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랜선으로 기가비트가 가능한가요? 정보
일반 랜선으로 기가비트가 가능한가요?
본문
허브(기가비트 지원), 랜선(카테고리6), pc(기가비트 랜카드)
요렇게 세마리가 모두 기가비트에 대응되어야 기가비트로 링크되고 데이터전송도 기가비트로 되는걸루 아는데요..
어떤이 말이 일반 랜선(카테고리5) 으로도 된다네요?...
흠.. 그동안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요...
추천
1
1
댓글 14개

안되지 않을까요??
망이. 기가비트를 지원한다고 해도...
물리적하드/OS 등에서 초당 1기가를 다 처리 못하기 때문에..
실제론 아무리 빨라도 100메가 내외의 속도로 처리되겠죠..
그래서.. 일반 랜선으로도 된다고 하지 않았을까요??
망이. 기가비트를 지원한다고 해도...
물리적하드/OS 등에서 초당 1기가를 다 처리 못하기 때문에..
실제론 아무리 빨라도 100메가 내외의 속도로 처리되겠죠..
그래서.. 일반 랜선으로도 된다고 하지 않았을까요??

물론 1기가비트 랜의 경우 100mbps랜 시스템과는 달리 1기가를 다 못쓰는걸루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몇백 mbps는 나오는걸루 알고 있구요...
예를들어 일반적인 100mbps 스위칭허브(또는 공유기..)에 컴 두대 물려놓고 a에서 b컴으로 파일 보낼 때 컨디션좋으면 99mbps 나오죠..
기가비트 랜은 하드 대역폭 때문에라두 1000mbps안나오겠죠..
만약 1000mbps뜬다면.. 초당 100메가바이트???를 하드에 기록해야되니... ㅎㅎ
비현실적이네요
그래도 몇백 mbps는 나오는걸루 알고 있구요...
예를들어 일반적인 100mbps 스위칭허브(또는 공유기..)에 컴 두대 물려놓고 a에서 b컴으로 파일 보낼 때 컨디션좋으면 99mbps 나오죠..
기가비트 랜은 하드 대역폭 때문에라두 1000mbps안나오겠죠..
만약 1000mbps뜬다면.. 초당 100메가바이트???를 하드에 기록해야되니... ㅎㅎ
비현실적이네요

CAT.5 지원 가능 속도는 100M 가 한계입니다.
검색엔진에서 CAT.5 라고 검색해 보심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듯 합니다.
최근 지어지는 특등급 (300M 라인 아파트의 경우 CAT.6 선로를 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만
아직 지방은 CAT.5 가 한계인듯 --ㅋ )
검색엔진에서 CAT.5 라고 검색해 보심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듯 합니다.
최근 지어지는 특등급 (300M 라인 아파트의 경우 CAT.6 선로를 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만
아직 지방은 CAT.5 가 한계인듯 --ㅋ )

물론 그렇게 알고 있구요..
근데 제가 자주 방문하는 피씨방 까페에서 어떤사장님이 그렇게 쓰신다네요..
------------------
기존 랜선에서도 기가비트 허브 사용 가능합니다. 전용회선 사용하면은 당연히 100메가로 뜨지만, 컴끼리 내부 내트웍 사용시에는 기가비트로 사용가능합니다. 저는 그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
요렇게 댓글을 주셨더라구요..
근데 제가 자주 방문하는 피씨방 까페에서 어떤사장님이 그렇게 쓰신다네요..
------------------
기존 랜선에서도 기가비트 허브 사용 가능합니다. 전용회선 사용하면은 당연히 100메가로 뜨지만, 컴끼리 내부 내트웍 사용시에는 기가비트로 사용가능합니다. 저는 그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
요렇게 댓글을 주셨더라구요..

