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본 미지의세계 [좋네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사진으로 본 미지의세계 [좋네요] 정보

기타 사진으로 본 미지의세계 [좋네요]

본문

현대물리학과 천문학의 탐색은 끝이 없어 보입니다.
한쪽은 원자현미경으로, 다른한쪽은 천체망원경으로...
한쪽은 안으로 안으로, 다른한쪽은 밖으로 밖으로...
결국 그들은 똑같은 공간을 보고 말았습니다.

텅비고, 적멸한 空!!!
똑 같은 구조의 존재 모습!!!


그리고, 현대물리학과 천문학은 인간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우주속의 먼지같은 존재가 아니라,
내 몸속에 숱한 태양계와 은하계를 내재한 거룩한 존재!

안으로 우주를 품고,
겉으로 우주를 집으로 해서
왜소하지도, 거대하지도 않아 보입니다.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엔 '자'로 잴게 별로 없어 보입니다.
그동안 알고 있었던 내 인식의 '자'도 아마 틀렸는지 모를 일입니다.




10+0.jpg1미터.





사람들의 일반적인 스케일이죠.

10월의 따뜻한 날 한 남자가 공원에서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그의 곁에는 여러가지 물건들이 있군요.

이 사진의 작은 사각형 안의 공간이 다음 사진 내용이 되는겁니다.



"인간은 모든것의 척도이다."

소피스트였던 프로타고라스의 말을 인용하며, 인간에서부터 시작해봅니다.



이 그림을 잘 기억해주세요.





10-1.jpg





10센티미터.

더 조밀한 비율입니다.

이 사진은 손등을 조금 확대해서 보여준 그림입니다.





10-2.jpg





1센티미터

손등의 그림을 더 확대한 모습이죠.

손등의 주름은 그만큼 손이 유연성이 있다는걸 의미한답니다.





10-3.jpg





0.1 센티미터(1밀리미터)

살 아래엔 작은 혈관이 흐르겠죠?





10-4.jpg





0.1밀리미터.

머나먼 별이 익숙하지 않은것처럼,

우리의 몸이라고 해도 이렇게 확대된 부분은 익숙하지가 않군요.





10-5.jpg





0.01밀리미터

하얀 림프구 세포입니다.





10-6.jpg





1마이크로미터.

세포의 핵으로 들어가는겁니다.





10-7.jpg





1000 옹스트롬. (0.1마이크로미터 , 0.0000001미터)

기다란 분자 구조가 얽히고 섥혀서 세밀한 DNA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DNA구조는 모든 세포 내의 핵에 존재합니다.





10-8.jpg





100 옹스트롬

DNA의 2중 나선 구조지요.





10-9.jpg





10 옹스트롬

분자단위의 스케일입니다.





10-10.jpg





1 옹스트롬

원자 단위의 스케일입니다.

핵 주변으로의 전자 구름이 보입니다.





10-11.jpg





0.1옹스트롬

탄소원자입니다.





10-12.jpg





1 피코미터 (0.000000000001미터)

원자의 핵.





10-13.jpg





0.1 피코미터

좀 더 가까이서 볼까요?





10-14.jpg





0.01 피코미터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는 원자의 핵 입니다.





10-15.jpg





0.001 피코미터

현대 물리학에서 최근에 탐구하기 시작한 양성자의 안쪽 부분이지요.





10-16.jpg





0.0001 피코미터

더 확대해보면 무엇이 있을까요...









다시 시작합시다.





10+0.jpg





인간으로부터 다시 시작해봅시다.





10+1.jpg





10미터.

남자와 여자가 같이 공원에 소풍을 온 그림이죠.





10+2.jpg





100미터.

고속도로와 부두가 보이네요.





10+3.jpg





1킬로미터

도시가 보입니다.





10+4.jpg





10킬로미터.

도시의 중심도 보이고, 여러가지가 보이는군요. 모든것이 나타납니다.





10+5.jpg





100킬로미터.

시카고의 거대도시 영역입니다. 더불어 호수의 끝이죠.





10+6.jpg





1000킬로미터.

상공의 낮은 궤도에서 관찰한 모습입니다.

1000만이 넘는 사람들의 거주지가 보이지요.





10+7.jpg





만 킬로미터.

푸른 하늘과 하얀 구름, 어두운 바다. 갈색의 땅. 동쪽으로 도는 지구.

1967년이 되서야 인간은 지구를 지구 밖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되었지요.





10+8.jpg




10만 킬로미터.





10+9.jpg





100만 킬로미터.

달의 궤도입니다.





10+10.jpg





1000만 킬로미터.

지구가 태양을 도는 궤도입니다.





10+11.jpg





1억 킬로미터.

다른 행성들의 궤도도 보이는군요.





10+12.jpg





10억 킬로미터. (~7AU)

태양계입니다. 다른 행성들은 잘 보이지 않지만

태양 하나는 참 잘 보이네요. 멀리 목성이 궤도가 보입니다.





10+13.jpg





100억 킬로미터.

태양계 행성들 보일건 다 보입니다.





10+14.jpg





1000억 킬로미터.

태양도 작게 보이는군요.





10+15.jpg





1조 킬로미터.

오직 태양만이 보입니다.





10+16.jpg





10조 킬로미터 (대략 1광년)

빛이 1년을 여행해야 갈 수 있다는 거리인 1광년입니다.





10+17.jpg





10광년 (3파섹)





10+18.jpg





100광년

참 넓기도 한 우주~





10+19.jpg





1000광년

슬슬 은하의 윤곽이 드러납니다.





10+20.jpg





1만 광년

커다란 별들도 전체적으로 봤을땐 작은 입자같군요..

하나의 구름처럼 된 듯한 모양입니다.





10+21.jpg





10만광년

..





10+22.jpg





100만광년

더 넓게..





10+23.jpg





1000만광년(3메가 파섹)

그렇게 거대한 은하도 하나의 점으로..





10+24.jpg





1억 광년

우리 은하가 겨우 보이는군요..





10+25.jpg





10억 광년

대부분의 공간이 이렇게 비어있는것처럼 보입니다..

더 먼 공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

.







* 출처 : 영혼과 과학의 만남

 

추천
0

댓글 3개

전체 199,677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