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복제품에 대한 사람들 인식이 점점 틀려지는게 아쉽네요. 정보
요즘 복제품에 대한 사람들 인식이 점점 틀려지는게 아쉽네요.
본문
요즘에는 정말 불법 복제품을 사용하는데에 대해 아무런 꺼리낌이 없는것같습니다.
뭐 현제의 방식이 고쳐질수는 없겠지만 요즘에는 복제품 사용 에 대해 유틸리티 같은 경우는 몇천만원짜리, 몇백만원짜리 제품도 있는데 그걸 사려면 프로그램의 가격적인 부분을 들어 복제품 사용을 합법화 하려고도 하지요.
그래도 그런 불법복제품을 가지고 몇만원,몇십만원,몇백만원,몇천만원의 저작물을 만들어 낸데도
아까울지;
그 제품을 살수 있는 돈을 가지고 있더라도 정품 구매 안하는 경우도 있을테고요.
몇천,몇백이 아니라 몇만,몇십만원 제품도 귀찮아서 다운하는 경우도 많죠.
이런글 올리면 요즘 같은 세상에는 욕먹을지 모르겠으나 저작물에 대한 보호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네티즌 인식은 가면 갈수록 더 해질지 모르겠군요.
저도 100% 정품유저가 아닌데 딴분들에게는 모순 같이 들릴지 모르겠으나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경우가 생기면 그 자료를 올린 사람들에게는 일체 고맙다는 댓글도 달지 않습니다.
본래의 제작자는 그 사람도 아니고 그 사람때문에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는것도 아니기
때문이죠..
한번쯤 생각하고 다운받을수 있었으면 하네요.
18만원짜리 국내 프로그램 나모웹에디터 2008 SUITE 제품을 개발한 제작자가
웹하드에 올려진 자료를 보았고 댓글에 고맙다는 댓글들이 수두룩하게 달려있는걸 보면
기분이 어떨지 말입니다.
이글은 푸념이고 잡담일 뿐입니다~ 겉으로 드러내고 합법화,정당화 하려는 분들을 보면 말입니다.
앞으로는 패키지 자체가 없어지는 시대가 올것이고 인터넷을 통해 웹에서 실행해야하는 어플리케이션만 존재할지도~
여담이지만 소니 에서는 PSP 후속모델에 UMD 를 없애고 웹에서 다운로드 받아 게임을 실행하게
하는 방식으로 바꿨다더군요. 이부분도 방식만 파악되면 복제는 피할수 없겠지만~
뭐 현제의 방식이 고쳐질수는 없겠지만 요즘에는 복제품 사용 에 대해 유틸리티 같은 경우는 몇천만원짜리, 몇백만원짜리 제품도 있는데 그걸 사려면 프로그램의 가격적인 부분을 들어 복제품 사용을 합법화 하려고도 하지요.
그래도 그런 불법복제품을 가지고 몇만원,몇십만원,몇백만원,몇천만원의 저작물을 만들어 낸데도
아까울지;
그 제품을 살수 있는 돈을 가지고 있더라도 정품 구매 안하는 경우도 있을테고요.
몇천,몇백이 아니라 몇만,몇십만원 제품도 귀찮아서 다운하는 경우도 많죠.
이런글 올리면 요즘 같은 세상에는 욕먹을지 모르겠으나 저작물에 대한 보호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네티즌 인식은 가면 갈수록 더 해질지 모르겠군요.
저도 100% 정품유저가 아닌데 딴분들에게는 모순 같이 들릴지 모르겠으나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경우가 생기면 그 자료를 올린 사람들에게는 일체 고맙다는 댓글도 달지 않습니다.
본래의 제작자는 그 사람도 아니고 그 사람때문에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는것도 아니기
때문이죠..
한번쯤 생각하고 다운받을수 있었으면 하네요.
18만원짜리 국내 프로그램 나모웹에디터 2008 SUITE 제품을 개발한 제작자가
웹하드에 올려진 자료를 보았고 댓글에 고맙다는 댓글들이 수두룩하게 달려있는걸 보면
기분이 어떨지 말입니다.
이글은 푸념이고 잡담일 뿐입니다~ 겉으로 드러내고 합법화,정당화 하려는 분들을 보면 말입니다.
앞으로는 패키지 자체가 없어지는 시대가 올것이고 인터넷을 통해 웹에서 실행해야하는 어플리케이션만 존재할지도~
여담이지만 소니 에서는 PSP 후속모델에 UMD 를 없애고 웹에서 다운로드 받아 게임을 실행하게
하는 방식으로 바꿨다더군요. 이부분도 방식만 파악되면 복제는 피할수 없겠지만~
추천
0
0
댓글 9개

