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로도 서버 돌릴만 하군요 정보
윈도우로도 서버 돌릴만 하군요
본문
음... 대략 2개월 넘었군요
점검하느라 전원 내린거 빼고는 다운된적도 없고 무지하게 안정적
윈도우+아파치 = 엽기
이런 선입견 버리니 이렇게 속편한것을.....
문제가 있긴 있습니다.
뭔가 2프로 부족하다는 것..... (특히 백업 관련해서..)
뭔가 프로패셔널한 자동백업 솔루션을 구축해 놓고 싶어도 윈도우라서 프로패셔널한 리눅스관련 막강 백업솔루션 구축 팁은 먹통이란거...^^
윈도우 자체적 예약된 작업 이라는 기능과 오토배치파일 그리고 윈rar의 콘솔 명령어를 이용하면 나름대로 체계화된 자동백업 구축이 가능은 합니다.
문제는 저는 개인서버라서.. 뭐 그렇고 그런 방식으로 쓴다지만
제대로 하자면 이런저런 프로그램들 때문에 돈이 많이 든다는거.... (윈도우xp dsp만 해도 10만원 가까이 하죠.)
장점도 있습니다.
바로 그 수많은 윈도우의 프로그램 실행이 된다는거~!!
예를들면 남는 cpu자원을 이용해 당나귀 전용 하드 하나 달고 부수적으로 무한한 자료를 긁어 모은다던가..^^
수많은 윈도우 관련 프로그램들 돌려버릴 수 있다는점.. 각종 게임 프리서버들이겠죠?... 심심하면 키보드 꽂고 카트도 한판 해주고(헉.. ㅡ.ㅡ)
음... 서버 자원이 너무많이 남아도는데(200기가 하드에서 사용한건 윈도우 포함 10기가 -_-) 뭣에 써먹어야될지 고민되네요.
추천
0
0
댓글 11개
말씀대로 IIS 에서 IPM(IIS+PHP+MYSQL) 도 아무 문제없이 운영이 가능하며 실제 서울 모 도서관이나 각종 기업/관공서 등에서도 IIS 로도 많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학교쪽에서 자체 홈페이지 서버 운영하는 곳은 대부분이 IIS 라 보면 됩니다.
* 자동 백업(웹파일/DB)도 물론 말씀처럼 예약된 작업으로 스케쥴처리하면 웹파일 백업은 문제없고, DB는 배치파일 만들어서 스케쥴 처리해주면 되니 별 불편함도 없습니다.
다만 개인이 집에서 개인인터넷 라인으로 돌리기엔 포트 포워딩부터해서 여러가지 짜증나는 상황이 많은게 사실입니다..ㅡㅡ;
* 자동 백업(웹파일/DB)도 물론 말씀처럼 예약된 작업으로 스케쥴처리하면 웹파일 백업은 문제없고, DB는 배치파일 만들어서 스케쥴 처리해주면 되니 별 불편함도 없습니다.
다만 개인이 집에서 개인인터넷 라인으로 돌리기엔 포트 포워딩부터해서 여러가지 짜증나는 상황이 많은게 사실입니다..ㅡㅡ;

윈도우 계열에서는 iis기반으로 php+mysql 안정적일까요?
iis하면 웬지 asp만이 떠올라서..^^
iis하면 웬지 asp만이 떠올라서..^^
제가 글을 늦게 봤군요.
네. IPM(IIS+PHP+MYSQL) 도 별 무리없이 잘 작동하며, 왠만한 사이트 규모라면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한걸로 경험상 판단하고 있습니다.
네. IPM(IIS+PHP+MYSQL) 도 별 무리없이 잘 작동하며, 왠만한 사이트 규모라면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한걸로 경험상 판단하고 있습니다.
우와...좋으시겠네요.
저도 집에서 윈도우나 리눅스로 서버 돌리고 싶지만...윈도우가 여러모로 효율성은 있을 거라 생각되네요.
근데..집에서 일주일 내내 컴퓨터를 켜 놓는다는 것이 맘에 걸리더군요. 과부하로 불이라도 나지 않을까 해서요.
혹시..2개월 사용하셨다고 하니..팁이나 사용기좀 올려주세요.
음..전기요금은 대략 얼마정도 .. 웹 속도라든지..그런 거...
저도 집에서 윈도우나 리눅스로 서버 돌리고 싶지만...윈도우가 여러모로 효율성은 있을 거라 생각되네요.
