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금리는 10% 이상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정보
현재 금리는 10% 이상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본문
개인적으로 그리 보이고 그래야 물가가 잡히고 모든 사람이 삽니다.
부동산 투기꾼은 다 망해야 해요..
하지만 이미 때는 늦었습니다.
지난 금요일 환율 챠트인데요.
정부에서 막판에 35불 정도 퍼부어서 환률 상승을 저지 했다고 합니다.
35억불이면 대략 3조 5천억이 넘습니다.

추천
0
0
댓글 15개

뭐가뭔지... 모르겠어요 ㅠㅠ

3줄요약.
다음주부터 악재의 연속.
약발 안 받음.
별다른 대책이 없음.
다음주부터 악재의 연속.
약발 안 받음.
별다른 대책이 없음.

10%이상 갑자기 올리면 대출한 개인,회사들은 다 한강가라는 얘기인가요?
거품을 잡는건 좋은데 너무 뜬구름잡는얘기같습니다
거품을 잡는건 좋은데 너무 뜬구름잡는얘기같습니다
닥본사님은 글의 요지를 다 이해하지 못한듯 싶습니다.

글 내용 10줄도 안되는 글로 제가 이해하지 못했다면 글의 문제이거나 저의 난독증 증상 때문인가요?
단순히 비유적인 의미로 10%라고 쓰신건가요?
글 자체만 봤을 땐 사전지식이 없으면 어떤 지식도 얻을수가 없고 알아먹을 수도 없습니다
적어도 다른사람한테 알리기 위한것이라면 좀 더 친절하게 글을 쓰시는건 어떨까 싶네요
금리 -> 부동산 -> 환율. 아는사람이야 보면 아 하겠지만 그걸 아는사람이 지금 이 사실을 다 모를리는 없고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이 글 뭐지 라고 할 수 밖에없겠네요
괜히 저혼자 과민반응했다면죄송합니다 -_-;
단순히 비유적인 의미로 10%라고 쓰신건가요?
글 자체만 봤을 땐 사전지식이 없으면 어떤 지식도 얻을수가 없고 알아먹을 수도 없습니다
적어도 다른사람한테 알리기 위한것이라면 좀 더 친절하게 글을 쓰시는건 어떨까 싶네요
금리 -> 부동산 -> 환율. 아는사람이야 보면 아 하겠지만 그걸 아는사람이 지금 이 사실을 다 모를리는 없고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이 글 뭐지 라고 할 수 밖에없겠네요
괜히 저혼자 과민반응했다면죄송합니다 -_-;
원래 게시판은 자유토론이 돼야 좋은겁니디.
제가 경제전문가도 아니고 관련내용은 구글링이나 검색엔진 찾아보면 제가 쓴글보다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그래도 간단하게 적은것입니다.
상식적으로 판단해보지요.
자고나면 물가가 엄청오르는 세상이 정상적인가라 보시지는 않겠죠.
이미 6개월 이상 소비자 근원물가가 4% 이상입니다.
그럼 10% 이상은 돼야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대출한 회사들이 망하던 개인들이 망하든 그건 스스로 알아서 해야죠..
제가 경제전문가도 아니고 관련내용은 구글링이나 검색엔진 찾아보면 제가 쓴글보다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그래도 간단하게 적은것입니다.
상식적으로 판단해보지요.
자고나면 물가가 엄청오르는 세상이 정상적인가라 보시지는 않겠죠.
이미 6개월 이상 소비자 근원물가가 4% 이상입니다.
그럼 10% 이상은 돼야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대출한 회사들이 망하던 개인들이 망하든 그건 스스로 알아서 해야죠..

저 글 하나가지고 자유토론을 유도하기엔 조금 무리가 있을거같아서 써본겁니다..
금리를 쉽사리 못올리는건 대출, 부동산 때문일텐데..
대출한 회사, 개인이 다 망하면 나라도 망합니다. 그게 단순히 개개인의 문제는 아니죠
금리를 쉽사리 못올리는건 대출, 부동산 때문일텐데..
대출한 회사, 개인이 다 망하면 나라도 망합니다. 그게 단순히 개개인의 문제는 아니죠
금리 10% 올리면 월 소득 1000만원 이하 300만원 이상 즉 중산층으로 집 (부동산)등으로 은행에 대출을 받고 있는 사람들은 6개월 이내 파산자 엄청 나옵니다.
당연이 금리 10% 로 인해 주식에서 투자자 엄청 빠지구요.
아마 전국이 곡소리 날겁니다.
당연이 금리 10% 로 인해 주식에서 투자자 엄청 빠지구요.
아마 전국이 곡소리 날겁니다.

금리 10% 면 주택담보 대출 , 기업대출 (기업하면서 기업대출 안 받고 사업하는 사람 없지요..)
다 무너질듯.
결론 투더HELL.
다 무너질듯.
결론 투더HELL.

누가 환율과 금리의 관계를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경기가 안 좋으니 물가상승방지를 위해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것인가요?
경기가 안 좋으니 물가상승방지를 위해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것인가요?

쉽게 말하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소비가 많아지게 됩니다.
소비가 많아지면 물가가 오르져....
그래서 그 풀린 돈을 은행에서 회수를 하기 위해 금리를 올립니다.
(예금 대출자금 회수 등??)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소비가 많아지게 됩니다.
소비가 많아지면 물가가 오르져....
그래서 그 풀린 돈을 은행에서 회수를 하기 위해 금리를 올립니다.
(예금 대출자금 회수 등??)

