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서비스를 오픈하려고 하는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새로운 서비스를 오픈하려고 하는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 정보

새로운 서비스를 오픈하려고 하는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

본문

개개인들이 쉽게 팀을 구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오픈하려고 합니다.

쉽게 팀장이 팀을 만들고 팀원이 지원하는 것입니다.
매우 간단한 개념의 서비스입니다.

꼭 개발분야가 아닌, 간단한 프로젝트라도 함께할 사람들 찾기가 매우 힘들다는 생각에서 시작했습니다.
클럽이나 커뮤니티를 돌아 다니면서 같이 하고 싶은 사람들을 찾고 싶어도 힘들고 그냥 한곳에서 할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비슷한 서비스를 알고 계시거나 아이디어 있으시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1월중에 오픈하려고 합니다. 일단 프로모션 사이트를 만들었고 간략한 "팀만들기" 댓글 놀이 기능과 아래 처럼 붙여 놓을 수 있는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이런 느낌이다 라고만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http://www.hupod.net

scrap.php?num=7
scrap.php?num=13869
scrap.php?num=13721
 
추천
0
  • 복사

댓글 5개

괜찮은 시도 인거 같습니다.
하지만 보완이나 개인 신상정보에 대한 확립이 있어야 겠네요.
아무것도 모르는 다수의 사람들로 팀을 짠다는것이 쉬운일이 아닌지라...
기껏 팀원들과 같이 짜놓은 프로젝트를 누가 가지고 날라버릴수도 있는 문제도 있고..유출 문제도 있고..

