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 프로그래머의 경력별 평균 일당에 대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정보
디자이너, 프로그래머의 경력별 평균 일당에 대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본문
아래는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협회의 2006년 SW 기술자 임금실태조사 결과입니다.
---------------------------------
* 등급별 SW 기술자 일 노임단가
---------------------------------
기술사 277,516원
특급기술자 267,495원
고급기술자 206,698원
중급기술자 165,245원
초급기술자 130,898원
고급기능사 108,268원
중급기능사 95,632원
초급기능사 70,102원
---------------------------------
뭐 말도안되게 터무니 없이 비싼것 같은데 말이죠~
이런 임금관련 자료를 가지고 계신분은 댓글이나 링크좀 부탁드립니다.
사이트 개편과 함께 제작/의뢰 부분을 활성화 시키려고 하는데,
의뢰자들이 이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사항 같아서 사전에 소개를 하고,
개발기간에 따른 제작비용 예산을 현실적으로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싶어서요.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마케터 이런식으로 나눠진 자료 보시면 좀 부탁드립니다.
위에 써진건 진짜 터무니 없음~ -_-;
추천
0
0
댓글 10개

뭐 노가다로 비유하자면,
고속도로파트에서 잘나가는 철근 오야지는 일당 25만원.
목수는 10~13
잡부 7만원.
3년전 현장에서 일할 때 비용이였습니다.
물론 하청이니 원청에 올릴 때에는 더 불리죠.
고속도로파트에서 잘나가는 철근 오야지는 일당 25만원.
목수는 10~13
잡부 7만원.
3년전 현장에서 일할 때 비용이였습니다.
물론 하청이니 원청에 올릴 때에는 더 불리죠.

저로썬 해당 작업건의 스케일로 가격을 책정합니다.
30분이 걸리던, 하루가 걸리던 해당 건의 스케일입니다. 씨익~ :)
10분 작업건도 7만원 받은 적이 있습니다.
30분이 걸리던, 하루가 걸리던 해당 건의 스케일입니다. 씨익~ :)
10분 작업건도 7만원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저는 의뢰주 or 업체가 돈이 많이 보이나, 없어보이나로 결정했었다는...
요즘은 웹디자이너도 위의 S/W 노임단가를 적용하나요?
기술사의 자격이
해당학과졸업+기사1급후?년 또는 해당업체를 7년이상
이랬던 기억이 있는데.. 좋아졌군요.
기술사의 자격이
해당학과졸업+기사1급후?년 또는 해당업체를 7년이상
이랬던 기억이 있는데.. 좋아졌군요.

실재... 부여되는 급여를 아는대로 열거하면 이렇네요.
물론... 다양한 급여 체계가 있고.. 편차가 상당히 큰 듯 합니다만..
2006년 기준으로 잡겠습니다. (제가 2007년에 회사 때리쳐서리.. 흐흐)
제 경우는 전문 디자이너가 아니라 기획이 주종목이고 디자인은 겸했던지라... 기준 잡기는 그렇고..
저희 회사였던 곳이랑 주변에 디자이너들이 많았는데 그들의 직장서 받는 것 기준으로...
현재. 초급은 도려 더 떨어진 듯 합니다.
지방의 경우. 웹디 완전 신참의 경우 월 80-100이 기본이고..
조금 나은 경우 100-120 정도..
3년차(대리급 전후) 정도엔 최소 160에서 200까지도 가는거 같네요.
5년차 전후 팀장급에선 편차가 더 극심하던데.. 연봉 5400(남자분 35세)까지 주변에 있습니다.
(물론 제 주변만.. 더 받는 분들 많겠죠)
적게 받는 애는 20대 후반에 6년차 팀장 여자애가 2300이더군요.
에이전시는 몰라도.. 그래픽 관련업체 내지 일반기업의 디자인/기획개발실 정도로 볼 때..
부산은 초봉이 너무 짠 편이고.. 5년차 이상자도 크게 못받는거 같습니다. 게다가 년차가 넘 높아지면 대개
관리자로 빠지거나 그만두시고 창업 내지 전업자들이 많은거 같습니다. 서울경기권도 비슷한걸루 압니다.
물론... 다양한 급여 체계가 있고.. 편차가 상당히 큰 듯 합니다만..
2006년 기준으로 잡겠습니다. (제가 2007년에 회사 때리쳐서리.. 흐흐)
제 경우는 전문 디자이너가 아니라 기획이 주종목이고 디자인은 겸했던지라... 기준 잡기는 그렇고..
저희 회사였던 곳이랑 주변에 디자이너들이 많았는데 그들의 직장서 받는 것 기준으로...
현재. 초급은 도려 더 떨어진 듯 합니다.
지방의 경우. 웹디 완전 신참의 경우 월 80-100이 기본이고..
조금 나은 경우 100-120 정도..
3년차(대리급 전후) 정도엔 최소 160에서 200까지도 가는거 같네요.
5년차 전후 팀장급에선 편차가 더 극심하던데.. 연봉 5400(남자분 35세)까지 주변에 있습니다.
(물론 제 주변만.. 더 받는 분들 많겠죠)
적게 받는 애는 20대 후반에 6년차 팀장 여자애가 2300이더군요.
에이전시는 몰라도.. 그래픽 관련업체 내지 일반기업의 디자인/기획개발실 정도로 볼 때..
부산은 초봉이 너무 짠 편이고.. 5년차 이상자도 크게 못받는거 같습니다. 게다가 년차가 넘 높아지면 대개
관리자로 빠지거나 그만두시고 창업 내지 전업자들이 많은거 같습니다. 서울경기권도 비슷한걸루 압니다.

