보다 성능이 낫다는 평은 들어 봤지만.....
그건 그렇고 ups, 스샷이라도 보고 싶군요 ㅎㅎㅎ
저는 동네에서 한번씩 전기수리하느라 그런지 전봇대전원을 리셋하는 바람에 죽을 맛입니다 ㅋ
apm이 원래 리눅스용으로 개발되어서 컴파일까지는 아니더라도 바이너리버전도 윈용보다 성능이 낫다는 평은 들어 봤지만.....
그건 그렇고 ups, 스샷이라도 보고 싶군요 ㅎㅎㅎ
저는 동네에서 한번씩 전기수리하느라 그런지 전봇대전원을 리셋하는 바람에 죽을 맛입니다 ㅋ

apc ups인데. 정면은 정 사각형모양입니다.
http://www.upskorea.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18002000001&search=&sort=brandname
요거랑 비슷하게 생겼는데 좀더 작아요.
지금 찾아보니 그렇게 좋은 모델은 아닌가봐요 ㅠ.ㅠ
http://www.upskorea.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18002000001&search=&sort=brandname
요거랑 비슷하게 생겼는데 좀더 작아요.
지금 찾아보니 그렇게 좋은 모델은 아닌가봐요 ㅠ.ㅠ

http://www.javaservice.net/%7Ejava/bbs/read.cgi?b=engine&c=r_p&m=appserver&n=1089731620&s=t
실제로 그회사 시스템 실장이 해본 과부화 테스트에선 윈 2003에서의
apm이 두배가까이 더 오래 버텼고요.
일단 제가 윈도 시스템이 더 익숙하고요.
실제로 그회사 시스템 실장이 해본 과부화 테스트에선 윈 2003에서의
apm이 두배가까이 더 오래 버텼고요.
일단 제가 윈도 시스템이 더 익숙하고요.

헛 답변다는 동안 코멘트가 없어졌네요. ㅠ.ㅠ

흐흐흐.. 지훈님 죄송합니다. 답변 잠깐 삭제 했어요... 저도 샤워 하고 방금에서야(^^)
너무 환경이 좋습니다 그 정도면은 그리고 LINUX가. 올레 더 좋킨 하죠.. 그런데 관리자 힘듭니다. 오히려.. 지훈님께서 말씀하신것 처럼 원 APM이 더 편할수가 있어요...
원도우 같은 경우는 보안 패치가 자동으로 이후어 지니까요... 단 시간적 여유가 많으시면 리눅스를 추천 드립니다... UPS 정말 좋은데요(^^)
그리고 트레픽 걱정은 안하셔두 좋습니다. 사이트 아까 혹시 들어 가 보셨는지요??
그곳 제가 계정 몇분이나 이용하는지 모르게.. 봐봤는데. 200분 정도 계시더라구요.. 유령회원도 있겠지만. 속도 거의 죽지 않터라구요... DNS는.. 아까 말씀 드린것 처럼 1차 2차.. 따로 지정해 두시면은 ㅋㅋ 유료 사이트두 가능 합니다.
너무 환경이 좋습니다 그 정도면은 그리고 LINUX가. 올레 더 좋킨 하죠.. 그런데 관리자 힘듭니다. 오히려.. 지훈님께서 말씀하신것 처럼 원 APM이 더 편할수가 있어요...
원도우 같은 경우는 보안 패치가 자동으로 이후어 지니까요... 단 시간적 여유가 많으시면 리눅스를 추천 드립니다... UPS 정말 좋은데요(^^)
그리고 트레픽 걱정은 안하셔두 좋습니다. 사이트 아까 혹시 들어 가 보셨는지요??
그곳 제가 계정 몇분이나 이용하는지 모르게.. 봐봤는데. 200분 정도 계시더라구요.. 유령회원도 있겠지만. 속도 거의 죽지 않터라구요... DNS는.. 아까 말씀 드린것 처럼 1차 2차.. 따로 지정해 두시면은 ㅋㅋ 유료 사이트두 가능 합니다.

가정집이니까 아이피 공유기 엮어서 사용하시겠네요.. 포트 DNS 52번 HTTP 80번 오픈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DMZ는 절대 하지 마세요~ 보안상(^^)

아까 들어가본 사이트..! 굉장히 빠른던데요.!
리눅스 배우고 싶어요. ㅠ_ㅠ
이것저것 설치하고 배우려고 해봤는데.
설치하는것도 헤맸어요. 텔넷하고, ftp 그리고 패키지로 기본 설치된 apm 돌아가는것 까지만
해봤어요.
리눅스 배우고 싶어요. ㅠ_ㅠ
이것저것 설치하고 배우려고 해봤는데.
설치하는것도 헤맸어요. 텔넷하고, ftp 그리고 패키지로 기본 설치된 apm 돌아가는것 까지만
해봤어요.

