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 코딩 등의 유통기한은 언제일까요.. 정보
테이블 코딩 등의 유통기한은 언제일까요..
본문
웹표준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데..
해외에선 웹표준이 급속도로 확산되는데.. 아직 국내는 더디죠.
과연... 테이블 쓰는 것을 포함한 기존의 방식이.. 완전 없어지기까진 아니겠지만..
희박해져서 거의 없어질 즈음이 언제쯤일까 싶어요.
두어달 전까진 몰랐는데..
생각보다 빨리 없어지지 않을까란 생각을 해봅니다.
익스8이 나오고 있는 시점이지만.. 아직도 익스5.X를 쓰시는 분이 있고..
비스타를 넘어 새로운 OS도 준비되고 있지만 아직 98이나 2000을 깔아서 쓰시는 분도 극히
일부 계십니다.
하지만.. 주도는 바뀐거겠죠..
결국.. 테이블 등을 쓰는 분이 계속 계시긴 하겠고.. 기존의 싸이트를 재편하지 못한 곳들도
남아 있겠지만..
언젠간... 많이 바뀌어 있을 듯 합니다.
오래지 않을 것이란 느낌....
추천
3
3
댓글 15개

아직 디자이너가 html코딩까지 하는 경우가 많죠.
제가 다니던 회사 디자이너들만 봐도 table 하드코딩도 힘들어 하는 경우가 있고.
위지윅(드림위버)로 테이블 레이아웃 만들고, 수정하는 정도에요.
이런 상태에서 회사다니는 디자이너 스스로 마크업하며
div css 하드코딩하기는 무리가 있죠.
고무적인 사실은.
웹표준에 대한 이해가 높은 디자이너 혹은 개발자들의 몸값이 올라가고 있다는 사실과
웹표준 인증에 대해 관심 있는 의뢰인도 늘고 있다는 사실.
이런 시기는 부지런한 디자이너or 개발자에겐 기회죠.
제가 다니던 회사 디자이너들만 봐도 table 하드코딩도 힘들어 하는 경우가 있고.
위지윅(드림위버)로 테이블 레이아웃 만들고, 수정하는 정도에요.
이런 상태에서 회사다니는 디자이너 스스로 마크업하며
div css 하드코딩하기는 무리가 있죠.
고무적인 사실은.
웹표준에 대한 이해가 높은 디자이너 혹은 개발자들의 몸값이 올라가고 있다는 사실과
웹표준 인증에 대해 관심 있는 의뢰인도 늘고 있다는 사실.
이런 시기는 부지런한 디자이너or 개발자에겐 기회죠.
테이블도 웹표준입니다.
레이아웃에서는 div 목록이나 그런건 테이블
레이아웃에서는 div 목록이나 그런건 테이블
왜 지금까지 웹 표준 한번도 못들어봤을까..ㅠㅠ

테이블도 웹표준이죠.
다만 테이블이 원래 웹의 전체적 틀을 이루는 용도로 만든게 아니라고는 하지만..
우째껀 전체틀을 잡는 역할을 하고 있으니요.
하나씩 쫙쫙 뜨냐.. 한번에 팍 뜨냐의 차이일뿐..
최적화만 잘 해놓으면 테이블이건 div건 속도 같습니다.
다만 테이블이 원래 웹의 전체적 틀을 이루는 용도로 만든게 아니라고는 하지만..
우째껀 전체틀을 잡는 역할을 하고 있으니요.
하나씩 쫙쫙 뜨냐.. 한번에 팍 뜨냐의 차이일뿐..
최적화만 잘 해놓으면 테이블이건 div건 속도 같습니다.

맞아요 div 쓴다고 표준이라고 하기엔...
테이블과 div 둘다 웹표준...
테이블과 div 둘다 웹표준...

8305 님은
table가 웹표준이 아니라는 말을 적은게 아니라.
table에 의존하는 비표준 레이아웃 코딩을 말씀하신거라 생각되요. ^_^
table가 웹표준이 아니라는 말을 적은게 아니라.
table에 의존하는 비표준 레이아웃 코딩을 말씀하신거라 생각되요. ^_^
바로 아래 chanbiz님 글에도 있는데....
테이블 속에 테이블을 복잡하게 겹치는 등은 문제가 있겠지만
메뉴등 간단한 것을 테이블로 하면 나쁜게 뭔가요?
<table width='100%' height="6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r><td valign="top">
<script type='text/javascript'>flash_view("./images/logo.swf", 218, 59)</script></td>
<td valign="top" width="745" align="right">
<script type='text/javascript'>flash_view("./images/flash_menu.swf", 775, 85)</script></td>
</tr></table>
어디선가 외국 문서에 보니까 테이블 사용은 하지말라는 것이 있던데..
두개의 플래시를 화면 좌우로 배치시키는 방법인데...이 방식은 뭐가 잘못 된 것인지요?
테이블은 코딩이 길어진다던지 하는 문제는 있지만 이 정도라면 코딩량이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
테이블 속에 테이블을 복잡하게 겹치는 등은 문제가 있겠지만
메뉴등 간단한 것을 테이블로 하면 나쁜게 뭔가요?
<table width='100%' height="6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r><td valign="top">
<script type='text/javascript'>flash_view("./images/logo.swf", 218, 59)</script></td>
<td valign="top" width="745" align="right">
<script type='text/javascript'>flash_view("./images/flash_menu.swf", 775, 85)</script></td>
</tr></table>
어디선가 외국 문서에 보니까 테이블 사용은 하지말라는 것이 있던데..
두개의 플래시를 화면 좌우로 배치시키는 방법인데...이 방식은 뭐가 잘못 된 것인지요?
테이블은 코딩이 길어진다던지 하는 문제는 있지만 이 정도라면 코딩량이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

