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지식검색은 이젠 망한건가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네이버 지식검색은 이젠 망한건가요? 정보

네이버 지식검색은 이젠 망한건가요?

본문


간만에 정보 좀 찾아보려..
(그래도 한국어고.. 국내 중엔 잘 정돈된 편이라 네이버를...)
네이버를 검색했는데..
한 때는 그래도 잘 검색되는 편이기도 했는데..
해당 정보 키워드를 치자 마자..
상단엔 일단 유료 광고들이 떡 허니 버티고.. 이건 이해가 감.. 도리 없죠 뭐..
그런데.. 그 밑에 블로그...
그 밑에 지식검색...
왜......... 이것들도... 죄다.. 광고들인지..
광고 블로그...
그리고.. 지식 검색 결과들고.. 싸이트 주소들과 홍보문구들이 가득..
개인 의견이나 경험.. 전문적 자료는.. 정말 한참을 뒤져서야 겨우 나올까 말까..
죄다 광고들이 점령을 해버렸네요.
이미지 검색 결과도 광고 사진들이 점령...
웹광고를 부정하는건 아닌데.. 좀 과하네요.
지식검색이란 것은.. 네이버의 발전의 터 중 하나였을 터인데..
이젠.. 손댈 수 없을 정도로 타락(?)해버린 거 같기도..
물론 정상적 정보들도 있겠지만..
과거에.. 엠파스보다도 결과가 월등히 떨어져버리네요.
이건 뭐..
도리 없이.. 미국 대학 도서관과 기타 외국 자료들을 뒤져서..
힘겹게 어설피 번역을 해서 찾았는데...
이건.. 솔직히... 부끄러운 일 같기도 하고..
우리나라에 더 자료가 많아야할 것인데.. 어째.. 미국에서 구해야하는건지...
이 정도는 아니었던거 같은데...


추천
2
  • 복사

댓글 10개

뭐랄까요. 네이버는 밖으로 뻗어나가지 못한다는 것이 있죠.

그래서 찾는자료가 고급적이라면, 구글에서 찾습니다.

간단간단한 것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나 엠파스를 주로 이용합니다.

네이버 웹페이지 검색은 폐쇄적입니다. ㅋㅋ
'폐쇄적'이란 단어에 공감 한표. 정말 앞뒤가 꽉 막혀서, 간혹 그냥 풀장에서 노는듯한 느낌. 구글이 드넓은 바다라면, 네이버는 변기통에 찬 물 정도랄까.
네이버가 진정한 검색이 아니라 ㅤㄷㅑㄴ지 자기네들 데이터 안에서만 찾아주는거라 인정은
하지만..
그래도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지식 검색을 해보면.. 쓸만한거도 자주 건지곤 했는데..
이젠.. 광고 더미 속에서 제대로된 것을 재검색하는 희한한 꼴이 되어버렸네요.
맞아요 네이버는 정말 간단하고 어디나 있는 정보...

네이버 초기에 활발했을 때 있던 DB들이죠..

지금은... 재대로된 질문을 올리는 사람도 드물고..
재대로 답변 해주는 사람도 드물어요..

지식을 공유하겠다고 열심히 작성해서 올려놓으면
개념없는 네티즌 들이 포진해 있는 관계로..
절반은 비방과 욕설이 난무하더라고요... ㅎㅎ;;

저도 예전에 네이버 오픈지식 같은곳에 등록해서 기제되곤 했었는데.
저의 노하우 등을 사람들에게 알려주려고 일부러 열심히 적었건만..

대부분의 리플들이 욕만 올라오더라고요..;;;
그래서 다시는 안올리죠..
제가 항상 하는 말이지만..
인터넷이 정보의 바다이긴 하나 고급정보의 불모지라고 합니다...
특히 네이버가 심하구요... -_-
개인 블로그나 까페 내용도 죄다 펌에 펌 자료들로 db만 풍성하고
지식인은 반쯤 광고로 도배된지가 오래이며
그나마 제대로된 답글을 보면 아주 상투적이고 지극히 당연한 답변...

예) 홈페이지 만드는걸 배우고 싶어요!
답) xxxyy 책을 사서 보세요. 학원 전화번호 줄줄히....... 마지막 라인에 굵찍하게 자기가 답변했다는 낙관 표시-_-
재밌는게..
도리어 외국의 개인 블로거들의 자료가 막강할 때가 많은거 같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이젠 블로그가 엄청 많고 블로거가 많이 양성(?)되었지만..
질적 면에선.. 글쎄..
펌들로 대다수 채워진 곳들이 많고... 블로깅의 참 의미가 퇴색한 듯..
그것에 일조한게 바로 네이버 블로그 같습니다.
먹히기 전의 이글루나 태터툴즈 같은 곳이 그나마 블로그의 발전적 요소를 지녔지만..
태터도 조금씩 무너졌고.. 다음의 티스토리와 엮인 부분에선 네이버 비슷하게 되어버렸고..
네이버는 원래 막장인데다가....
이글루도 먹혀버렸고..
답이 별루 없어 보입니다.
번역이 괴로움이 따라서 그렇지..
외국 개인 블로거들의 알찬 블로거들을 구경하는데 공부나 여러 면에서 도움이 되는 듯 합니다.
거기서.. 땡큐.. 이 정도만 남겨놔도.. 상당히 친절하더군요..
심지어 메일 짧게 남겨놔도.. 아주 상세한 메일이 오곤 해서 놀라곤 합니다. ㅠㅠ
무슨 분야에서든 한국에서는 전문가 수준으로 불릴 정도의 지식과 실력을 가진 미국 보통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늘 공부공부해야 한다고 느끼고 살아요.
지식인이란게..처음엔 신선했지만..  질문에 대한 장난스런 답변도 많고.. 의도적인 질문과 답변으로 홍보하는 사람도있고.. 결국 지식인에 대한 정보에 대한 신뢰의 상실 ;;  그리고...  지식인에 답변에 대한 고급 답변을 다는 사람이 많은 전문가 그룹의 참여와 전문가의 답변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있어야;;  지식인이 양질의 정보로 가득할텐데.. .. 어찌보면 모든 지식을 모아놓는다는것 자체가. 유지함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생각합니다.  지식에 대한 답변도 고정불변인것도 드물고 상황과 기간에 따라 변하는 지식도 있고... 차라리..  인터넷에 널린 지식을 사용자가 찾는게 더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