아무튼 서비스 자체는 괜찮은 시도 인거 같습니다.
음 오래전에 옥션아이란 제작역경매 사이트에서 팀구성에 대한 보기 좋은 예가 있었는데 다시 찾아보니 사이트가 문을 닫았군요. 음 제 생각을 덧붙여서 서비스의 기본적 성질은 다음과 같을듯 합니다. 참고해서 필요하신것만 구분하심 될듯 합니다.
목적성의 부문에선 같은 맥락이 있어서 적어봅니다.
A. 회원관련
1. 최초 회원모집시 회원을 구분한다.
2. 제작자는 분야의 종목성을 두어 구분 시킨다.
3. 제작자는 분야의 종목성별로 각 스킬 전문분야 다룰수 있는 툴등 상세 부문을 기술 하게한다.[공개]
4. 각분야의 종목별 스킬등 정보를 기술 하였다면 포트폴리오 인증등록 유무를 결정한다.
5. 포트폴리오의 참여도를 % 또는 체킹선택 또는 기술하게 한다.
6. 포트폴리오에 대하여서는 본인인증을 주요 골자로 한다.
7. 이를 공개 또는 계속 노출 시켜서 회원들 스스로의 정화 시스템을 만든다.
8. 신고 기능등으로 본인인증에 대한 참과 거짓을 구분하여 정책을 할여한다.
9. 팀만들기에 대한 프로젝트 게시판을 할당하여준다.[자동]
10 .팀을 구성한 팀장은 각 팀원을 모집할수 있는 홍보공간을 할여 한다.
11. 팀은 제한인원을 두며 [너무과다한모집으로인한 피해방지] 팀장이 각 인원에 대한 직급 및 분야를 기술 할수 있다.
12. 예로 팀장이 팀원을 선택할수 있고 팀원이 팀장을 선택 할수 있다.
13. 각 팀별로 프로젝트에 관한 참여 의존도에 대한 할당 금액이 책정됨에 참여도에 프로젝트 개발시 이를 문서화 시킨다.
14. 신고 기능을 두어 포트폴리오 인증 및 기타 시스템에 대한 회원 스스로의 의존도를 높인다.
15. 관리팀은 이 신고 기능을 기반으로 거짓정보의 유무를 추적 운영 한다.
16. 관리팀 즉 운영진은 회원스스로의 팀구성 및 기타등에 책임을 지지않으며 단지 제작자 회원 개개인간의 서포터즈 역활을 담당한다.
다음부터는 의뢰회원의 경우입니다.
17. 의뢰회원은 기본 회원가입의 수준을 1차로한다.
18. 의뢰회원이 제작에 관한 의뢰시 전체 금액이 중간 관리운영팀에 입금 되어야 하며 이를 보관 관리할 의무는 관리 운영팀에 주어진다.
19. 위 18번 같은 경우 계약금을 제외한 금액이다. 그 이유는 계약의 당사자가 관리팀이 아니라 회원의 주체가 되어야 하기때문이다. 다만 나머지 잔금에 대하여서만 보관 관리한다. 보관관리란 최소의 양쪽에 대한 평등성 및 사고 방지를 위한 최소적 필수요소이다.
19. 의뢰회원이 제작팀 또는 개인을 선발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20. 제작팀이 계약금 입금시 일정 수수료[관리팀운영목적] 를 관리팀에 전달한다.
21. 이때 회원의 신상정보 노출은 [제작회원및의뢰회원공통]확정후 수수료 입금후 이루어진다.
22. 나머지 프로젝트 게시판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진행 하고 프로젝트 진행 여부를 관리팀은 모두 볼수 있다.
적다 보니 글이 길어지네요. ㅎㅎ .. 한두장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라 대충 회원관련부문의 일부만 적어 보았습니다.^^ 기술한건 길어도 주요 목적성을 보자면 간단한 논리입니다. 제 머릿속에 있는것 다 적어드리고 자픈데 댓글로 달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네요.
그런데 너무 과다한 팀의 구성은 혹 사이트의 운영에 차질이 생기기도 해서 목적성이 무료성인 개념보다는 유료성인 개념이 더 많은지라 여기에 필요한 제재 및 시스템이 필요할듯도 합니다. 사람과 사람의 인맥구성의 주요골자보다는 사고방지에 대한 미연의 시스템 운영이 차후 이루어질 팀의 유효성이나 기타 부문에서도 안전성을 보장해줄것도 같구요.
커뮤니티성이 강화된 팀의 구성이라 하더라도 주요 목적성의 부합에 맞는 기본적 성질은 갖추어져야 하기에 그 맥락의 목적성은 상이하여도 실제로 구성되는 시스템이나 기타 부문은 같거나 비슷한 유형이 많을듯 합니다.
일단 팀을 구성하여서 어떻게 관리를 할것인가서부터 팀을 만들때의 그 분류성이라든지 분류에 의한 팀의 운영기반은 관리팀이 만들어주어야 하는 부문이기에 참조가 조금이라도 될듯도 합니다. 자유성을 보장한 커뮤니티성의 목적이라면 자유성에 귀의한 의존도에 대한 존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로 인해 정책의 결여로 인한 피해가 생길수도 있으니까요.
혹시 사이트 목적이 이거신가요?
팀 = 개개인의 규합을 통한 단체의 유효성.
위 기술한건 제작에 관한 유료성에 대한 회원의 기술이니 필요한 부문만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 현재 카페등 유사한 팀의 구성 시스템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인가 획일화 되지않고 구분되어 다른 점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질문이 나오게 되네요. 주 골자는 다시 말씀드리면 팀의구성이 프로젝트이냐 아니면 그냥 자유의존도가 높은 커뮤니티냐이겠죠.
사이트는 회원에게 참여한도의 빈도수를 높여줘야 할 책임소재도 존재하니까요.
그렇다면 전자와 같이 특화된 무엇인가나 혹은 이익을 줘야할 무엇인가를 만들어줘야 한다는 질문이 다시 나올수도 있겠습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분류:음악
음악관련하여 음악을 제작하거나 이를 공유하고자 하는 팀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에 더불어서 참여인원이 누구나로 지정되면 안될듯도 합니다.
팀장이 팀을 설립한 목적성이란게 존재할테니까요.
분류:지구정복
이런분류라면 누구나가 가능하겠지만 주요 골자를 살펴보면 카페와 다를게 없어집니다. 사설이 길어 죄송합니다.ㅎㅎ 다만 무엇인가 다른 컨텐츠의 접근이 필요할듯도 합니다. 회원에 대한 인증서부터 자기 분야에 대한 스킬 및 기타 접근성등 저 또한 질문이 생기는군요^^
누구나에게 개설이 가능하다면 주요타겟은 커뮤니티인가?
커뮤니티라면 타 사이트와 조금이라도 구분될수 있는 컨텐츠가 존재하는가?
인맥중심의 진행이라면 그 인맥을 관리팀에서는 어떻게 관리할것인가?
그렇다면 계급이나 레벨등 구분 시스템을 가동할것인가?
방대하게는 적고 있지만 간단한 논리라고 생각됩니다. 
회원관련 부문만 해도 기술할게 한두가지가 아니니 일부만 적어보았으니 혹시나 도움 되길 바랍니다.
카페를 벗어나기 위한 뭔가가 더 필요할 것 같네요.
이건 제가 3년쯤 전에 만들다 중단된 건데... 한 번 구경해보세요.
m3 project manager라고 trac 짝퉁입니다 ㅎㅎ
http://sangzin.80port.net/project
id: test1
pw: gnuboard

살살 테스트해보시고, 버그가 있어도 악용하진 말아주세요 ^^;;;;;;;;
좋은 의견들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보충교육 // 동의합니다. 기획적인 면에서 아직 생각해야 할 부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PARKS 님 // 장문 작성하시느라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꼭 참고하겠습니다.
말러 //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ㅎ

더욱 멋진 서비스 준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ㅠ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