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디자인 강국...? 정보
한국이 디자인 강국...?
본문
전반적으로 확대하는건 모순이 될 수 있지만..
한국이 CG 강국인 것은 맞지만...
분명하지만....
자본의 부족 때문인지 뭣 때문인지 몰라도..
뭔가 어색한 부분은 있는 듯 합니다.
대표적인 분야가 영상 분야인데..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 등을 보면 꽤나 좋은데.. (구작이라도 해도..)
국내 작품들은.. 스틸은 좋은데.. 동영상에선 뭔지 모를 어색함이 느껴지네요.
플래쉬 등 부분을 봐도.. 물론 다 그런건 아니겠지만..
국내의 트랜드가 더 문제인 것이라 봐집니다만..
외국의 플래쉬들을 보면 간략하더라도 임팩트가 있고 창의성이 돋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란 왠지 조잡하게 난사하고 뻔해보이는 것이 많은 듯 합니다.
비슷한 것들이 판을 치고 말이죠.
이 역시 구매자인 클라이언트분들의 니드 때문에 도리 없이 끌려가는 것도 영향이 있긴 한 듯
합니다만..
한국이...
CG 및 웹 기타 컴 관련 디자인 분야에서..
정말 지존급 위치에 있는지는.. 잠시.. 생각해봐야할 문제인 듯 합니다.
감히.. 그런 생각을.. 해보긴 합니다..
추천
0
0
댓글 16개

50만원 받고 1억짜리 인트로를 만들수는 없는거죠.
그것이 현실이죠.
그것이 현실이죠.

1억을 줘도 1억짜리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 것,
그것도 현실이죠.
그것도 현실이죠.

공감..
실제 대형 AD나 에이전시 같은데서도 어이 없는 결과 많이 나옵니다.
그러나.. 굴지의 기업에서 뽑아논 디자인이기 때문에.. 우린.. 입도 못엽니다.
다만.. 소규모거나 그런 경우면 일단 트집 잡기 일쑤죠..?
대표적으로 MBC 이런거 보며.. 우린 뭘 생각하게 되는지....
태터툴즈 로고 갖고 말 많을 때... 이미 만들어지기 6년도 전에 유럽 모 업체에서
이미 그거 쓰고 있었던건 어케 해석해야할지..
실제 대형 AD나 에이전시 같은데서도 어이 없는 결과 많이 나옵니다.
그러나.. 굴지의 기업에서 뽑아논 디자인이기 때문에.. 우린.. 입도 못엽니다.
다만.. 소규모거나 그런 경우면 일단 트집 잡기 일쑤죠..?
대표적으로 MBC 이런거 보며.. 우린 뭘 생각하게 되는지....
태터툴즈 로고 갖고 말 많을 때... 이미 만들어지기 6년도 전에 유럽 모 업체에서
이미 그거 쓰고 있었던건 어케 해석해야할지..

그죠..
눈높이는 높은데.. 돈이 문제고..
영화 같은데도.. 실력차도 있을 순 있지만..
자금이 많은 헐리웃에 비해. 국내 현실은 정말 참담하기까지 하니...
하고 싶어도 못하는 경우가 많은 듯..
이런 식이 반복되면 정작 할 줄 아는 자신의 것도 뭍혀버릴 수 있다고 봐집니다.
눈높이는 높은데.. 돈이 문제고..
영화 같은데도.. 실력차도 있을 순 있지만..
자금이 많은 헐리웃에 비해. 국내 현실은 정말 참담하기까지 하니...
하고 싶어도 못하는 경우가 많은 듯..
이런 식이 반복되면 정작 할 줄 아는 자신의 것도 뭍혀버릴 수 있다고 봐집니다.

한국이 디자인 강국이란말은 들어 본적이 없는..

