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바로쓰기 정보
한글바로쓰기
본문
문제되시면 말씀해 주세요.삭제하겠습니다.
그누보드로 만들어진 홈페이지에 갔다가 무단으로 업어옴...
7. 정체불명의 말들
예) 님 아, 니마, 님들, 님 들아(X)
도대체 '님 아'는 어디서 온 말이란 말입니까? 혹자는 '님 아~라는 노래도 있잖아요'라는 식의 논리를 펴시는데, 노래는 노래일뿐입니다. 일종의 '시적 허용어'라고 볼 수 있겠죠.
~님 (예, 귀차니님, 운영자님, 회원님)은 누구를 지칭할 때와 회원을 통칭할때 사용하도록 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응용예) 귀차니님 아 설명서 점 올려주셈(X) -> 귀차니님께서 설명서를 올려주세요.(O)
님들의견이 궁금하네여(X) -> 회원님들의 의견이 궁금하네요.(O)
<허용되는 표현>
1. 온전한 형태의 감탄사
예) 컥, 크헐, 캬캬캬, 쿠쿠쿠, 헐, 흑, 후미, 흠.., 하하, 우하하, 푸하하 등등
2. 이모티콘 용도의 자,모음 및 타국 문자의 사용
예) ㅠ_ㅠ, ㅡ_ㅠ, ㅇ-ㅇ, ㅇㅅㅁ, -_-)乃 , -_-)=b, OTL 기타등등
3. 그 외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표현
예) 허걱, 버럭, 삐질, 키득키득 등등
4. (반허용)기타 실수에 의한 오타 및 띄어쓰기 틀림, 맞춤법 틀림, 방언사용
가급적 오타를 다시 확인해 주시고, 띄어쓰기도 최대한 지켜주세요. ^-^
가급적 맞는 표현으로 써주세요. 100% 맞춤법을 다 아는 사람은 없으니까요. 방언도 가급적 표준어로 사용해 주시고요.
5. (반허용)피동표현들
이렇게 하면 그렇게 되어집니다. -> 이렇게 하면 그렇게 됩니다.
그렇게 생각되어집니다. -> 그렇게 생각됩니다.
등등 우리가 알게모르게 피동표현을 자주쓰고 있는데 가급적 수동으로 바꿔 사용합시다.
7. 인터넷 신조어
인터넷에서 생겨난 신조어들의 사용을 허용합니다.
예) 줄임말들 '디카','폰카', '즐모', '즐접', '자삭'
그누보드로 만들어진 홈페이지에 갔다가 무단으로 업어옴...
우리나라 한글 맞춤법 제1장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삼가야할 표현>
1. '~셈, ~염'등의 표현
예) 안녕하셈(X) -> 안녕하세요(O)
보내주세염(X) -> 보내주세요(O)
2. 자음으로만 되어있는 표현 및 자,모음이 감탄사 용도로 사용되는 표현
예) ㄳ(X) -> 감사합니다(O)
ㅈㅅ(X) -> 죄송합니다(O)
ㅋㅋ, ㅇㅇ, ㅋㄷ, ㅎㅎ 등의 표현
3. 고의적으로 자,모음을 틀리게 쓴 표현
예) 보내쥬세여(X) -> 보내주세요(O)
안녕하세여(X) -> 안녕하세요(O)
만들었져(X) -> 만들었죠(O)
살앙훼(X) -> 사랑해(O)
4. 특수문자 및 타국 문자를 읽는 목적으로 자, 모음과 함께 쓴 표현
㉴랑㉭ㅐ(X) -> 사랑해(O)
ㅇと녕하세요(X) -> 안녕하세요.(O)
5. 욕설, 불순한 의도, 이유없는 비방
직접적인 욕설
'X같은 XX', '개나리같은~' 등 간접적인 욕설
6. 하오체
디시인사이드나 웃긴대학 등지에서 사용되는 하오체를 금지합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삼가야할 표현>
1. '~셈, ~염'등의 표현
예) 안녕하셈(X) -> 안녕하세요(O)
보내주세염(X) -> 보내주세요(O)
2. 자음으로만 되어있는 표현 및 자,모음이 감탄사 용도로 사용되는 표현
예) ㄳ(X) -> 감사합니다(O)
ㅈㅅ(X) -> 죄송합니다(O)
ㅋㅋ, ㅇㅇ, ㅋㄷ, ㅎㅎ 등의 표현
3. 고의적으로 자,모음을 틀리게 쓴 표현
예) 보내쥬세여(X) -> 보내주세요(O)
안녕하세여(X) -> 안녕하세요(O)
만들었져(X) -> 만들었죠(O)
살앙훼(X) -> 사랑해(O)
4. 특수문자 및 타국 문자를 읽는 목적으로 자, 모음과 함께 쓴 표현
㉴랑㉭ㅐ(X) -> 사랑해(O)
ㅇと녕하세요(X) -> 안녕하세요.(O)
5. 욕설, 불순한 의도, 이유없는 비방
직접적인 욕설
'X같은 XX', '개나리같은~' 등 간접적인 욕설
6. 하오체
디시인사이드나 웃긴대학 등지에서 사용되는 하오체를 금지합니다.