최지훈님 이제 게시물 삭제 하지 않으셔두 됩니다(+_+) 수고 하시고 서버 오픈 하게 되면은 첫타로 알려 주세요(^^) 수고 하세요~

네 그렇게 되면 알려드릴게요! 재밌는얘기도, 조언도 감사했어요 ^_^

별로 말도 안했는데요 뭐~~ ㅋㅋ 주말 잘 보내시고 수고 하세요() 게시물 삭제 해주셔서 ㄳ 합니다^^

궁금하시면 속도 비교해보세요....^^
웹호스팅의 홈 : http://photofly.in/
내컴의 테스트서버 홈 : http://photofly.wo.tc/
디자인이 같으니까 비교가 잘 될겁니다...^^
웹호스팅의 홈 : http://photofly.in/
내컴의 테스트서버 홈 : http://photofly.wo.tc/
디자인이 같으니까 비교가 잘 될겁니다...^^

좋아요(^^)참고로 내컴의 테스트 서버 홈피 더 빠르다는 사실(^^)

네... 맞습니다...
호스팅 받고 있는게 변동이 심해서 불만이 많습니다...^^
으측상단의 채팅하기도 테스트 해보세요....^^
호스팅 받고 있는게 변동이 심해서 불만이 많습니다...^^
으측상단의 채팅하기도 테스트 해보세요....^^

와.. 대단하네요. 다이나믹(?)도메인 네임서버 서비스만 안전하다면 실제로 집에서 서버 운영해도 되겠어요.

버츄얼 호스팅 셋팅으로 현재 홈이 여러개가 동시에 돌아갑니다...^^
디엔서버에는 다이나믹 클라이언트 유틸이 아니고,
그냥 아이피로 걸어놨습니다...^^
디엔서버에는 다이나믹 클라이언트 유틸이 아니고,
그냥 아이피로 걸어놨습니다...^^

NT로 돌리실꺼면 NT에서 도메인 쌔팅 하세요! 원도 2003

apm은 xampp 쓰시나요?

apm 은 그냥 다 따로따로 받아서 개별로 셋팅했습니다...

와 사이트도 멋져요!!

유동아이피 인데. 네임서버 세팅가능해요?

당연 가능합니다+ 재미 난 건 ISP회사에서 80번 포트는 막아두 DNS 53번 포트는 절대로 안막습니다^^

유동아이피라도 요즘은 아이피 변경이 거의 없더군요....^^
유리선으로 바꾸고 나서 한번도 아이피가 변경된적이 없답니다...^^
변경되면 그때가서 다이나믹 디엔에스 사용하면 되죠...ㅋㅋ
유리선으로 바꾸고 나서 한번도 아이피가 변경된적이 없답니다...^^
변경되면 그때가서 다이나믹 디엔에스 사용하면 되죠...ㅋㅋ

히히. 맥어드레스만 동일 하면은 1년 정도 안바뀔꺼 같습니다^^ (1년은좀 오바 1개월ㅋㅋ)
저번에. 이용하던 통신회사도 1년에 한번꼴로 제가 억지로 바꿔 준 기억이 납니다^^(9년사용 thr******)
원격을 많이 이용하다 보니까! 게임방에 무차별적으로 제 아이피가. 떠 다녀서^^
저번에. 이용하던 통신회사도 1년에 한번꼴로 제가 억지로 바꿔 준 기억이 납니다^^(9년사용 thr******)
원격을 많이 이용하다 보니까! 게임방에 무차별적으로 제 아이피가. 떠 다녀서^^

아. 정말 좋은거 잘 구경했습니다. 의문도 많이 풀렸고요. 세분 모두 고마워요 ^_^

사이트 사진 굉장하네요. 가입해서 자세히 구경해야겠어요.

테스트 서버는 백업본이라서 잠시후에 방화벽을 가동할겁니다....^^
테스트를 위해서 잠시 열어놨거든요...
테스트를 위해서 잠시 열어놨거든요...

네 알겠습니다. ㅎㅎ

만약 유동아이피에서 본격적으로 웹서비스를 한다면
통신사에서 모니터링을 통하여 아이피 변경등으로 조치를 취할테니,
본격적인 서비스는 제약이 따르겠죠?
통신사에서 모니터링을 통하여 아이피 변경등으로 조치를 취할테니,
본격적인 서비스는 제약이 따르겠죠?

FTTH 아직 약관이 안나왔쬬?? 지금 나왔나요?