통신용 선 제조사중에 LS 전선이나 대한전선 -_-;;
제가 전에 근무할 당시의 국내 전선 제조업체 (3사 였지만 LG 가 LS 로 바꾸고) 한군데가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나지만 -_-;;
CAT5. 와 6 의 차이가 단가상 금액 차이가 좀 난듯 한데 -_-;;
그 차이가 분명이 있을겁니다 -_-
안그러면 제조하는 밴더들 부터 그렇게 무리해서 ^^ 한번더 안 꼬겠죠 -_-;;
CAT .5 -_- 일정 간격에 5번의 꼬임이 존재
CAT .6 -> 일정 간격에 6번의 꼬임이 존재
------------------------------------------------------------------------------------
단 네트워크 장비단이 기가단이고 내부에서 돌린다는 기준이시면
내부 내트웍 간에는 1G 연결시에 70-80% 정도까지의 효율은 얻을수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
이부분은 제가 실험을 잘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
1G 장비 쓸 일도 없고 -_-;; 집에서 10M 짜리 라인 쓰는게 전부라서 --ㅎ;;
제가 전에 근무할 당시의 국내 전선 제조업체 (3사 였지만 LG 가 LS 로 바꾸고) 한군데가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나지만 -_-;;
CAT5. 와 6 의 차이가 단가상 금액 차이가 좀 난듯 한데 -_-;;
그 차이가 분명이 있을겁니다 -_-
안그러면 제조하는 밴더들 부터 그렇게 무리해서 ^^ 한번더 안 꼬겠죠 -_-;;
CAT .5 -_- 일정 간격에 5번의 꼬임이 존재
CAT .6 -> 일정 간격에 6번의 꼬임이 존재
------------------------------------------------------------------------------------
단 네트워크 장비단이 기가단이고 내부에서 돌린다는 기준이시면
내부 내트웍 간에는 1G 연결시에 70-80% 정도까지의 효율은 얻을수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
이부분은 제가 실험을 잘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
1G 장비 쓸 일도 없고 -_-;; 집에서 10M 짜리 라인 쓰는게 전부라서 --ㅎ;;

같은 기가비트라도 카테고리5로 연결되는 경우라면 아무래도 좀 손해가 있겠지만..
지금 생각같아서는 실제 가용속도 200mbps만 나와도 대박이라는 생각이네요...ㅎㅎ
지금 생각같아서는 실제 가용속도 200mbps만 나와도 대박이라는 생각이네요...ㅎㅎ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과연 컴퓨터가 버터주나 그게 핵심이 아닐까요 하드가 버틸지??
그런데 과연 컴퓨터가 버터주나 그게 핵심이 아닐까요 하드가 버틸지??
제가 알기로는 CAT.5 는 100M 이고 CAT.5e 는 기가비트를 지원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본다면은 2개는 약간 케이블의 굵기나 그런것이 달라 보이지만은 자세한것은 검색을 해보시면 나올것 같습니다.^^
실제로 본다면은 2개는 약간 케이블의 굵기나 그런것이 달라 보이지만은 자세한것은 검색을 해보시면 나올것 같습니다.^^