7. 정체불명의 말들
예) 님 아, 니마, 님들, 님 들아(X)
도대체 '님 아'는 어디서 온 말이란 말입니까? 혹자는 '님 아~라는 노래도 있잖아요'라는 식의 논리를 펴시는데, 노래는 노래일뿐입니다. 일종의 '시적 허용어'라고 볼 수 있겠죠.
~님 (예, 귀차니님, 운영자님, 회원님)은 누구를 지칭할 때와 회원을 통칭할때 사용하도록 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응용예) 귀차니님 아 설명서 점 올려주셈(X) -> 귀차니님께서 설명서를 올려주세요.(O)
님들의견이 궁금하네여(X) -> 회원님들의 의견이 궁금하네요.(O)
<허용되는 표현>
1. 온전한 형태의 감탄사
예) 컥, 크헐, 캬캬캬, 쿠쿠쿠, 헐, 흑, 후미, 흠.., 하하, 우하하, 푸하하 등등
2. 이모티콘 용도의 자,모음 및 타국 문자의 사용
예) ㅠ_ㅠ, ㅡ_ㅠ, ㅇ-ㅇ, ㅇㅅㅁ, -_-)乃 , -_-)=b, OTL 기타등등
3. 그 외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표현
예) 허걱, 버럭, 삐질, 키득키득 등등
4. (반허용)기타 실수에 의한 오타 및 띄어쓰기 틀림, 맞춤법 틀림, 방언사용
가급적 오타를 다시 확인해 주시고, 띄어쓰기도 최대한 지켜주세요. ^-^
가급적 맞는 표현으로 써주세요. 100% 맞춤법을 다 아는 사람은 없으니까요. 방언도 가급적 표준어로 사용해 주시고요.
5. (반허용)피동표현들
이렇게 하면 그렇게 되어집니다. -> 이렇게 하면 그렇게 됩니다.
그렇게 생각되어집니다. -> 그렇게 생각됩니다.
등등 우리가 알게모르게 피동표현을 자주쓰고 있는데 가급적 수동으로 바꿔 사용합시다.
7. 인터넷 신조어
인터넷에서 생겨난 신조어들의 사용을 허용합니다.
예) 줄임말들 '디카','폰카', '즐모', '즐접', '자삭'
어길시 1,2차경고후 강제탈퇴시키겠습니다.
추천
0
0
댓글 4개
바른 의도로 생각했던 운영정책은 꼬집을 이유가 없겠지만,
잘못된 부분은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 3. 그 외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표현
허걱 > 헉
삐질 (X) > 생각할 수 있는 표현으로는 '비지땀'
자체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과 허용하는 것은 다릅니다.
아울러 이것을 특정 사이트의 바른말 표기정책이라고 내세우기에는
상당한 무리수가 따릅니다.
> 7. 인터넷 신조어
대부분의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표기는 아닙니다.
단지 허용한다고 해서 바른말 표기에 반하는 정책이라고 단언은 못하겠지만,
이것을 허용하는 한다는 문구 자체만으로도 상기된 바른말 표기정책에 반하는 정책입니다.
내세우는 것과는 달리 이것도 저것도 아닌 애매모호한 허용은,
해당 사이트의 '바른말 표기정책'의 의도를 운영자 스스로 왜곡하고 있는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은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 3. 그 외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표현
허걱 > 헉
삐질 (X) > 생각할 수 있는 표현으로는 '비지땀'
자체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과 허용하는 것은 다릅니다.