합법화 정당화.. 하려는건 문제죠
누구나 다 그렇게 하니까.. 라는 인식이 팽배해진다는건 문제인거 같습니다.
지금은 경제적으로 너무 부담되니까 구매를 못하지만 조금이라도 여유가 생기면
구매를 해야지...
최소한 요정도 생각까지는 가져야 하지 않을런지 하는..
그게 생각만으로 끝날지라도 말입니다.
여건상 미룬다 할지라도 당연시 하는건 안돼겠죠 ㅎ
누구나 다 그렇게 하니까.. 라는 인식이 팽배해진다는건 문제인거 같습니다.
지금은 경제적으로 너무 부담되니까 구매를 못하지만 조금이라도 여유가 생기면
구매를 해야지...
최소한 요정도 생각까지는 가져야 하지 않을런지 하는..
그게 생각만으로 끝날지라도 말입니다.
여건상 미룬다 할지라도 당연시 하는건 안돼겠죠 ㅎ

음 포토샾 7.0 드림위버 윈도우 98 XP 정식사용자입니다..
포토샾은 아는 지인분을 통해 사무실 폐업 하면서 7.0 5만원에 업어왔습니다 겁네 땡잡은 물건이고
드림위버도 마찬가지로 업어왔습니다... 윈도우 98은 뭐 예전 컴 살때 딸려온거고;; XP는 정식으로 삿습니다 18만원에..
근데 여기서 느끼는점은 내가 고작 쓸려고하는 프로그램들이 10~20만원도 아니고 몇십만원을 호가하니 그게 문제인겁니다...
그 돈을 지불할만큼의 제작팀들이 고생하는것 많은데.... 우리는 그 프로그램 제작자랑 1:1이지
제작자 시야에서는 1: 수만입니다.. 그걸 감안한다면 꼭 기업체의 이윤을 남기기위해서 어쩔수없는것도 알고 또 비싸서 우리도 복제품을 쓸수밖에 없는 현실이 참 암담합니다.
포토샾은 아는 지인분을 통해 사무실 폐업 하면서 7.0 5만원에 업어왔습니다 겁네 땡잡은 물건이고
드림위버도 마찬가지로 업어왔습니다... 윈도우 98은 뭐 예전 컴 살때 딸려온거고;; XP는 정식으로 삿습니다 18만원에..
근데 여기서 느끼는점은 내가 고작 쓸려고하는 프로그램들이 10~20만원도 아니고 몇십만원을 호가하니 그게 문제인겁니다...
그 돈을 지불할만큼의 제작팀들이 고생하는것 많은데.... 우리는 그 프로그램 제작자랑 1:1이지
제작자 시야에서는 1: 수만입니다.. 그걸 감안한다면 꼭 기업체의 이윤을 남기기위해서 어쩔수없는것도 알고 또 비싸서 우리도 복제품을 쓸수밖에 없는 현실이 참 암담합니다.

으하하하하하하하하~~* 복제 프로그램... 저도 쓰고 있지만 이런 복제 프로그램이 없어 진다면 전 때돈을 벌었을텐데요. 참 아이러니 하죠?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미쿡에선 포토샵이 30만원인데 울 나라엔선 150이래요. 으하하하하하...

개인적으로는 그만한 가치를 주는 제품에 대해서는 비싸다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단지, 내가 그만한 가치가 필요한가를 판단하는 게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저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GIMP를 쓰는데,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지 않는 저에게 포토샵 등이 의미가 있을까 싶기 때문이지요.
각설하고, 전문가를 위한 도구의 경우엔 기업 사용자를 타겟으로 잡는 게 유용할 것 같습니다.
개인에게 포토샵의 많은 기능은 쓸데 없이 비싼 가격이란 인식으로 연결되지만
기업에게 포토샵의 많은 기능은 표현력의 확장과 생산성 증대로 인식되니까요.
(이런 인식에 다다르지 않은 기업이라면...... 할 말이 없겠습니다만....)
단지, 내가 그만한 가치가 필요한가를 판단하는 게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저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GIMP를 쓰는데,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지 않는 저에게 포토샵 등이 의미가 있을까 싶기 때문이지요.
각설하고, 전문가를 위한 도구의 경우엔 기업 사용자를 타겟으로 잡는 게 유용할 것 같습니다.
개인에게 포토샵의 많은 기능은 쓸데 없이 비싼 가격이란 인식으로 연결되지만
기업에게 포토샵의 많은 기능은 표현력의 확장과 생산성 증대로 인식되니까요.
(이런 인식에 다다르지 않은 기업이라면...... 할 말이 없겠습니다만....)