기술 자격 기준
학력/경험 기준
기술사
특급 기술자
기사 10년 이상
산업기사 13년 이상
박사 3년 이상, 석사 9년 이상
학사 12년 이상, 전문대졸 15년 이상
고급 기술자
기사 7년 이상
산업기사 10년 이상
박사, 석사 6년 이상 , 학사 9년 이상
전문대졸 12년 이상, 고졸 15년 이상
중급 기술자
기사 4년 이상
산업기사 7년 이상
석사 3년 이상, 학사 6년 이상
전문대졸 9년 이상, 고졸 12년 이상
초급 기술자
기사, 산업 기사
석사, 학사, 전문대졸, 고졸 3년 이상
고급 기능사
기능장,
산업기사 4년 이상
기능사 7년 이상
기능사보 10년 이상
기능대졸, 고졸 7년 이상, 직업훈련기관의
교육 이수후 7년 이상, 기능 실기 시험 합격후 10년 이상
중급 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사 3년 이상
기능사보 5년 이상
고졸 3년 이상, 직업훈련기관의 교육 이수후 5년 이상
기능실기 시험 합격후 5년 이상, 기타 10년 이상
초급 기능사
기능사, 기능사보
고졸, 직업 훈련기관의 교육 이수자, 기능실기 시험 합격자, 기타 5년 이상
학력/경험 기준
기술사
특급 기술자
기사 10년 이상
산업기사 13년 이상
박사 3년 이상, 석사 9년 이상
학사 12년 이상, 전문대졸 15년 이상
고급 기술자
기사 7년 이상
산업기사 10년 이상
박사, 석사 6년 이상 , 학사 9년 이상
전문대졸 12년 이상, 고졸 15년 이상
중급 기술자
기사 4년 이상
산업기사 7년 이상
석사 3년 이상, 학사 6년 이상
전문대졸 9년 이상, 고졸 12년 이상
초급 기술자
기사, 산업 기사
석사, 학사, 전문대졸, 고졸 3년 이상
고급 기능사
기능장,
산업기사 4년 이상
기능사 7년 이상
기능사보 10년 이상
기능대졸, 고졸 7년 이상, 직업훈련기관의
교육 이수후 7년 이상, 기능 실기 시험 합격후 10년 이상
중급 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사 3년 이상
기능사보 5년 이상
고졸 3년 이상, 직업훈련기관의 교육 이수후 5년 이상
기능실기 시험 합격후 5년 이상, 기타 10년 이상
초급 기능사
기능사, 기능사보
고졸, 직업 훈련기관의 교육 이수자, 기능실기 시험 합격자, 기타 5년 이상

아니 근데 기술을 학력과 자격증으로 평가를 해야하는건 좀 서러움...
첫번째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하는 IT관련 기술과 자격증을 신뢰하기도 어렵고 말이죠~
저와같은 디자이너일경우 디자인은 객관적으로 평가가되기란 상당히 얼운 부분인데...
프로그래머나 개발자도 위에 도표처럼 객관적 평가가 가능할가요?
한마디로 위에 제가 쓴 기준은 모두 엉터리~ 그러므로 제작의뢰란에 기재해두지 말아야겠...
첫번째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하는 IT관련 기술과 자격증을 신뢰하기도 어렵고 말이죠~
저와같은 디자이너일경우 디자인은 객관적으로 평가가되기란 상당히 얼운 부분인데...
프로그래머나 개발자도 위에 도표처럼 객관적 평가가 가능할가요?
한마디로 위에 제가 쓴 기준은 모두 엉터리~ 그러므로 제작의뢰란에 기재해두지 말아야겠...

근데.. 모든게 자율 시장 거래를 원칙으로 하기에..
싼 가격에 좋은 결과물.. .내지.. 비싸도 별로인거..
그건 당사자들 사이의 문제가 아닌가 싶어요.
다만.. 최소한의 기준 마련을 한다면.. 가격적인 부분보다..
불량 거래에 대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주는게 어떨까도 싶네요..
보다 근본적이고 효과적일 듯...
싼 가격에 좋은 결과물.. .내지.. 비싸도 별로인거..
그건 당사자들 사이의 문제가 아닌가 싶어요.
다만.. 최소한의 기준 마련을 한다면.. 가격적인 부분보다..
불량 거래에 대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주는게 어떨까도 싶네요..
보다 근본적이고 효과적일 듯...

켁. .일당이네요.. ㅎㅎㅎ;;
뭣도 모르고.. 급여를 올리삔네.. 역시 난 돌 플러스 아이인가.. 제길.. ㅎㅎㅎ
뭣도 모르고.. 급여를 올리삔네.. 역시 난 돌 플러스 아이인가.. 제길.. ㅎㅎㅎ
1만원에도 일하는 사람들이 있으니...그렇게 된겁니다.
무한경쟁시대인지라....
그런사람들도 먹고 살겠다고 하는거 아닙니까.
살아가다보면 배우겠죠.. 너무 성급하게 조지는것(?)은 별로 좋지 않을것 같습니다.
무한경쟁시대인지라....
그런사람들도 먹고 살겠다고 하는거 아닙니까.
살아가다보면 배우겠죠.. 너무 성급하게 조지는것(?)은 별로 좋지 않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