코딩량, 속도 이런 건 웹표준을 위해 노력할때 생기는 부가적인 잇점이고요.
1. 웹페이지의 컨텐츠와 디자인의 분리.
2. 컨텐츠 성격에 맞는 태그 사용.
3. 그러므로 접근성 강화.
간단하게 이렇게 생각할수있어요.
아래 사이트 가보면 많은 정보가 있어요.
http://forum.standardmag.org/
1. 웹페이지의 컨텐츠와 디자인의 분리.
2. 컨텐츠 성격에 맞는 태그 사용.
3. 그러므로 접근성 강화.
간단하게 이렇게 생각할수있어요.
아래 사이트 가보면 많은 정보가 있어요.
http://forum.standardmag.org/

그 외국 문서를 다시 자세히 보시면
테이블을 쓰면 웹표준이 아니다. 라는 말이 아닐거예요.
디자인을 위해서 쓰는 table(x)
표에 쓰는 table(o)
보통 웹표준에서는 table을 레이아웃(틀)으로 쓰는걸 경고하고 있어요.
성격에 맞게 tag를 쓰자. 라는것도 웹표준의 한 부분이에요.
테이블을 쓰면 웹표준이 아니다. 라는 말이 아닐거예요.
디자인을 위해서 쓰는 table(x)
표에 쓰는 table(o)
보통 웹표준에서는 table을 레이아웃(틀)으로 쓰는걸 경고하고 있어요.
성격에 맞게 tag를 쓰자. 라는것도 웹표준의 한 부분이에요.

왠만한 외국 싸이트들은 테이블 거의 .. 사실 아예 안씁니다.
최지훈님이 제대로 짚어 주셨지만.. 테이블을 과하게 의존하거나 구석 구석의 태그들을 너무 끼워서
작업하는건 좋지 않다는거죠.
테이블도 어차피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사실 맞습니다.
빠르게 가볍게 라는 측면을 넘어서 말이죠.
최지훈님이 제대로 짚어 주셨지만.. 테이블을 과하게 의존하거나 구석 구석의 태그들을 너무 끼워서
작업하는건 좋지 않다는거죠.
테이블도 어차피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사실 맞습니다.
빠르게 가볍게 라는 측면을 넘어서 말이죠.

지금 위로 쓰신글 " 웹표준 이야긴가요? 크로스브라우징 이야긴가요? "
(웹표준과 크로스 브라우징을 동일 시 하는 분들이 계시네요)
table 쓴다고 웹표준 위반은 아닙니다.
그리고 table 로 짠거랑 divsion 으로 짠거랑 웹표준이다. 아니다가 아니죠 ^^;
굳이 정의하면 " 시멘틱 하다." " 시멘틱 하지 않다. "입니다. ㅡㅡ;;
그리고 웹표준으로 코딩한다고 쳐도..(크로스브라우징) 랜더링을 위해선 또 한번의 코딩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웹표준과 크로스 브라우징을 동일 시 하는 분들이 계시네요)
table 쓴다고 웹표준 위반은 아닙니다.
그리고 table 로 짠거랑 divsion 으로 짠거랑 웹표준이다. 아니다가 아니죠 ^^;
굳이 정의하면 " 시멘틱 하다." " 시멘틱 하지 않다. "입니다. ㅡㅡ;;
그리고 웹표준으로 코딩한다고 쳐도..(크로스브라우징) 랜더링을 위해선 또 한번의 코딩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아무튼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웹표준 코딩이라는건
DHTML 없이 내용이 보여지는데 아무런 불편이 없어야 합니다.
W3C validator 통과했다고 웹표준 사이트가 되는건 절대 아니라는겁니다.
조건만 충족했을 뿐 이라는 소리죠
DHTML 없이 내용이 보여지는데 아무런 불편이 없어야 합니다.
W3C validator 통과했다고 웹표준 사이트가 되는건 절대 아니라는겁니다.
조건만 충족했을 뿐 이라는 소리죠

w3c 에서 외치는 웹표준과
우리들이 말하는 웹표준이 점점 다르게 진화 하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저만 이런 생각을 하는지는 몰라도, 그 누에도 개발자분들 많으시지만...
함수나 인쿠르드 만들어서 쓰는 분들이 절대 다수 아닌가요?
우리들이 말하는 웹표준이 점점 다르게 진화 하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저만 이런 생각을 하는지는 몰라도, 그 누에도 개발자분들 많으시지만...
함수나 인쿠르드 만들어서 쓰는 분들이 절대 다수 아닌가요?