아직 안나온걸로 아는데,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같은 비용으로 서비스한다고해서 바꿨으니 그대로 해주겠죠....^^
같은 비용으로 서비스한다고해서 바꿨으니 그대로 해주겠죠....^^

약관 궁금하네요(^^) ㅋ

서버운영에 많은 기대를 하시고 계시네요. ^^ 재미있으시죠. ㅎㅎ
그런데 제 경험을 조금 말씀드리겠습니다.
DDNS 서비스제공회사중 무료회사가 존재하고 그 회사또한 매우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집에서 서버를 돌려본 결과 그리 문제없이 돌렸던 기억이 납니다.
전 UPS 장비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편법으로 정전이되더라도 컴퓨터 바이오스내에서 비정상적 전원종료시 다시 전원이 ON이 되도록 설정하니 큰 무리없이 돌아가더군요. 또한 몇몇 사이트 테스트도 했구요. 그렇게 아주 만족하지만
전 결국 IDC 센터에 서버를 입주시키게 되었습니다. 물론 구매/임대형으로요.
적당한 사이트운영에는 좋지만 문제가 발생하더라구요.
현재 들어오는 회선이 100MB 쉐어드회선이라도 해도 시간대별로 변동폭이 심합니다.
또한 오후시간대는 더욱 불규칙하구요. 또한 약 10명정도 동접이나 15~20명까지는 그럭저럭이지만 어느순간 동접수가 올라가면 컴퓨터사양이 좋음에도 불구 또한 회선점검시에도 문제가 없다 판단되어도 아. 대역폭이 감당할 수준을 벗어나 결국 딜레이 지연율이 생기더군요. 더군다나
집에서 운영하시면 영화라든지 적당한 다운로드를 겸하시면서 서버를 돌리실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렇게 되면 당연 영향이 크지요.
그래서 회선을 하나 더 할까 하는데 자세한 상담을 받고나니 대부분 회선이 두개들어와도
결국 라인만 공유하는거기때문에 별다른 효과는 못볼것으로 예상하구요.
간단한 테스트용이나 적당한선의 소규모 운영은 가능하지만 발전성을 고려해보신다면
차라리 요즘 유행하는 저렴한 서버호스팅을 추천합니다. 뭐 6만원에서 10만원 사이면 되니깐요.
참. 전 엔토피아상품을 이용했습니다. 혹 파워콤을 이용할예정이면 절대반대입니다.
그래도 집에서 서버를 직접 운영하고 최적화를 위하여 기초부터 10번은 넘게 세팅하다보니
어지간한 처리는 가능하더군요. 추후 IDC 입주할때도 많은 도움이 되실거라 봅니다.
그런데 제 경험을 조금 말씀드리겠습니다.
DDNS 서비스제공회사중 무료회사가 존재하고 그 회사또한 매우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집에서 서버를 돌려본 결과 그리 문제없이 돌렸던 기억이 납니다.
전 UPS 장비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편법으로 정전이되더라도 컴퓨터 바이오스내에서 비정상적 전원종료시 다시 전원이 ON이 되도록 설정하니 큰 무리없이 돌아가더군요. 또한 몇몇 사이트 테스트도 했구요. 그렇게 아주 만족하지만
전 결국 IDC 센터에 서버를 입주시키게 되었습니다. 물론 구매/임대형으로요.
적당한 사이트운영에는 좋지만 문제가 발생하더라구요.
현재 들어오는 회선이 100MB 쉐어드회선이라도 해도 시간대별로 변동폭이 심합니다.
또한 오후시간대는 더욱 불규칙하구요. 또한 약 10명정도 동접이나 15~20명까지는 그럭저럭이지만 어느순간 동접수가 올라가면 컴퓨터사양이 좋음에도 불구 또한 회선점검시에도 문제가 없다 판단되어도 아. 대역폭이 감당할 수준을 벗어나 결국 딜레이 지연율이 생기더군요. 더군다나
집에서 운영하시면 영화라든지 적당한 다운로드를 겸하시면서 서버를 돌리실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렇게 되면 당연 영향이 크지요.
그래서 회선을 하나 더 할까 하는데 자세한 상담을 받고나니 대부분 회선이 두개들어와도
결국 라인만 공유하는거기때문에 별다른 효과는 못볼것으로 예상하구요.
간단한 테스트용이나 적당한선의 소규모 운영은 가능하지만 발전성을 고려해보신다면
차라리 요즘 유행하는 저렴한 서버호스팅을 추천합니다. 뭐 6만원에서 10만원 사이면 되니깐요.
참. 전 엔토피아상품을 이용했습니다. 혹 파워콤을 이용할예정이면 절대반대입니다.
그래도 집에서 서버를 직접 운영하고 최적화를 위하여 기초부터 10번은 넘게 세팅하다보니
어지간한 처리는 가능하더군요. 추후 IDC 입주할때도 많은 도움이 되실거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