근데..집에서 일주일 내내 컴퓨터를 켜 놓는다는 것이 맘에 걸리더군요. 과부하로 불이라도 나지 않을까 해서요.
혹시..2개월 사용하셨다고 하니..팁이나 사용기좀 올려주세요.
음..전기요금은 대략 얼마정도 .. 웹 속도라든지..그런 거...

효율성은 잘 모르겠습니다.
서버 측면에서의 효율성이라면 리눅+apm만 할까요^^
저는 리눅스 배우기 귀찮아서 그냥 256램 하나 더 끼우는걸로 대체 했습니다.
인터넷에 찾아본 바에 의하면 그냥 램하나 더 끼우면 서버 처리력 면에서의 상황은 같아지더군요
pc는 아크릴판에 박아 벽에달아 돌립니다. 공간적 문제와 발열문제를 해결했고
세팅은 오토배치파일과 윈rar을 이용해 두번째 하드로 디비는 각 계정별 1일, 파일은 1주 마다 백업되게 해놨지요
개인회선 아니고 기업용 전용회선에 아이피 하나 따서 돌린답니다.
속도 빠릅니다. ( 테스트파일 http://61.73.254.198/mv.avi 다른이름으로 저장 해보세요)
버쳐호스트로 5개 홈페이지 돌리는데 아주 잘 돌아갑니다.
dns는 배우기 귀찮은 관계로.. --; dnsever.com 에서 서비스하는 무료dns로 해결했구요.
50개 순간적 동시접속이라는 압박을 줘봐도 아무 문제없구요.
다만 cpu가 amd 셈프론 1800+라서 사양이 딸리더군요.
(순간적 엑박과 처리 지연이....)
서버 측면에서의 효율성이라면 리눅+apm만 할까요^^
저는 리눅스 배우기 귀찮아서 그냥 256램 하나 더 끼우는걸로 대체 했습니다.
인터넷에 찾아본 바에 의하면 그냥 램하나 더 끼우면 서버 처리력 면에서의 상황은 같아지더군요
pc는 아크릴판에 박아 벽에달아 돌립니다. 공간적 문제와 발열문제를 해결했고
세팅은 오토배치파일과 윈rar을 이용해 두번째 하드로 디비는 각 계정별 1일, 파일은 1주 마다 백업되게 해놨지요
개인회선 아니고 기업용 전용회선에 아이피 하나 따서 돌린답니다.
속도 빠릅니다. ( 테스트파일 http://61.73.254.198/mv.avi 다른이름으로 저장 해보세요)
버쳐호스트로 5개 홈페이지 돌리는데 아주 잘 돌아갑니다.
dns는 배우기 귀찮은 관계로.. --; dnsever.com 에서 서비스하는 무료dns로 해결했구요.
50개 순간적 동시접속이라는 압박을 줘봐도 아무 문제없구요.
다만 cpu가 amd 셈프론 1800+라서 사양이 딸리더군요.
(순간적 엑박과 처리 지연이....)

다운로드속도 = 2.57MB/초
다운로드시간 = 00:00:29
매우 빠르군요...^^
다운로드시간 = 00:00:29
매우 빠르군요...^^
1분 41초 걸리네요..
741kb/초
741kb/초
아크릴 판에 벽에 박아...흐미......
고급 서버 엔지니어로 갈수록 OS 에 따라서 성능 차이가 없어집니다.
윈도우도 서버 설정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나 구성 설정으로 가벼워지거든요..
그리고, 그누보드를 윈도우 설치시에도 제로보드보다 고칠곳이 더 없습니다.
제로보드는 윈도우에 설치시에 필수적으로 수정할게 몇가지 있더군요..
백업도 위분이 말씀하신데로 자유자재로 가능하고요..
원하는 콤포넌트가 있다면 마찬가지로 웹이든 서버 내부에서 돌아가는 특정 모듈이든
만들던가.. 받아서 설치하던가 머든 맘데로 됩니다. 외국 애들 사이트에 조은 예제나 프로그램 방법 등이
많이 있습니다. cnet.com 도 마니 검색해보시고 하면 결국 고급 프로그래머로 갈수록 OS 자체에 따라
성능 차이를 조절하는게 되는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가 더 마니 리소스 차지한다고 생각하는건
기본 셋팅이나 모듈 등 서비스가 enable 상태이기 때문이겠죠.. 그건 업체 기본 OS 깔릴때 지네들 맘이니
나머진 사용자 몫이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OS 를 윈도우에서도 해보고 리눅스에서도 해보고 하면
공부도 마니 되고 깊숙히 공부할수록 외국 고급 자료 찾게 되는데.. 공부 많이 될듯 하네요..