아샬님의 의견에 동조되는군요.
개인적으로 포토샵을 이용하려는 이유는 사업적인 부분이나 상용 저작물을 만들어내기
위함인데 전문가용 프로그램을 자본을 투자하지 않고도 사용하려니 문제인거 같습니다.
사업은 해야하겠고 투자는 하기 싫고..
개인 공부용도가 문제라면 쉐어웨어, 또는 유사한 프리웨어 프로그램들이 얼마든지 많기도 하고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포토샵을 이용하려는 이유는 사업적인 부분이나 상용 저작물을 만들어내기
위함인데 전문가용 프로그램을 자본을 투자하지 않고도 사용하려니 문제인거 같습니다.
사업은 해야하겠고 투자는 하기 싫고..
개인 공부용도가 문제라면 쉐어웨어, 또는 유사한 프리웨어 프로그램들이 얼마든지 많기도 하고 말입니다.

꼭 요즘이라고 할수는 없는거죠. XT 때 부터 일반화된 현상이였는데요. 컴퓨터학원에 다녔었는데, 매일 출석하는 학생들에게 흑백 게임을 디스켓에 복사해 주셨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도 얼마나 고마웠던지,,ㅎ
겉으로 드러내고 합법화, 정당화 하는 사람들 <--- 이런사람들이 어디있나요? 말이 좀 모순..^^;;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닌텐도 없는 학생은 왕따 당할 정도로 (조카에게 들은 애기) 보급률이
높은것이 좋은 예인거 같네요. 양날의 칼인 셈이죠.
겉으로 드러내고 합법화, 정당화 하는 사람들 <--- 이런사람들이 어디있나요? 말이 좀 모순..^^;;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닌텐도 없는 학생은 왕따 당할 정도로 (조카에게 들은 애기) 보급률이
높은것이 좋은 예인거 같네요. 양날의 칼인 셈이죠.

합법화 정당화라는것은 가격적인 부담이 된다면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것이죠. 가격적인 부담이 된다면서도 유사한 프리웨어,싼가격의 저렴한 제품들도 많은데 꼭 전문가용이나 고가의 프로그램을 선호하려고 한다는것이죠. 실제로 그게 자신에게는 필요없는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가격적인 예를 든다면 단지 프로그램이 아닌 웹디자인,웹사이트의 경우에도 몇십,몇백 하는 디자인도 많은데 그걸 모방,사용해도 된다는 이치 밖에는 안되겠죠..
자신의 디자인이 다른 사람이 불법으로 사용하고 있다는걸 봤다면 어떤 느낌일지..
그사람도 가격이 너무 비싸서 복사했다 라고 말한다면?..
분명 요즘 사람들의 인식이 틀려지는거 같네요.
투자없는 사업이라는 것이 가능할까요?....
가격적인 예를 든다면 단지 프로그램이 아닌 웹디자인,웹사이트의 경우에도 몇십,몇백 하는 디자인도 많은데 그걸 모방,사용해도 된다는 이치 밖에는 안되겠죠..
자신의 디자인이 다른 사람이 불법으로 사용하고 있다는걸 봤다면 어떤 느낌일지..
그사람도 가격이 너무 비싸서 복사했다 라고 말한다면?..
분명 요즘 사람들의 인식이 틀려지는거 같네요.
투자없는 사업이라는 것이 가능할까요?....

갑자기 1,000원으로 네이버 만드는 게 떠올랐네요. (...)

저도 뭐...
이런 시대에 살면서...
자연스레 공유에 익숙해져 버린게 어찌 보면 참 안타깝게 느껴지네요..
그래도 여건이 되면 라이센스는 꼭 구입하려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흠...
몇년 전까지만 해도 무슨 유틸들이 그렇게 비싼지..
운영체제도 왜 그렇게 비싼지 이해를 못했는데..
개발자들이 흘린 땀과 눈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거...
그 땀과 눈물을 이용해서 비교적 쉽게(?) 업무처리를 해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고마운 건데... 암튼 요즘 너무 공유에 대한 인식이 와전되서.. (어찌 보면 인터넷의 폐해인가요...)
개발자들이 죽어나는 세상이 되어버린...ㅠ
이런 시대에 살면서...
자연스레 공유에 익숙해져 버린게 어찌 보면 참 안타깝게 느껴지네요..
그래도 여건이 되면 라이센스는 꼭 구입하려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흠...
몇년 전까지만 해도 무슨 유틸들이 그렇게 비싼지..
운영체제도 왜 그렇게 비싼지 이해를 못했는데..
개발자들이 흘린 땀과 눈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거...
그 땀과 눈물을 이용해서 비교적 쉽게(?) 업무처리를 해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고마운 건데... 암튼 요즘 너무 공유에 대한 인식이 와전되서.. (어찌 보면 인터넷의 폐해인가요...)
개발자들이 죽어나는 세상이 되어버린...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