아울러 이것을 특정 사이트의 바른말 표기정책이라고 내세우기에는
상당한 무리수가 따릅니다.
> 7. 인터넷 신조어
대부분의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표기는 아닙니다.
단지 허용한다고 해서 바른말 표기에 반하는 정책이라고 단언은 못하겠지만,
이것을 허용하는 한다는 문구 자체만으로도 상기된 바른말 표기정책에 반하는 정책입니다.
내세우는 것과는 달리 이것도 저것도 아닌 애매모호한 허용은,
해당 사이트의 '바른말 표기정책'의 의도를 운영자 스스로 왜곡하고 있는 것입니다.

언젠가 바른말쓰기 프로그램인지, 블로그인지 어디서 본 내용으로는
"생각됩니다" 라는 표현은 외래어적 표기법이라고 하더군요..
생각을 하는 주체가 본인임에도 불구하고, 되다 라는 수동태를 쓴다는 것이 국어표현으로 맞지 않고, 일본식 표기법을 무리하게 도입한 예라고 들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볼때 저 예들도 제대로 된 표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방송 인터뷰에 가장 많이 나오는 표현이
~ 같아요. 입니다만, 이 말은 자기 자신의 생각에 자기의 책임을 회피하는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으로밖에 달리 이야기할 수 없겠네요..
제일 듣기 싫어하는 말 중 하나가 저 "~같아요" 라는 말입니다.. 흠.
"생각됩니다" 라는 표현은 외래어적 표기법이라고 하더군요..
생각을 하는 주체가 본인임에도 불구하고, 되다 라는 수동태를 쓴다는 것이 국어표현으로 맞지 않고, 일본식 표기법을 무리하게 도입한 예라고 들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볼때 저 예들도 제대로 된 표현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방송 인터뷰에 가장 많이 나오는 표현이
~ 같아요. 입니다만, 이 말은 자기 자신의 생각에 자기의 책임을 회피하는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으로밖에 달리 이야기할 수 없겠네요..
제일 듣기 싫어하는 말 중 하나가 저 "~같아요" 라는 말입니다.. 흠.
###################################
생각됩니다 ===>>> 생각합니다.
~으로부터 ===>>> ~에서, ~부터
나로 하여금 OO을 하게 하였다.
(이 또한 피동적인 표기법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현재의 국어 교과서에서도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외래어적 표기라고 지칭하기 보다는,
(일제강점기 무렵) 선진교육을 받은 학자들에 의해,
외국어 번역과정에서 발생되었습니다.
특히 영어문법의 '과거분사(형)'을 사용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영어는 외국어지만 외래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특정한 사물이나 형태를 우리말로 적절히 표기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외래어라 지칭하고 그 표기를 빌어올 뿐입니다.
아울러 '진정한승리'님께서 말씀해 주셨듯이,
'~같아요' 또한 지양해야 할 표현입니다.
'~같아요'라는 표현을 개인이 주체가 되어야 할 상황에서,
부적절하게 너무나도 자주 사용하면 아버지께 꾸중 듣습니다.
생각됩니다 ===>>> 생각합니다.
~으로부터 ===>>> ~에서, ~부터
나로 하여금 OO을 하게 하였다.
(이 또한 피동적인 표기법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현재의 국어 교과서에서도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외래어적 표기라고 지칭하기 보다는,
(일제강점기 무렵) 선진교육을 받은 학자들에 의해,
외국어 번역과정에서 발생되었습니다.
특히 영어문법의 '과거분사(형)'을 사용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영어는 외국어지만 외래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특정한 사물이나 형태를 우리말로 적절히 표기할 수 없을 때,
그것을 외래어라 지칭하고 그 표기를 빌어올 뿐입니다.
아울러 '진정한승리'님께서 말씀해 주셨듯이,
'~같아요' 또한 지양해야 할 표현입니다.
'~같아요'라는 표현을 개인이 주체가 되어야 할 상황에서,
부적절하게 너무나도 자주 사용하면 아버지께 꾸중 듣습니다.
아이고.. 어렵네요. 아니지.. 어렵습니다. 가 맞죠... 아니지 맞죠가 아니라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