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알고보니.. 정보
기타 이런... 알고보니..
본문
그간 리뉴얼하면서 속도가 안나와 리뉴얼 잘못했는지 알고 걱정 + 스트레스 받았는데
알고보니 전용선이 문제였군요?
쓰뎅 파워콤..
처음에 속도가 일정 시간대에 팍 떨어져 뚝뚝 끊기기까지 한다고 하니
공유기 때문이거나 악성코드 때문이라는 핑계를 대더군요.
공유기는 장착했어도 나머지 컴퓨터 한대는 사용하지도 않는데 무슨 공유기 핑계냐고..
또 악성코드는 안철수에서 스파이 제로까지 구입해 치료 해보고
또 포멧까지 해봤는데 똑같았다고..
그리고 오늘은 더 황당하게 뚝뚝 끊어지길 반복..
참다참다 전화했더니 .. 그제서야 네트웍으로 상황을 파악 해본 결과
이쪽 회선에 트래픽을 과도하게 유발하는 사용자가 몇몇 발견 되었다고..
조만간 며칠내로 서버 증설 작업을 해줄테니 며칠만 더 참아달라고 하는군요.
무턱대고 가입자만 죽어라 받아놓고 약정가입 시키고
해지하면 위약금을 볼모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해놓고 이용자들 우롱하는
전용선 회사들은 거의 대부분 거기서 거기로군요.
(이래서 초고속 전용선을 생각하면 아파트로 이사를 가야 한다는... )
↑ 하지만 단독 집을 좋아합니다.
여하튼... 사이트 리뉴얼 하면서 잘못한것 아닌가 생각이 들어
처음부터 다시 뒤엎어야 하는지 알고 쫄았심.. ( - ┎ ;; ) 휴으...
PS... 질문입니다.
사이트 속도를 좀더 빠르게 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물론 이미지나 플래시 메뉴등을 제외한 텍스트 위주의 사이트를 만들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그렇게 되면 일단 뽀대가...( - .. - ;;
또 .jsp 나 .asp 의 형식의 사이트도 있는데..
이런 문서 형식을 취하면 더 빨라지나요?
알고보니 전용선이 문제였군요?
쓰뎅 파워콤..
처음에 속도가 일정 시간대에 팍 떨어져 뚝뚝 끊기기까지 한다고 하니
공유기 때문이거나 악성코드 때문이라는 핑계를 대더군요.
공유기는 장착했어도 나머지 컴퓨터 한대는 사용하지도 않는데 무슨 공유기 핑계냐고..
또 악성코드는 안철수에서 스파이 제로까지 구입해 치료 해보고
또 포멧까지 해봤는데 똑같았다고..
그리고 오늘은 더 황당하게 뚝뚝 끊어지길 반복..
참다참다 전화했더니 .. 그제서야 네트웍으로 상황을 파악 해본 결과
이쪽 회선에 트래픽을 과도하게 유발하는 사용자가 몇몇 발견 되었다고..
조만간 며칠내로 서버 증설 작업을 해줄테니 며칠만 더 참아달라고 하는군요.
무턱대고 가입자만 죽어라 받아놓고 약정가입 시키고
해지하면 위약금을 볼모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해놓고 이용자들 우롱하는
전용선 회사들은 거의 대부분 거기서 거기로군요.
(이래서 초고속 전용선을 생각하면 아파트로 이사를 가야 한다는... )
↑ 하지만 단독 집을 좋아합니다.
여하튼... 사이트 리뉴얼 하면서 잘못한것 아닌가 생각이 들어
처음부터 다시 뒤엎어야 하는지 알고 쫄았심.. ( - ┎ ;; ) 휴으...
PS... 질문입니다.
사이트 속도를 좀더 빠르게 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물론 이미지나 플래시 메뉴등을 제외한 텍스트 위주의 사이트를 만들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그렇게 되면 일단 뽀대가...( - .. - ;;
또 .jsp 나 .asp 의 형식의 사이트도 있는데..
이런 문서 형식을 취하면 더 빨라지나요?
추천
0
0
댓글 18개

홈페이지 이뻐용 ^_^

서브메뉴마다 테이블 크기가 약간씩 달라지는거 같아요~
저만 그런가?? ^^;
저만 그런가?? ^^;

아... 아직 100% 완료 된 것이 아니라
메인 페이지랑 일반 게시판이랑 약간씩 테이블이 틀어지는 메뉴가 있습니다. ^^;;
메인 페이지랑 일반 게시판이랑 약간씩 테이블이 틀어지는 메뉴가 있습니다. ^^;;
홈페이지 이뻐용 ^_^ 2
속도도 보통정도...
테이블 크기가 약간씩 차이가 나네요.
속도도 보통정도...
테이블 크기가 약간씩 차이가 나네요.

