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정품 썼는데요. ㅎ 오해는 말아주세요. 정보
저 정품 썼는데요. ㅎ 오해는 말아주세요.본문
저 정품 썼는데요. ㅎ 오해는 말아주세요.
^^
아래글에 오해 없으셨음 해요.
LG 컴퓨터 사면서 정품으로 깔려있는겁니다.
시스템오류로 재설치과정에서 CD로 설치했더니 KEY값 입력없이
저런 현상이 온겁니다.
윈도도 저런부분까지는 손을 안된듯 하네요.
^^
아래글에 오해 없으셨음 해요.
LG 컴퓨터 사면서 정품으로 깔려있는겁니다.
시스템오류로 재설치과정에서 CD로 설치했더니 KEY값 입력없이
저런 현상이 온겁니다.
윈도도 저런부분까지는 손을 안된듯 하네요.
추천
1
1
댓글 9개

아무리 정품 쓴다고 해도 컴퓨터에 깔려 있는 프로그램 100% 모두 정품인 사람은 거의 없을 겁니다.
정품 쓰는 문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정품 쓰자는데 동의하는 거지요.
뮤죤님 가지고 오해하고 그런 거는 아닌거 같은데 글 또 올리셨네요. ^^
(아래 MS 얘기가 나와서 그런데...
정서라는 것이, 정품을 피한다기 보다 MS가 얄미워서 반항(?^^)하는 것일 따릅입니다. OS도 경쟁구도에서 서로 좋게 개발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10년 전부터 그런 날을 기대해 왔지만 오픈OS 잠간 반짝하고는 별 달라진 것이 없네요. 기왕이면 국산 OS업체가 MS와 쌍벽을 이루며 경쟁했으면 하는 이룰 수 없는 바램을 또... 쿠쿸)
정품 쓰는 문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정품 쓰자는데 동의하는 거지요.
뮤죤님 가지고 오해하고 그런 거는 아닌거 같은데 글 또 올리셨네요. ^^
(아래 MS 얘기가 나와서 그런데...
정서라는 것이, 정품을 피한다기 보다 MS가 얄미워서 반항(?^^)하는 것일 따릅입니다. OS도 경쟁구도에서 서로 좋게 개발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10년 전부터 그런 날을 기대해 왔지만 오픈OS 잠간 반짝하고는 별 달라진 것이 없네요. 기왕이면 국산 OS업체가 MS와 쌍벽을 이루며 경쟁했으면 하는 이룰 수 없는 바램을 또... 쿠쿸)
아 ㅇㅇ
물론 가정집의 경우 그럴수 있으나 ;;
회사는 정품을 쓰죠 ;; 외부 협박이 보통이 아니랍니다.
물론 가정집의 경우 그럴수 있으나 ;;
회사는 정품을 쓰죠 ;; 외부 협박이 보통이 아니랍니다.

