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운영 업체들... 정보
P2P운영 업체들...
본문
어떻게 그렇게많은 자료를 보유할수있죠?
가상서버란 서버호스팅으로 할수있는건가요?
추천
0
0
댓글 19개
질문을 두개씩이나 하시다니 훈훈합니다.
첫번째 질문은 모르겠고요
두번째질문은 맞습니다.
첫번째 질문은 모르겠고요
두번째질문은 맞습니다.

1, 판매자에게 돈주잖아요..
2, 가상서버로 힘들죠(P2p로 사용에 잇어서)... ㅋㅋㅋ
2, 가상서버로 힘들죠(P2p로 사용에 잇어서)... ㅋㅋㅋ

두분의 답변이 서도 달르다!!!!!!!!!!!!!!!!!!!!
사건은 다시 미궁속으로
사건은 다시 미궁속으로

같은 말같은데요.....

가상서버로 힘들다는건 어느정도 가능하다건가요~?

원하는것이 어떤건데요?

대용량이요 엄청나게 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무지많이요

P2P는 가상서버에서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P2P는 용량 뿐만아니라 대역폭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P2P는 용량 뿐만아니라 대역폭도 중요합니다...
당연 불가.

p2p사이트들은 독자적으로 서버를 만들어서사용하나요?

서버도 1대로 안될건데요...

[
]
▲ 스티브 잡스가 WWDC2011 기조연설에서 공개한 노스캐롤라이나 데이터센터 내부. HP DL서버 시리즈로 추측된다.

▲ 스티브 잡스가 WWDC2011 기조연설에서 공개한 노스캐롤라이나 데이터센터 내부. HP DL서버 시리즈로 추측된다.

지진나서 다 무너져랏!!!!!

뉴스 보니 p2p M모사의 회원수가 2천5백만명이라던데
IDC에 서버 꽉 채워야 될겁니다.ㄷ ㄷ ㄷ
IDC에 서버 꽉 채워야 될겁니다.ㄷ ㄷ ㄷ

네트웤의 비밀이죠..
http://100.naver.com/100.nhn?docid=759687
기존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념이나 공급자와 소비자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하고 검색함으로써 모든 참여자가 공급자인 동시에 수요자가 되는 형태이다.
크게 2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어느 정도 서버의 도움을 얻어서 개인간 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미리 주소(IP address) 등의 개인 정보를 공유하여 서버 없이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앞의 경우에도 접속 및 검색 단계 이후는 뒤의 경우와 동일하게 개인끼리 직접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하게 된다.
앞의 예로 미국의 냅스터(napster)와 한국의 소리바다 등을 들 수 있고 뒤의 방식으로는 그누텔라(Gnutella)가 대표적이다. 단, 서버를 사용하는 방식은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서버의 부하로 인한 속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에 그누텔라와 같은 직접 연결에서는 검색이 어렵고 네트워크 자체의 부하를 해결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를 제한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검색방법을 개선한 프로그램이 새롭게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원격 공동작업을 위한 기능 및 도구를 제공하는 방식도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P2P는 아직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의 저작권 보호는 P2P뿐 아니라 정보산업 전체의 사활이 걸린 중요한 문제이다. 그 밖에 정보 누출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의 개발과 다양한 콘텐츠 포맷 지원, 적정한 수익 모델 창출 등도 과제로 남아 있다
[출처] P2P [peer to peer ]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59687
기존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념이나 공급자와 소비자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하고 검색함으로써 모든 참여자가 공급자인 동시에 수요자가 되는 형태이다.
크게 2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어느 정도 서버의 도움을 얻어서 개인간 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클라이언트 상호간에 미리 주소(IP address) 등의 개인 정보를 공유하여 서버 없이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앞의 경우에도 접속 및 검색 단계 이후는 뒤의 경우와 동일하게 개인끼리 직접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하게 된다.
앞의 예로 미국의 냅스터(napster)와 한국의 소리바다 등을 들 수 있고 뒤의 방식으로는 그누텔라(Gnutella)가 대표적이다. 단, 서버를 사용하는 방식은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서버의 부하로 인한 속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에 그누텔라와 같은 직접 연결에서는 검색이 어렵고 네트워크 자체의 부하를 해결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를 제한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검색방법을 개선한 프로그램이 새롭게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원격 공동작업을 위한 기능 및 도구를 제공하는 방식도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P2P는 아직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의 저작권 보호는 P2P뿐 아니라 정보산업 전체의 사활이 걸린 중요한 문제이다. 그 밖에 정보 누출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의 개발과 다양한 콘텐츠 포맷 지원, 적정한 수익 모델 창출 등도 과제로 남아 있다
[출처] P2P [peer to peer ] | 네이버 백과사전
오..어렵군요. ㅡㅡ

질문에 약간 함정이 있는듯 합니다.
가상서버란 서버호스팅으로 할수있는건가요?
를 읽을 때...
가상서버를 서버호스팅으로 운영할 수 있느냐라는 질문이라면...당연히 YES 죠
그런데
가상서버라는 서버호스팅으로 P2P 업체를 운영할 수 있느냐라는 뜻이었다면, 물론 아주 불가능한건 아니겠지만 구지 그렇게 할 이유도 없고 더군다나 그 위에 언급하신 정도의 규모를 갖는 P2P 업체라면 그냥 서버호스팅을 이용하겠지요. 수백대 이상의...
가상서버란 서버호스팅으로 할수있는건가요?
를 읽을 때...
가상서버를 서버호스팅으로 운영할 수 있느냐라는 질문이라면...당연히 YES 죠
그런데
가상서버라는 서버호스팅으로 P2P 업체를 운영할 수 있느냐라는 뜻이었다면, 물론 아주 불가능한건 아니겠지만 구지 그렇게 할 이유도 없고 더군다나 그 위에 언급하신 정도의 규모를 갖는 P2P 업체라면 그냥 서버호스팅을 이용하겠지요. 수백대 이상의...

중복자료가 많아서 그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