디자인은 아직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실물 디자인은 일본이 최고죠. 그래픽은 아직 미국을 따라갈 수는 없을 거 같아요.
우리나라의 디자인 강세 부분은 아무래도 휴대폰이 아닐까하는...
LG에서 디자인 내 놓으면 6개월 후엔 전 세계가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니...
실물 디자인은 일본이 최고죠. 그래픽은 아직 미국을 따라갈 수는 없을 거 같아요.
우리나라의 디자인 강세 부분은 아무래도 휴대폰이 아닐까하는...
LG에서 디자인 내 놓으면 6개월 후엔 전 세계가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니...

CG가 꽤 레벨이 높은건 사실이죠.. 웹디자인 꽤 높은건 사실이죠..
그러나 통괄적으로 볼 때.. 티파니님 말씀처럼 우린 많이 밀립니다.
일본과 미국... 그리고 유럽에도 일정 부분..
그나마 꽤 높은 CG의 경우도 일정 부분 중국에게 꽤 따라잡히는 감이 없잖아 있죠.
요즘 중국 CG.... 특히 건축 및 캐릭터 분야에서.. 한국 결코.. 무시할 수준이 아니게 따라붙었습니다.
가격은? 극도로 낮고...
그러나 통괄적으로 볼 때.. 티파니님 말씀처럼 우린 많이 밀립니다.
일본과 미국... 그리고 유럽에도 일정 부분..
그나마 꽤 높은 CG의 경우도 일정 부분 중국에게 꽤 따라잡히는 감이 없잖아 있죠.
요즘 중국 CG.... 특히 건축 및 캐릭터 분야에서.. 한국 결코.. 무시할 수준이 아니게 따라붙었습니다.
가격은? 극도로 낮고...
미국 대선투표 중계방송 보셨나요?
화려하고 깔끔한 그래픽...정말 입이 쩍 벌어지더군요...
이번 WBC 중계화면만 봐도,,,,
우리나라 화면이 구리다는 건 삼척동자도 알겠습니다..ㅎㅎ
하지만,
역시 가격이 문제겠죠...^^
화려하고 깔끔한 그래픽...정말 입이 쩍 벌어지더군요...
이번 WBC 중계화면만 봐도,,,,
우리나라 화면이 구리다는 건 삼척동자도 알겠습니다..ㅎㅎ
하지만,
역시 가격이 문제겠죠...^^

가격이 문제 <- 공감 박음.
그리고 약간 실력도 떨어지는건 인정해야함. 부분별로 다르겠죠.
어떤 분야는 뛰어나고 어떤 분야는 밀리고...
그리고 약간 실력도 떨어지는건 인정해야함. 부분별로 다르겠죠.
어떤 분야는 뛰어나고 어떤 분야는 밀리고...
디자인은 하루에 만들어지는게 아닙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적인 경험이 쌓여야 가능하죠.
디자인은 제품에 대한 인식과 미에 대한 상상력이 사회적 지성으로 나타나는 결과라 보심되요.
수준 높은 디자인이 차츰 늘어나면서 서로의 디자인이 상승을 하게 되기 때문에, 몇년후에는
지금보다 더 좋은 결과들이 나오기 시작할 겁니다.
디자인은 제품에 대한 인식과 미에 대한 상상력이 사회적 지성으로 나타나는 결과라 보심되요.
수준 높은 디자인이 차츰 늘어나면서 서로의 디자인이 상승을 하게 되기 때문에, 몇년후에는
지금보다 더 좋은 결과들이 나오기 시작할 겁니다.
불당님의 말에 동의하며 좀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면 우리나라는 결정권자의 안목에 비례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모든것(문화,프로그램,디자인등등)이...

디자인 한참 멀었다고 봅니다.
패션쪽만 봐도 유명 디자이너 한명 없습니다.
패션쪽만 봐도 유명 디자이너 한명 없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배꼽잡고마지막에 빵 터졌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대박웃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ㅋㅋ 순간 헉했습니다...그리고 밀려오는 웃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