1 MB = 1000KB =1000000Byte
1 Mbps = 1 MBit Per Second = 1MBit/s = 1초당 1MB를 전송
대충 이렇게 계산을 해본다면 -_-;;
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기술명칭 케이블 최대길이(m) 최고속도(MBps) 부착 가능한 장치수
SCSI-1 6 5 8
SCSI-2 6 5~10 8 or 16
Fast SCSI-2 3 10~20 8
Wide SCSI-2 3 20 16
Fast Wide SCSI-2 3 20 16
Ultra SCSI-3(8bit) 1.5 20 8
Ultra SCSI-3(16bit) 1.5 40 16
Ultra-2 SCSI 12 40 8
Wide Ultra-2 SCSI 12 80 16
Ultra-3 SCSI 12 160 16
이런 글이 있던데 문제는 초당 전송률이 -_-;; 100M 라인에서 실제 겪어 보면 손실률 7% 정도 잡고
93M 라면 음 ;;
1기가 라인이라면 930 메가 -_-;;
초당 500M 이상 기록 가능한 하드가 있는건지 ;;
I/O 쪽은 얼마나 빨라야 할지 감이 안옵니다.
물런 일반 P2P 처럼 랜카드 - 랜카드 크로스 연결로 최대 속도를 내어도 결국은 그 컴퓨터의 사양 및 하드에 많은 영향을 받을꺼란 생각을 합니다.
하드 RPM 현재 최고라기 그렇지만 15000K 정도 아닌가요 ?
Ultra-3 SCSI 방식이 최대가 160M 정도라고 하던데 ;;
이이상은 제 지식이 딸려서 그냥 패수 ~~ ㅋ
1 Mbps = 1 MBit Per Second = 1MBit/s = 1초당 1MB를 전송
대충 이렇게 계산을 해본다면 -_-;;
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기술명칭 케이블 최대길이(m) 최고속도(MBps) 부착 가능한 장치수
SCSI-1 6 5 8
SCSI-2 6 5~10 8 or 16
Fast SCSI-2 3 10~20 8
Wide SCSI-2 3 20 16
Fast Wide SCSI-2 3 20 16
Ultra SCSI-3(8bit) 1.5 20 8
Ultra SCSI-3(16bit) 1.5 40 16
Ultra-2 SCSI 12 40 8
Wide Ultra-2 SCSI 12 80 16
Ultra-3 SCSI 12 160 16
이런 글이 있던데 문제는 초당 전송률이 -_-;; 100M 라인에서 실제 겪어 보면 손실률 7% 정도 잡고
93M 라면 음 ;;
1기가 라인이라면 930 메가 -_-;;
초당 500M 이상 기록 가능한 하드가 있는건지 ;;
I/O 쪽은 얼마나 빨라야 할지 감이 안옵니다.
물런 일반 P2P 처럼 랜카드 - 랜카드 크로스 연결로 최대 속도를 내어도 결국은 그 컴퓨터의 사양 및 하드에 많은 영향을 받을꺼란 생각을 합니다.
하드 RPM 현재 최고라기 그렇지만 15000K 정도 아닌가요 ?
Ultra-3 SCSI 방식이 최대가 160M 정도라고 하던데 ;;
이이상은 제 지식이 딸려서 그냥 패수 ~~ ㅋ

"1 Mbps = 1 MBit Per Second = 1MBit/s = 1초당 1MB를 전송"
"1기가 라인이라면 930 메가 -_-;; "
bps = bit per second...
Bps = Byte per Second...
1Byte = 8bit....
Giga = 10^9...
Mega = 10^6...
1Mbps = 125Kbyte/s
1Gbps = 1000Mbps = 125MB/s
Ultra160/m SCSI = 160MB/s (in Logical Sheet - SCSI White paper)
그 외 SAS , RAID , Clustering... 단순 PtP 방식의 전송은 하지 않습니다. 해서도 안되고요. 개인용 컴퓨팅이 컴퓨팅 구조의 전부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1기가 라인이라면 930 메가 -_-;; "
bps = bit per second...
Bps = Byte per Second...
1Byte = 8bit....
Giga = 10^9...
Mega = 10^6...
1Mbps = 125Kbyte/s
1Gbps = 1000Mbps = 125MB/s
Ultra160/m SCSI = 160MB/s (in Logical Sheet - SCSI White paper)
그 외 SAS , RAID , Clustering... 단순 PtP 방식의 전송은 하지 않습니다. 해서도 안되고요. 개인용 컴퓨팅이 컴퓨팅 구조의 전부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기본적으로 CAT5 나 5e 나 규격의 차이는 없습니다. 단지 제정된 시기에 의해 최대대역폭이 늘었을 뿐 기본 요구스펙은 동일한 걸로 알고 있고요.
단지 CAT5e 의 경우 단거리 (300m 인지 100m 인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만) Gb 지원이 된 케이블입니다. CAT6A(e) 는 이미 10Gb 고요.
단지 CAT5e 의 경우 단거리 (300m 인지 100m 인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만) Gb 지원이 된 케이블입니다. CAT6A(e) 는 이미 10Gb 고요.