그게 환율과 무슨 상관이냐는것이지요?
지금의 환율은 경기가 안 좋다는 신호로 해석이 됩니다만 그것이 인플레로 이어진다는 것인가요
개인적으로는 금리와 세금을 올려야 한다는 의견입니다만.
금리는 이미 늦은 버블 대응을 지금이라도 해야 하는 이유이구요
세금은 대기업 재산 몰아주기식의 경제구조가 경제파탄을 가져올것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지금의 환율은 경기가 안 좋다는 신호로 해석이 됩니다만 그것이 인플레로 이어진다는 것인가요
개인적으로는 금리와 세금을 올려야 한다는 의견입니다만.
금리는 이미 늦은 버블 대응을 지금이라도 해야 하는 이유이구요
세금은 대기업 재산 몰아주기식의 경제구조가 경제파탄을 가져올것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지금 환율이 폭등하는것은
제가 생각하기로는 한국의 경제가 불안정하여
해외 투자 자본의 투자금 회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http://www.segye.com/Articles/NEWS/ECONOMY/Article.asp?aid=20110922005127&subctg1=&subctg2=
제가 생각하기로는 한국의 경제가 불안정하여
해외 투자 자본의 투자금 회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http://www.segye.com/Articles/NEWS/ECONOMY/Article.asp?aid=20110922005127&subctg1=&subctg2=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화폐의 가치 하락이 일어납니다. 예전에 천원으로 샀던 물건을 지금은 3천원으로 사야되죠. 이걸 물가가 올랐다고 표현합니다. 자연스레 소비는 위축됩니다. 현재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린 원인은 가계대출입니다. 1,000조입니다. 금리를 올려야되는데, 가계대출 때문에 금리를 못올리는 건데요. 계속 고름만 곯고 있는거죠. 이걸 금리를 올려서 조금씩 조금씩 짜줘야 되는데...언젠가 펑~하고 터질겁니다.

금리와 물가상승과의 관계는 잘 알고 있습니다만
현재의 환율과의 문제는 별개라고 생각해서
다른분들의 생각을 알고 싶어서 질문을 드렸는데
즉 "현재 환율이 떨어지는것과 금리(혹은 한국경제)와의 관계는 무슨 연관성이 있는가?"
제 생각으로는 환율이 오르면 결국 물가가 오를수밖에 없다로 추측되네요.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큰 우리나라의 특징상말입니다. 이건 정말 답이 없는 문제네요.
거기에 그렇지 않아도 물가가 많이 오르는데 업친데 덥친격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금리를 올리는 것은 찬성을 합니다.
금리를 낮추는 것은 경제활동에 좋을지 모르지만 물가인상을 초래합니다.
지금 물가인상이 일어나는 것을 보면 가관이지요. 이것은 서민만 죽어라 하는 정책이 됩니다. 물가가 오르는것에 비해서 월급이 얼마나 오르나를 보면 무슨말인지 아실 겁니다.
또한 일을 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이 많아야 경제가 발전합니다. 투기가 많아서는 절대로 경제가 발전하지 않습니다. 일하지 않고 버는 수익의 %가 많은 나라 일수록 못사는 나라라는 것을 아실겁니다. 그래서 지금은 금리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금올리는 것에도 찬성을 합니다. (특히법인세)
중앙정부의 힘이 약화되고 귀족세력이 강해지면 어떻게 되는지 이미 역사속에서 많은 분들이 보셨을겁니다. 귀족세력을 재벌세력이라는 말로 바꾸면 이해관계가 간단해 집니다. 힘없는 정부의 능력이 서민들을 더 죽입니다.
(물론 지금처럼 이상한곳에 세금을 다 쓰면 소용이 없습니다만)
현재의 환율과의 문제는 별개라고 생각해서
다른분들의 생각을 알고 싶어서 질문을 드렸는데
즉 "현재 환율이 떨어지는것과 금리(혹은 한국경제)와의 관계는 무슨 연관성이 있는가?"
제 생각으로는 환율이 오르면 결국 물가가 오를수밖에 없다로 추측되네요.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큰 우리나라의 특징상말입니다. 이건 정말 답이 없는 문제네요.
거기에 그렇지 않아도 물가가 많이 오르는데 업친데 덥친격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금리를 올리는 것은 찬성을 합니다.
금리를 낮추는 것은 경제활동에 좋을지 모르지만 물가인상을 초래합니다.
지금 물가인상이 일어나는 것을 보면 가관이지요. 이것은 서민만 죽어라 하는 정책이 됩니다. 물가가 오르는것에 비해서 월급이 얼마나 오르나를 보면 무슨말인지 아실 겁니다.
또한 일을 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이 많아야 경제가 발전합니다. 투기가 많아서는 절대로 경제가 발전하지 않습니다. 일하지 않고 버는 수익의 %가 많은 나라 일수록 못사는 나라라는 것을 아실겁니다. 그래서 지금은 금리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금올리는 것에도 찬성을 합니다. (특히법인세)
중앙정부의 힘이 약화되고 귀족세력이 강해지면 어떻게 되는지 이미 역사속에서 많은 분들이 보셨을겁니다. 귀족세력을 재벌세력이라는 말로 바꾸면 이해관계가 간단해 집니다. 힘없는 정부의 능력이 서민들을 더 죽입니다.
(물론 지금처럼 이상한곳에 세금을 다 쓰면 소용이 없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