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악스러운 CS5 웹프리미엄 가격~ ㅠㅠ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경악스러운 CS5 웹프리미엄 가격~ ㅠㅠ 정보

경악스러운 CS5 웹프리미엄 가격~ ㅠㅠ

본문

현재 CS3 정품을 2년전에 구입한걸 쓰고 있는데, CS5가 짱인듯하여
CS5 마스터 콜렉션은 필요없고, 웹프리미엄을 살려고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어도브 코리아 판매가격은 3,396,800원 입니다. 대충예상했던 가격 ㅠㅠ
참고 : http://www.softwarecatalog.co.kr/src/Item/Itemmaster.asp?Serial=7679&KW=cs5

이베이에 가보니 1,889$ 네여. 한화 기준으로 2,174,239원 이고요.
참고 : http://shop.ebay.com/i.html?_nkw=cs5+web&_sacat=0&_odkw=cs5&_osacat=0&bkBtn=&_trksid=p3286.m270.l1313

이베이에서 사면 귀찮긴 하겄지만, 120만원이 넘게 차이가 나지요~ 후후~
i7 PC한대 구축할만한 돈을 벌수 있습니다. ㅋㅋ

다만, 국내에서 미국판 SW를 쓰면 불법이라고 주워들었는데
저는 말도 안된다고 생각해서 어도비 코리아에 직접 전화해서 물어봤습니다.
불법은 아니고, 어도비 코리아에서 제공하는 혜택만 받을 수 없다고 하더군요.

어차피 어도비코리아 CS3 정품쓰면서 혜택 받은것도 없는지라.
저는 과감하게 이베이로 갈려구요. ㅋ 20~30만원 차이면 그냥 편하게 샀을텐데
가격 차이가 너무 심해서...

담달에 돈들어오는데 질를려구요~ ㅋㅋ

구매하실려고 하셨던 분들 참고하시길~

혹시 이베이 보다 더 싼곳 아는 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여~ ㅠㅠ
추천
0
  • 복사

댓글 24개

어도비에 직접 문의하셔야 합니다.
요놈들은 정책이 그때그때 다르거든요. cs3 나왔을 때 문의했을 때는 또 해외에서 구입한 것은 인정 안 한다는 투로 답변을 들었거든요.
그런데 한글버전과 영문버전 가격이 달라 정책도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드네요.
저는 너무 오래 전 버전(7)이라 업글 자체를 포기하고 이번에 새롭게 장만할 생각입니다. 이번에 장만하면 또 10년(?)은 쓰겠지요.
문제는 핑핑 잘 돌아갈 PC 셋팅입니다.
여기저기 눈팅하니 64에서는 확실히 속도감을 느낄 수 있다는데(램도 8기가 꼽고)
기존 프로그램들이 여전히 32에서 멤돌고 있어 이것이 고민입니다.
당장 폰트 지원 안 되는 것도 많고요.
한글버전에서 영문버전으로 업글이 안된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CS3 한글 -> CS4 영문 ...
그래서 그냥 업글 안하고 있었네요.
저는 한글판은 줘도 안씁니다.
해석을 지들 멋대로 해놔서...

일부는 영문, 일부는 순우리말로 써놨는데 도무지 알수가 없더라구요.
동감이요. 전 90년대 중반부터 줄창 영문만 써서 한글보면 너무 낯설답니다. 페인트샵도 정품 한글버전을 구입했었는데 도무지 무슨 말인지 헷갈려서 정작 쓰기는 영문버전 다운받아 썼습니다.
참고로 이베이는 오직 제품 가격에만 적용되는 판매가입니다. 순수 판매가이지요.
단가가 높으니 관세가 적용될 수 있으니(통상 10만원 이상인 경우) 이점 체크하시고 UPS 의 경우 대략 5~10만원 정도가 될 겁니다.
여기에 부가가치세와 통관수수료 부분도 체크해야 합니다.
이 모든 것이 없고 순수하게 운송료만 부담해도 된다면 국내 판매되는 조건보다 월등히 좋지만 아마도 이것저것 붙을 것 같네요.
한국은 이제 출시 예정이니 곧 정상적인 판매가로 움직일 겁니다.
지금은 출시가이지요.
1달 반전에 견적을 받았었어요.
웹에이젼시에 가장 많이 공급하는 업체지요.

CS4 시리얼만, 240만원 부르더군요.
박스/정품 DVD 없이, 그냥 시리얼만 240만원 이에여~

할말이 없더군요.
라이센스 장사이니 그러려니 합니다.
그래서 눈에 쌍불을 켜고 온라인 관련 사업자들을 캐고 다니는 것이지요.
얼마나 쉽습니까? 한 업체나 프리랜서만 찾아도 몇 백 매출을 올릴 수 있으니 말입니다.
문제는 많이 대중화된 프로그램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는데 있지요.
특수성을 띄는 프로그램이야 제한적으로 사용되니 그만큼 사용자 대비 가격이 높다는 것은 동의하지만 포토샵이나 플래시는 요즘 대중화되어 있는데도 이렇게 가격이 높으니 불법 제품을 쓸 수 밖에 없지요.
프로그램당 윈도우 가격 정도만 내려와도 정품을 많이 사용할텐데 아쉬움이 있습니다.
1제품당 시리얼을 10개를 발급해줘여.
윈도우7도 종류별로 한 10가지 넘는것 같은데...
품목당 시리얼이 10개니까 윈도우7을 100개도 넘는 PC에서 쓸수 있는 것이죠.

제가 올해 가입했는데, 내년에 기간이 만료되어도 그냥 쓰면 됩니다.
다만 기간 만료후에 새로 나오는 프로그램만 다운을 못 받는 것이죠.