^^ 홈페이지가 예쁘다니.. 감사합니다.
위약금은.. 제가 알기론
1주일에 서비스를 3회를 받고서도 고쳐지지 않으면 위약금 없이 해지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1주일내내 불러보십시오 ^.^
1주일에 서비스를 3회를 받고서도 고쳐지지 않으면 위약금 없이 해지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1주일내내 불러보십시오 ^.^

인터넷 속도가... 몇나오세요? 전 1메가 밖에 안나오는데.. 주택이라..
서버로 시도 해봤지만... 넘 느려서 ㅡㅡ; 그만 ㅋ
서버로 시도 해봤지만... 넘 느려서 ㅡㅡ; 그만 ㅋ

ㅜ _ ㅜ 전 요즘 3Mbps ~ 6Mbps .. 잘나올때가 8Mbps 이에요.

엔토피아가 100메가 나오나요? ㅋㅋ
ㅇ ㅕ기는 오지라서 ADSL 들어 오는 것 만으로도 만족... ㅡ_ㅡ,,
ㅇ ㅕ기는 오지라서 ADSL 들어 오는 것 만으로도 만족... ㅡ_ㅡ,,

멋지게 탈바꿈 하셨군요?
그 실력이시라면 디자인 소스샵으로 상업성을 시도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지역케이블인데, 최초에 메인페이지 접속할때 약간 딜레이 있고, 사이트 이동하는데 원할히 잘되네요..빠르게
파워콤 안써봐서 모르겠는데 .. 위약금이 걸리는군요..
그 실력이시라면 디자인 소스샵으로 상업성을 시도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지역케이블인데, 최초에 메인페이지 접속할때 약간 딜레이 있고, 사이트 이동하는데 원할히 잘되네요..빠르게
파워콤 안써봐서 모르겠는데 .. 위약금이 걸리는군요..