리눅스 계열로 공부하실땐 개인적으로 FreeBSD 가 모듈이 산만하지 않아서 조은거 같고요..
윈도우 서버는 윈도우 2000이 왠지 조절이나 기타 모듈 정리가 가벼워서 조은거 같은데..
윈도우2003 서버는 보안측면하고 인터페이스가 도 조아졌지만.. 어차피 또 윈도우2000을 설정하고
정 필요하면 써드파티 프로그램을 연동해서 쓰면 사실 또 똑같아집니다..
윈도우도 서버 설정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나 구성 설정으로 가벼워지거든요..
그리고, 그누보드를 윈도우 설치시에도 제로보드보다 고칠곳이 더 없습니다.
제로보드는 윈도우에 설치시에 필수적으로 수정할게 몇가지 있더군요..
백업도 위분이 말씀하신데로 자유자재로 가능하고요..
원하는 콤포넌트가 있다면 마찬가지로 웹이든 서버 내부에서 돌아가는 특정 모듈이든
만들던가.. 받아서 설치하던가 머든 맘데로 됩니다. 외국 애들 사이트에 조은 예제나 프로그램 방법 등이
많이 있습니다. cnet.com 도 마니 검색해보시고 하면 결국 고급 프로그래머로 갈수록 OS 자체에 따라
성능 차이를 조절하는게 되는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가 더 마니 리소스 차지한다고 생각하는건
기본 셋팅이나 모듈 등 서비스가 enable 상태이기 때문이겠죠.. 그건 업체 기본 OS 깔릴때 지네들 맘이니
나머진 사용자 몫이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OS 를 윈도우에서도 해보고 리눅스에서도 해보고 하면
공부도 마니 되고 깊숙히 공부할수록 외국 고급 자료 찾게 되는데.. 공부 많이 될듯 하네요..
리눅스 계열로 공부하실땐 개인적으로 FreeBSD 가 모듈이 산만하지 않아서 조은거 같고요..
윈도우 서버는 윈도우 2000이 왠지 조절이나 기타 모듈 정리가 가벼워서 조은거 같은데..
윈도우2003 서버는 보안측면하고 인터페이스가 도 조아졌지만.. 어차피 또 윈도우2000을 설정하고
정 필요하면 써드파티 프로그램을 연동해서 쓰면 사실 또 똑같아집니다..

흠 홈페이지 서버는 저렇게 써보진 못했는데 흠
상해쪽에서 테스트 해보니 다운로드속도 40~45KB/S정도 나오네요. 차이나 텔레콤ADSL이용.
가벼운 홈피정도는 중국쪽에서도 얼마든지 방문가능하겠네요.ㅋㅋ . 중한간 대역폭문제인지 M급 속도는 않나오네요.
예전에 윈도우가 편해서 윈도우로 서버구축을 시도했지만 뭐가 그렇게 많이 수정을 해야되는지? 중도에 포기했음.겁쟁이~.
현제에 와서 리눅스 슬슬 해볼려고 한국책4-5권 구입해서 보고 있는데 2일동안600페지정도 둘러봤음.
이들책은 내용적으로 레드햇9.0,페토라3.4.5 정도로 백그라운드 지식부터 응용까지 소개를 해놓았더군요.
이런책 한~둬번만 읽어서 실제에 적용해보면 얼렁뚱땅정도는 홈서버 돌릴수 있으리라 생각이 되네요.ㅎㅎ
모르지,중도에 또 포기할찌...
가벼운 홈피정도는 중국쪽에서도 얼마든지 방문가능하겠네요.ㅋㅋ . 중한간 대역폭문제인지 M급 속도는 않나오네요.
예전에 윈도우가 편해서 윈도우로 서버구축을 시도했지만 뭐가 그렇게 많이 수정을 해야되는지? 중도에 포기했음.겁쟁이~.
현제에 와서 리눅스 슬슬 해볼려고 한국책4-5권 구입해서 보고 있는데 2일동안600페지정도 둘러봤음.
이들책은 내용적으로 레드햇9.0,페토라3.4.5 정도로 백그라운드 지식부터 응용까지 소개를 해놓았더군요.
이런책 한~둬번만 읽어서 실제에 적용해보면 얼렁뚱땅정도는 홈서버 돌릴수 있으리라 생각이 되네요.ㅎㅎ
모르지,중도에 또 포기할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