저는 몰랐는데, 할인쿠폰 검색하면 나오는것 같더라구요.
제컴퓨터 win7에서 cs5 포샵이 알수없는이유로 갑자기 프로그램이 저장도못하고 종료되는 현상이 있어요 ㅠ
cs4는 갠찮은데 ㅠ 일단 두가다깔아서쓰고있는데 cs5는 사용안하고있습니다
리자님은 어도브 코리아 정품을 쓰시니,
제가 걸어둔 링크의 3번째 항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Win  영문 UAOO FR SUITES 2/3V BACK 1 - 2 499 5          1,510,300

151만원이네요. 저같으면 그냥 1개 더 사셔서 PC2 곳에서 CS3와 CS5정품 쓰시는게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소프트 팔아먹는곳에서 단속도 하나본데여. 네이버에 홈피 올려놨더니, 전화/팩스/DM 장난아니게 날아오더라구요.
아미가님~ 질문요~ ㅠㅠ
제가 이베이 이용을 한번도 안해봐서, 부가세/통관세를 전혀 고려 안했네여~ -_-;;

대충 물건 1~2개 가지고 들어오는건 된다고 주워들어서, 걍 보내줄줄 알았는데...
이베이에서 판매자가 박스에 포장해서 보내면, 세관에서 그게 포토샵이란걸 알고,
200만원이 넘는 제품이라는것도 알아챌가요?

그렇다면 미국에 있는 친구집으로 물건을 보내서,
그 친구가 다시 저한테 보내주는 방식으로 하면 세금을 피할수 있을까요?

작년이랑 올해 부가세 신고 다하고, 낼거 다내고 살고있지만,
포토샵 비싼거 정품 사는거도 나름 정직하다고 생각했거늘, 세금가지 내려리 이거 원... ㅠㅠ
제 경험으로는 그렇습니다.
저가형은 관세도 없고 통관수수료도 붙지 않아 부담이 없는데
조금 가격이 나가는 것들은 일단 관세 8%(이것도 품목에 따라 다릅니다.) 통관수수료가 무조건 붙었습니다. 부가세가 붙는 경우도 있고요.(이건 저가형이더라도 수량이 여러 개이거나 혹은 단가가 높은 경우)
그 기준이 10만원인가 15만원인가 하는데 전 주 환율 기준입니다.
물품을 해외 발송시 해외특송은 무조건 가격을 미화로 명시해야 합니다.
당연히 명시될 것이고 관세청에서는 그를 기준으로 적용을 하지요.

조금 민감한 부분은 이게 실사용인지 판매용인지 구분을 해야 하는데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모르겠네요. 내가 개인적으로 사용한다고 하면 부가세는 면피할 수 있는데 어차피 사업자 내고 비용 처리를 하려면 상황이 달라지니 말입니다.

친구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저도 미국에서 받은 것은 지인을 통해 받았는데 낼 것은 다 냅니다.
지인을 통해야 하는 경우는 여러 물품을 구입하여 한 꺼 번에 받을 때 배송료를 줄일 때가 유리하지요. 그리고 미국은 주마다 부가세가 달라 가장 저렴한 주(5%인가 됩니다.)에 거주하는 사람이 해당 제품을 구입하여 보내주면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여행자 비관세도 고작 400불인 것을 고려하면 관세는 무조건 낸다고 보아야 하고
통관수수료도 붙을 것 같습니다. 배송료도 FEDEX, UPS 보다는 우체국에서 운영하는 EMS 나 일부 영세 사업자가 훨씬 저렴한데 판매자가 그렇게 붙여줄 리 만무합니다. 전문 판매자라면 조금 저렴하게 붙여줄 수도 있겠네요. 문제는 단가가 높은 것이라 배송료도 할증이 붙을 겁니다.(보험료 성격이지요.)

아무튼 이것저것 붙을 때의 단가와 국내에서 저렴하게 시리얼만 받는 것 가운데 어느 것이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가를 따져야 할 것입니다. 환율도 고려대상이고요. 노파심에 말씀드리지만 환율도 기준가가 아닌 구입가는 조금 더 높습니다.
뭐 이것저것 잡다하게 들었는데
웹쪽에서 가장 많이 쓰는 순서대로 적자면...

포토샵, 플래시, 드림위버, 일러스트 이정도지요~
재작년쯤 어도비코리아와 외국에서 사들고온 제품이 정품인지 아닌지로 일주일정도 싸웠었네요~
결론은 자기들은 인정해주지않는다라는것이였습니다~
앞뒤전후 이유도 없고 그냥 정책이라는 어이없는 말 뿐이더군요~

정품 인정 범위도 참 우끼더군요~
구입영수증이 꼭 있어야한다고~
중고로 구매해서 영수증이 없으면 정품이 아니냐고했더니 중고거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더 어이없는 답변을 들었네요~
나중에 계속 따지니깐 씨디 등 구성품 두가지인가 세가지이상을 보유하고 있어야한다고..

지금은 또 정책이 바뀐건지~~ 하여튼 너무 비싼 어도비~~~
월간 W.E.B 이란 잡지가 있는데, 거기서 하는 프로모션들 중에 Adobe 하고 하는 쇼케이스들이

많습니다. 그런 이벤트 참여하실수 있다면, 보다 디스카운트 된 가격으로 사실수 있을거 같네요.
여쭤볼께요
저도 상업용으로 포토샵을 구매하려는데  해외사이트와 가격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것 같아요
그래서 해외에서구매한것두 정품인증되냐고하니까  되기는 되는데 단 상업용은 clp가 있고 plp가 있는데 clp는 가능하고 plp는 불가할수도 있다는 답변을하는데,  clp, plp가 뭔가요?
그리고 해외사이트에서 상업용을 구매하려면 어떻게 검색해야되나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