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 버전관리와 프로젝트 관리 정보
소스 버전관리와 프로젝트 관리
본문
소스 버전관리와 프로젝트 관리 툴의 필요성을 항상 느끼고 있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것이 svn 과 trac 입니다.
이미 텍스트큐브나 제로보드등은 사용을 하고 있죠.
예전에 도입을 하려다 trac 설치에 실패하여 미루고 있었는데 드디어 설치에 성공을 했습니다.
우선 개발하고 있는 배추스킨과 배추빌더에 사용해 볼 생각입니다. ㅋㅋㅋ
주로 사용되는 것이 svn 과 trac 입니다.
이미 텍스트큐브나 제로보드등은 사용을 하고 있죠.
예전에 도입을 하려다 trac 설치에 실패하여 미루고 있었는데 드디어 설치에 성공을 했습니다.
우선 개발하고 있는 배추스킨과 배추빌더에 사용해 볼 생각입니다. ㅋㅋㅋ
추천
1
1
관련링크
댓글 22개
음... 불당팩도 trac으로 가야하나? 왠지 유행에 휩쓸려야 하는 분위기... ㅠ..ㅠ...

그러나 이런 툴을 쓸려면 개발환경이 ide 여야 합니다. 에디터 플러스로는 힘들죠.
젠드 for eclipse 나 eclpse pdt, 또는 phpdesigner 등과 같이 써야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리눅스 콘솔에서는 svn 에 파일단위로 commit 이 힘들거든요.
돈있으면 trac 보다는 jira 가 좋습니다.
svn + jira + zend for eclipse + mylyn 이면, 최상의 개발환경이죠.
젠드 for eclipse 나 eclpse pdt, 또는 phpdesigner 등과 같이 써야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리눅스 콘솔에서는 svn 에 파일단위로 commit 이 힘들거든요.
돈있으면 trac 보다는 jira 가 좋습니다.
svn + jira + zend for eclipse + mylyn 이면, 최상의 개발환경이죠.
AcroEdit로는 어렵나요??? ㅠ..ㅠ...

개발의 편의성을 위해 쓰는건데, 오히려 일이 많아지면,, 안쓰는게 좋죠..
그런 의미에서 통합 환경을 지원하지 않는 일반 에디터의 사용은 고려해봐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통합 환경을 지원하지 않는 일반 에디터의 사용은 고려해봐야 합니다.

이클립스를 고려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익숙한 개발환경을 바꾸는 것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죠.
이클립스가 php 개발에 얼마나 좋은 툴인지도 아직 모르겠구요..
작업을 많이 해봐야겠지만 잠깐 테스트해본 결과 그렇게 불편한 것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요즘엔 에디터를 vim 으로 바꿔볼까 생각중인데 이것도 쉽게 익숙해지진 않네요.. ㅋㅋ
이클립스가 php 개발에 얼마나 좋은 툴인지도 아직 모르겠구요..
작업을 많이 해봐야겠지만 잠깐 테스트해본 결과 그렇게 불편한 것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요즘엔 에디터를 vim 으로 바꿔볼까 생각중인데 이것도 쉽게 익숙해지진 않네요.. ㅋㅋ

딴지는 아니구요.
저도 서버에 작업된 소스파일들을 svn에 올릴려고 몇가지 작업을 해보았으나, 수정된 파일만 svn에 commit 하거나, 새로 만들어진 파일에 대해 add 를 하기가 힘듭니다.
결론은 svn 이 통합된 개발툴을 사용해야 한다는것입니다. eclipse 말고도 svn 통합된 개발툴은 더 있습니다. phpdesigner, jedit(된다고 들었는데, 확실치않음)
윈도우에서 개발한다면,, 거북이(영어로 치기 힘듦 토로토런스??) 통해서 하면 그나마 사용이 가능합니다.
저도 서버에 작업된 소스파일들을 svn에 올릴려고 몇가지 작업을 해보았으나, 수정된 파일만 svn에 commit 하거나, 새로 만들어진 파일에 대해 add 를 하기가 힘듭니다.
결론은 svn 이 통합된 개발툴을 사용해야 한다는것입니다. eclipse 말고도 svn 통합된 개발툴은 더 있습니다. phpdesigner, jedit(된다고 들었는데, 확실치않음)
윈도우에서 개발한다면,, 거북이(영어로 치기 힘듦 토로토런스??) 통해서 하면 그나마 사용이 가능합니다.

svn ci 명령어로 commit 이 끝나는데요.
힘들다는게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제가 모르는것이 있는지요?
힘들다는게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제가 모르는것이 있는지요?

신규 파일을 추가할때, 기존 파일을 삭제할때, 파일을 병합할때, 파일명을 변경할때..
이 경우 각각의 명령을 svn 에 날려줘야 합니다.
svn add 파일명
svn del 파일명
svn merge
svn ren
그리고 나서 svn ci 를 날려야 svn 서버에 최종 적용됩니다.
파일 하나씩 작업하면서 svn에 개별로 날리긴 너무 귀찮은 작업이 됩니다.
통합 ide 툴은 이런걸 알아서 해줍니다.
이 경우 각각의 명령을 svn 에 날려줘야 합니다.
svn add 파일명
svn del 파일명
svn merge
svn ren
그리고 나서 svn ci 를 날려야 svn 서버에 최종 적용됩니다.
파일 하나씩 작업하면서 svn에 개별로 날리긴 너무 귀찮은 작업이 됩니다.
통합 ide 툴은 이런걸 알아서 해줍니다.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update)는 svn ci 만 날려도 됩니다.

아~ 그런 말씀이셨군요..
저에겐 애용하는 툴을 바꿔야 할 정도의 귀찮은 작업은 아닌것 같네요.
나중에 생각이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겠지만요~ ^^
저에겐 애용하는 툴을 바꿔야 할 정도의 귀찮은 작업은 아닌것 같네요.
나중에 생각이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겠지만요~ ^^

그나저나 관리자님 댓글 지우셨네요.
전 봤지용~ ㅎㅎ
전 봤지용~ ㅎㅎ

그 글 지우지 않으면 회원님들이 제 머릿속을 의심할것 같아서
낼롬 지웠습니다.
나중에 술한잔 살테니까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려주세요.
낼롬 지웠습니다.
나중에 술한잔 살테니까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려주세요.

낼롬 알려드리겠습니다. ㅋ

뭐하는 프로그램이지.. ㅡ_

흐.. svn이 뭔지,, ㅎㅎ
svn이 데세라던데...윈도우계열은 비쥬얼 소스세이프가 좋다죠
소스관리.. 버젼관리...
CVS 가 좋던데요...
CVS 가 좋던데요...

저도 테터툴즈 보고 해볼까 하다고 포기했습니다.
에디터플러스에 익숙해진닷이기도 하겠죠...
근데 확실히 버젼관리의 필요성은 절실히 느껴지네요..
에디터플러스에 익숙해진닷이기도 하겠죠...
근데 확실히 버젼관리의 필요성은 절실히 느껴지네요..

전.. SVN을 사용하고... totoris SVN 그걸로 합니다.
호스팅이라.. 제약이 많아서.. ㅋㅋ
SVN은 구글꺼 사용하고요;;; ㅋㅋ
서버관리할 엄두가 안나서;;
호스팅이라.. 제약이 많아서.. ㅋㅋ
SVN은 구글꺼 사용하고요;;; ㅋㅋ
서버관리할 엄두가 안나서;;
구글에도 svn이 있어요?

소스포지 처럼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그러니까 svn을 개인한테 지원해주죠..)

고수님들의 담화들 ㅠ_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