과한 칭찬에 몸둘바를... ( '//// ' )
디자인 소스샵을 운영한다고 해도 온리 포인트 제도로만 할 것 같습니다.
(상업성을 띄게되면 골치아픈 문제들이... )
ㅜ ㅅ ㅜ 아파트가 아니면 지역 케이블이 좋은데..
이사 오기전에는 지역 케이블만 줄곧 써오다가 이사왔는데 여긴 지역 케이블이 없더군요.
그래서 때마침 파워콤이 새로 나왔길래 가입 한건데... 흑흑...
디자인 소스샵을 운영한다고 해도 온리 포인트 제도로만 할 것 같습니다.
(상업성을 띄게되면 골치아픈 문제들이... )
ㅜ ㅅ ㅜ 아파트가 아니면 지역 케이블이 좋은데..
이사 오기전에는 지역 케이블만 줄곧 써오다가 이사왔는데 여긴 지역 케이블이 없더군요.
그래서 때마침 파워콤이 새로 나왔길래 가입 한건데... 흑흑...
> 또 .jsp 나 .asp 의 형식의 사이트도 있는데..
> 이런 문서 형식을 취하면 더 빨라지나요?
'특정 스크립트 언어인 경우는 항상 그렇다'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사이트를 어떻게 꾸몄느냐가 중요하겠지만,
일반적인 체감속도는 asp가 보여지는 내용(?! 형태, 외적요소)에 비해,
타 스크립트 언어보다 좀 더 빠르다는 느낌이 일반적입니다.
jsp인 경우는 일단 서버쪽에 거시기를 생성 시켜야 합니다.
거시기...(음... 적절한 말을 까묵었습니다.)
뭐 약간은 비슷하게 얘기하자면,
jsp는 php처럼 php, html, db를 적절히 '왔다리 갔다리'하면서,
단순한 연계처리의 형태를 수행하는 것만이 아니라,
인증(?!굳이 인증이라고 하기에도 무리가 있습니다.),
컴파일(?! 컴파일의 개념도 그렇지만, '인증'이라는 것보다는 좀 더 비슷합니다.)의 형태처럼,
일단 클라이언트에 의해 최초로 읽혀지게 되는 내용을
서버측에서 1차적인 처리를 수행하게 됩니다.
물론 1차적으로 처리(전처리의 과정)한 내용은,
원본파일의 파일명을 유지한 형태(단, 확장자까지는 동일하지 않습니다.)로 차곡차곡 쌓이게 됩니다.
전처리가 끝난 내용(파일)에 대해서는
이후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다면 오히려 php나 asp에 대해서 체감속도가 빠르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그 형태가 어떠한 방법으로 적절히 연계되어 있느냐가 관건이며,
또한 어떤 정보를 처리하느냐가 관건이 됩니다.
[요약?!]
무난한 php, 보여주는 내용에 비해 체감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asp, 느린듯 하지만 의외로 빠른속도를 보이는 jsp!!!
[예상되는 발목 잡기]
html의 형태가 가장 빠른데요?!
음...
YOU WIN!!!
형태상 php, jsp, asp의 특징을 가지더라도,
실제 내부적인 처리를 해서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지는 내용은 html이죠(ㅜ.x;)~*
> 이런 문서 형식을 취하면 더 빨라지나요?
'특정 스크립트 언어인 경우는 항상 그렇다'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사이트를 어떻게 꾸몄느냐가 중요하겠지만,
일반적인 체감속도는 asp가 보여지는 내용(?! 형태, 외적요소)에 비해,
타 스크립트 언어보다 좀 더 빠르다는 느낌이 일반적입니다.
jsp인 경우는 일단 서버쪽에 거시기를 생성 시켜야 합니다.
거시기...(음... 적절한 말을 까묵었습니다.)
뭐 약간은 비슷하게 얘기하자면,
jsp는 php처럼 php, html, db를 적절히 '왔다리 갔다리'하면서,
단순한 연계처리의 형태를 수행하는 것만이 아니라,
인증(?!굳이 인증이라고 하기에도 무리가 있습니다.),
컴파일(?! 컴파일의 개념도 그렇지만, '인증'이라는 것보다는 좀 더 비슷합니다.)의 형태처럼,
일단 클라이언트에 의해 최초로 읽혀지게 되는 내용을
서버측에서 1차적인 처리를 수행하게 됩니다.
물론 1차적으로 처리(전처리의 과정)한 내용은,
원본파일의 파일명을 유지한 형태(단, 확장자까지는 동일하지 않습니다.)로 차곡차곡 쌓이게 됩니다.
전처리가 끝난 내용(파일)에 대해서는
이후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다면 오히려 php나 asp에 대해서 체감속도가 빠르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그 형태가 어떠한 방법으로 적절히 연계되어 있느냐가 관건이며,
또한 어떤 정보를 처리하느냐가 관건이 됩니다.
[요약?!]
무난한 php, 보여주는 내용에 비해 체감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asp, 느린듯 하지만 의외로 빠른속도를 보이는 jsp!!!
[예상되는 발목 잡기]
html의 형태가 가장 빠른데요?!
음...
YOU WIN!!!
형태상 php, jsp, asp의 특징을 가지더라도,
실제 내부적인 처리를 해서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지는 내용은 html이죠(ㅜ.x;)~*

오... 항상 그 파일 형식이 궁금했었는데... ( 나스카님 지식 王~)
역시.. 아직도 대세는 html...
역시.. 아직도 대세는 html...
>[예상되는 발목 잡기]
>html의 형태가 가장 빠른데요?!
html이 순수 텍스트로만 구성된다면 더 빠를 것입니다. (이미지, 플래시,... 제외)
아. 요즘 플래시들 거의 죽음입니다.
심한곳은 사용자 cpu를 거의 80~90% 잡고돌리더군요.. 웹서핑 거의 포기상태.ㅋㅋ
>html의 형태가 가장 빠른데요?!
html이 순수 텍스트로만 구성된다면 더 빠를 것입니다. (이미지, 플래시,... 제외)
아. 요즘 플래시들 거의 죽음입니다.
심한곳은 사용자 cpu를 거의 80~90% 잡고돌리더군요.. 웹서핑 거의 포기상태.ㅋㅋ