알아요, 그렇게 먹고 살 수 있어야 그 사람들도 죽자살자 개발을 하겠지요.
정품 문화가 중요하다는 말이 그거지요.
그런데 MS는 아무리 생각해도 열받네.. 그 가격은 배짱이 쎄도 너무 쎄서리..
정품 문화가 중요하다는 말이 그거지요.
그런데 MS는 아무리 생각해도 열받네.. 그 가격은 배짱이 쎄도 너무 쎄서리..
MS도 굳이 수십만원 하는 패키지CD로 구매할 필요 없습니다.
DSP버전으로 구매해도 됩니다.
XP DSP는 8만원~9만원 정도면 구매 가능합니다.
물론, 설치 횟수(5회?)에 제한이 있긴 합니다만,
여러 번 설치하지 않는 사람들께서는 DSP를 구매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이건 조금 편법이긴 합니다만, 만약 설치 횟수를 초과하셨다고 하더라도,,
하드디스크가 고장나서 교체했다고 전화하면 전화로 인증키 발급해 줍니다.
그리고, DSP도 패키지로 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XP DSP에서 윈도우7 패키지로 업그레이드 하시면 된다는 것이지요...
DSP버전으로 구매해도 됩니다.
XP DSP는 8만원~9만원 정도면 구매 가능합니다.
물론, 설치 횟수(5회?)에 제한이 있긴 합니다만,
여러 번 설치하지 않는 사람들께서는 DSP를 구매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이건 조금 편법이긴 합니다만, 만약 설치 횟수를 초과하셨다고 하더라도,,
하드디스크가 고장나서 교체했다고 전화하면 전화로 인증키 발급해 줍니다.
그리고, DSP도 패키지로 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XP DSP에서 윈도우7 패키지로 업그레이드 하시면 된다는 것이지요...
인터넷에서는 DSP에 대하여 많은 오해가 있는데,
그 중에 가장 오해가 심한 것이,
DSP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A/S를 안해준다...라고 하는 유언비어입니다.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DSP는 조립PC용으로 나온 것으로서, 당연히 A/S가 됩니다.
인증도 온라인인증 전화인증 등 다 됩니다.
컴퓨터의 중요한 부품이 바뀔 때에만 인증이 안되는 것입니다.
중요 부품은 CPU와 메인보드입니다.
그 중에 가장 오해가 심한 것이,
DSP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A/S를 안해준다...라고 하는 유언비어입니다.
절대로 그렇지 않습니다.
DSP는 조립PC용으로 나온 것으로서, 당연히 A/S가 됩니다.
인증도 온라인인증 전화인증 등 다 됩니다.
컴퓨터의 중요한 부품이 바뀔 때에만 인증이 안되는 것입니다.
중요 부품은 CPU와 메인보드입니다.
그런데, DSP의 설치 횟수에 제한이 있다는 말은
인터넷에서만 떠도는 얘기라서 확실한 얘긴 아닙니다.
제 생각에는 아마 설치 횟수에 제한같은 것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바이러스 등 컴퓨터가 맛이 가는 상황은 얼마든지 발생 가능합니다.
하루에도 수차례 지웠다 까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그래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조립PC용 DSP 버전은 말 그대로 조립PC 상의 중요한 부품,
예를 들어 CPU 및 보드 등이 교체되었을 경우에만 제한이 있으리라는 생각입니다.
아마도 이 생각이 맞을 듯합니다.
인터넷에서만 떠도는 얘기라서 확실한 얘긴 아닙니다.
제 생각에는 아마 설치 횟수에 제한같은 것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바이러스 등 컴퓨터가 맛이 가는 상황은 얼마든지 발생 가능합니다.
하루에도 수차례 지웠다 까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그래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조립PC용 DSP 버전은 말 그대로 조립PC 상의 중요한 부품,
예를 들어 CPU 및 보드 등이 교체되었을 경우에만 제한이 있으리라는 생각입니다.
아마도 이 생각이 맞을 듯합니다.

설치ㅤㅎㅚㅆ수에 제한이 없는건 맞습니다.
메인보드 칩셋을 인식해서 정품 인증을 하기때문에..
메인보드만 바꾸지 않으면 되요..
구매한지 얼마 안되어서.. 메인보드를 교체하면..
마소에 전화해서..
메인보드가 고장나서 교체했다고 하면.. 다시 인증키를 준다고 하더라고요..
구매한지 좀 오래되면 안해주겠죠?
메인보드 칩셋을 인식해서 정품 인증을 하기때문에..
메인보드만 바꾸지 않으면 되요..
구매한지 얼마 안되어서.. 메인보드를 교체하면..
마소에 전화해서..
메인보드가 고장나서 교체했다고 하면.. 다시 인증키를 준다고 하더라고요..
구매한지 좀 오래되면 안해주겠죠?
메인보드 회사에서 증명서를 발급받으면 가능합니다.

그렇군요.. ㅋㅋ
전 접때 구매한지 얼마 안되었을때에..
전화하니.. 그냥 해주더라고요..
전 접때 구매한지 얼마 안되었을때에..
전화하니.. 그냥 해주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