제가 괜히 흥분해서 글을 쓰는것 같군요 ^^; 암튼 저는 그래요 table을 써도 웹표준에는 들어가지만
시멘틱하진 않죠,
그리고 네이버 코딩규약을 예전에 읽어봤는데 거기서도 table 을 쓰지 말라고 하진 않습니다.
다만, 중첩된 상속이 3단계 4단계 이상 들어가버리는게 골때리죠..
그누스킨 아무거나 잡아서 list.skin.php 열어보시면 다들 아시겠지만 테이블 > 테이블 > 테이블 입니다.
일전에 자게에 제가 스킨 만드시는 분들 테이블만이라도 정리하죠?^^; 라고 건의 했던 이유가 이런거에 있습니다.이런 작은 것들 하나씩 구조화 시키다 보면 그누보드가 지금보다 훨 씬 더 유명세를 타지 않을까 싶네요
테이블을 쓰던 디비전을 쓰던 css 로 몸통과 내장을 분리하던, 보기에 무리가 없고
랜더링에 탈만 없으면 저는 이대로도 괜찮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솔직히 내용중심의 컨텐츠보다는 디자인 중심의 컨텐츠가 우세이잖아요
언젠간 나오게될 그누5 기대해봅니다.
그리고 이건 조금 비약적인 표현이 아닌가 싶습니다.
대한민국 클라이언트들 중에 인풋에 신경 쓰는 사람 솔직히 없지 않습니까?
모두가 아웃풋만 보잖아요 ㅡㅡ;;
이상은 꿈꾸되 현실에서 벗어나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시멘틱하진 않죠,
그리고 네이버 코딩규약을 예전에 읽어봤는데 거기서도 table 을 쓰지 말라고 하진 않습니다.
다만, 중첩된 상속이 3단계 4단계 이상 들어가버리는게 골때리죠..
그누스킨 아무거나 잡아서 list.skin.php 열어보시면 다들 아시겠지만 테이블 > 테이블 > 테이블 입니다.
일전에 자게에 제가 스킨 만드시는 분들 테이블만이라도 정리하죠?^^; 라고 건의 했던 이유가 이런거에 있습니다.이런 작은 것들 하나씩 구조화 시키다 보면 그누보드가 지금보다 훨 씬 더 유명세를 타지 않을까 싶네요
테이블을 쓰던 디비전을 쓰던 css 로 몸통과 내장을 분리하던, 보기에 무리가 없고
랜더링에 탈만 없으면 저는 이대로도 괜찮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솔직히 내용중심의 컨텐츠보다는 디자인 중심의 컨텐츠가 우세이잖아요
언젠간 나오게될 그누5 기대해봅니다.
그리고 이건 조금 비약적인 표현이 아닌가 싶습니다.
대한민국 클라이언트들 중에 인풋에 신경 쓰는 사람 솔직히 없지 않습니까?
모두가 아웃풋만 보잖아요 ㅡㅡ;;
이상은 꿈꾸되 현실에서 벗어나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테이블이 편하긴 하죠.
테이블을 쓰냐 안쓰냐란 부분보단 어떻게 잘 쓰냐가 문제겠죠.
가끔 스킨 보면 테이블이 꼬이고 꼬여서 엉망일 때가 많은데..
당장은 눈에 보이니 테이블 난사를 하지만.. 나중이 어려워지죠.
정작.. 그누 기본 포맷들만 해도.. 불필요한 테이블이 너무 얽혀 있죠.
싹 정리해버리면 테이블 하나로도 족한데.. 테이블에 대여섯개 꼬여 있는 경우가 적잖음.
언젠간... 해결해야할 문제겠죠.
테이블을 탈피하는 그 날까지..
테이블을 쓰냐 안쓰냐란 부분보단 어떻게 잘 쓰냐가 문제겠죠.
가끔 스킨 보면 테이블이 꼬이고 꼬여서 엉망일 때가 많은데..
당장은 눈에 보이니 테이블 난사를 하지만.. 나중이 어려워지죠.
정작.. 그누 기본 포맷들만 해도.. 불필요한 테이블이 너무 얽혀 있죠.
싹 정리해버리면 테이블 하나로도 족한데.. 테이블에 대여섯개 꼬여 있는 경우가 적잖음.
언젠간... 해결해야할 문제겠죠.
테이블을 탈피하는 그 날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