일단 테스트 해보는수밖에 없겠네요
현재의 허브(기계실..)가 있는 장소에 컴한대 갔다놓고 허브와 지나야 되는 랜선 길이가 제일 길법한 끝자락 pc에 선을 크로스로 맞춰 찝어주고 테스트 해봐야겠네요
기가비트라 해서 기가비트의 대역폭을 원하는게 아니고 현재의 100메가 대역폭이 너무 후달린다는게 문제네요..
똑같은 파일을 이곳저곳에 동일하게 설치시 네트워크 느려짐은 말할것도 없고 특히 고스트 멀티캐스트라고 해서 한대의 서버에서 출발한 패킷을 네트워크 전역에 똑같이 쏴줘서 수십대의 pc하드디스크를 동일한 속도로 한방에 고스트로 밀어버리는 방식..
여기서 100메가 랜의 한계가 드러납니다. 고스트가 완전히 전송되려면 100기가 기준해서 무려 5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그나마도 속도제한을 걸지 않으면 전체 네트워크가 거의 먹통 지경에 다다릅니다.
대역폭이 200메가만 되어도 네트워크는 엄청 여유로워지죠..
대략 300메가 이상 나온다면야....ㅎㅎ 더 말할것두 없구요..
현재의 허브(기계실..)가 있는 장소에 컴한대 갔다놓고 허브와 지나야 되는 랜선 길이가 제일 길법한 끝자락 pc에 선을 크로스로 맞춰 찝어주고 테스트 해봐야겠네요
기가비트라 해서 기가비트의 대역폭을 원하는게 아니고 현재의 100메가 대역폭이 너무 후달린다는게 문제네요..
똑같은 파일을 이곳저곳에 동일하게 설치시 네트워크 느려짐은 말할것도 없고 특히 고스트 멀티캐스트라고 해서 한대의 서버에서 출발한 패킷을 네트워크 전역에 똑같이 쏴줘서 수십대의 pc하드디스크를 동일한 속도로 한방에 고스트로 밀어버리는 방식..
여기서 100메가 랜의 한계가 드러납니다. 고스트가 완전히 전송되려면 100기가 기준해서 무려 5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그나마도 속도제한을 걸지 않으면 전체 네트워크가 거의 먹통 지경에 다다릅니다.
대역폭이 200메가만 되어도 네트워크는 엄청 여유로워지죠..
대략 300메가 이상 나온다면야....ㅎㅎ 더 말할것두 없구요..

통신사측 직원 설치할때 협박과 회유와 술한잔의 권유와 오만때만거 다 동원해서
풀어달라면.. 가능합니다.
물론 ... 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다만 웃기는건 대한민국에..불가능은 없습니다. ;;;
풀어달라면.. 가능합니다.
물론 ... 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다만 웃기는건 대한민국에..불가능은 없습니다. ;;;

받은 데이터를 꼭 하드에 기록하는 서비스가 아니라면 써도 되지 않을까요?
클라이언트에 램을 몇기가 달아 두고 하드 읽기 속도가 엄청 빠른 서버에서 스트리밍으로 동영상 따위를 제공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고화질 영상을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전송할 수 있어서 화질 저하 없이 감상할 수 있겠죠? 물론, 현재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는 없겠죠. -_-; 앞으로는 나올겁니다.
클라이언트에 램을 몇기가 달아 두고 하드 읽기 속도가 엄청 빠른 서버에서 스트리밍으로 동영상 따위를 제공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고화질 영상을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전송할 수 있어서 화질 저하 없이 감상할 수 있겠죠? 물론, 현재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는 없겠죠. -_-; 앞으로는 나올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