역시.. 플래시가 뽀대는 왈인데... 단점도 막강하군요.
플래시의 단점이라기보다 플래시 작성자의 실력으로 봐야할것 같습니다.
왜냐면 플래시로 게시판을 만들어서 사이트 전체가 플래시인데도 웹서핑에 전혀 문제없는 사이트들이 많이있니다.
플래시를 만들때 내부 로직에 대해서도 고민을 좀해야하는데...(개발자적 접근)
대부분이 속도보다 비쥬얼한것에 치중하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디자인적 접근)
왜냐면 플래시로 게시판을 만들어서 사이트 전체가 플래시인데도 웹서핑에 전혀 문제없는 사이트들이 많이있니다.
플래시를 만들때 내부 로직에 대해서도 고민을 좀해야하는데...(개발자적 접근)
대부분이 속도보다 비쥬얼한것에 치중하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디자인적 접근)

뼈를 취하자니 살이 울고... 또 살을 취하자니 뼈가 우는 ...( 비유가 영..?)
본 자유게시판에 'bbking'님께서 플래시의 자원점유 및 전송에 관한 부분을
언급하신 게시물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bbking님께서는 상당히 탄력적인 말씀을 하셨으나,
제 입장에서는 플래시 사용에 대한 부분은 root님 말씀마따나,
상당히 회의적이라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그 자체의 구성을 아무리 완벽하게 구성하였다 치더라도,
초기 웹페이지에 해당 컨텐츠(플래시)가 연동되기 위한 시점에서는,
그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일시적으로 시스템 자원(리소스)의
상당부분을 점유한다고 알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점차 쌓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과도한 자원낭비를 부추기는
근본적인 매개체 중의 하나라고 보기 때문입니다.(메모리릭 현상)
-. 예상되는 발목잡기
웬만한 프로그램을 돌리거나 온라인 게임 등을 돌리는 것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해당 '메모리릭 현상'이 빈번하며,
더더욱 빨리 시스템 자원을 잠식하는 데요?!
YOU WIN!!!
비교적 간단하며, 자주 접하면서도, 순간적인 자원점유라는 측면을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플래시라는 것을 웬만큼 덩치가 큰 온라인 게임(또는 네트워크 게임)과 견줄 부분은 아니지요.
굳이 이것들을 비교하려고 하는 것은 비교대상 자체를 잘못 선택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엄청난 오류를 떠 안고 있는 것이라고 봅니다.
'양'과 '질'의 크기를 동시에 결정지을 수 있는 잣대(규격, 표준)가 없는데,
뜬금없는 단위(규격)으로 어떤 물건의 크기(한계짓기가 모호한 표현)가 있는데,
이것은 30cm로서 저것보다는 5kg이 더 무겁기 때문에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연 이러한 비교가 가능할지 의문이군요.
언급하신 게시물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bbking님께서는 상당히 탄력적인 말씀을 하셨으나,
제 입장에서는 플래시 사용에 대한 부분은 root님 말씀마따나,
상당히 회의적이라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그 자체의 구성을 아무리 완벽하게 구성하였다 치더라도,
초기 웹페이지에 해당 컨텐츠(플래시)가 연동되기 위한 시점에서는,
그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일시적으로 시스템 자원(리소스)의
상당부분을 점유한다고 알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점차 쌓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과도한 자원낭비를 부추기는
근본적인 매개체 중의 하나라고 보기 때문입니다.(메모리릭 현상)
-. 예상되는 발목잡기
웬만한 프로그램을 돌리거나 온라인 게임 등을 돌리는 것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해당 '메모리릭 현상'이 빈번하며,
더더욱 빨리 시스템 자원을 잠식하는 데요?!
YOU WIN!!!
비교적 간단하며, 자주 접하면서도, 순간적인 자원점유라는 측면을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플래시라는 것을 웬만큼 덩치가 큰 온라인 게임(또는 네트워크 게임)과 견줄 부분은 아니지요.
굳이 이것들을 비교하려고 하는 것은 비교대상 자체를 잘못 선택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엄청난 오류를 떠 안고 있는 것이라고 봅니다.
'양'과 '질'의 크기를 동시에 결정지을 수 있는 잣대(규격, 표준)가 없는데,
뜬금없는 단위(규격)으로 어떤 물건의 크기(한계짓기가 모호한 표현)가 있는데,
이것은 30cm로서 저것보다는 5kg이 더 무겁기 때문에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연 이러한 비교가 가능할지 의문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