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D 버전 설치하기 전에 소스를 보다보니 정보
DTD 버전 설치하기 전에 소스를 보다보니본문
config.php에
$g4['charset'] = 'utf-8';
라고 선언되어 있는데요.
head.sub.php 파일의 내용을 보니 조금 아이러니~하네요.
물론 스타일 시트만 utf-8이라면야 이상할게 없겠지만요.
charset="UTF-8" <= 이부분이
그리고 문자셋을 euc-kr로 바꾸면 한글이 깨져 보이잖아요?
config.php 선언할 이유가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요?
추천
0
0
댓글 9개

제 생각엔, 기존 그누보드의 잔영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어짜피 DTD 버전은 utf-8 charset만 배포되니, 굳이 변수로 처리 하지 않아도 되겠지요..
뭐 돌아가는데에 큰 문제가 안된다면.. 그런식으로 명시하는 것이 나쁘지는 않을것 같긴한데요... ^^;
어짜피 DTD 버전은 utf-8 charset만 배포되니, 굳이 변수로 처리 하지 않아도 되겠지요..
뭐 돌아가는데에 큰 문제가 안된다면.. 그런식으로 명시하는 것이 나쁘지는 않을것 같긴한데요... ^^;

아마 컴대장님 말씀은, 변수 지정한다고 euc-kr로 사용할 수 있는것도 아닌데, 왜 변수로 지정해서 사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아닐까 합니다.
DTD버젼이라해서 반드시 utf-8이어야할 필요도 엄는거고,
일반버전 처럼 charset=<?=$g4['charset']?> 이라 수정하면 아무 하자 없는게 되는가요? ㅋㅋㅋ
전진님을 비롯한 참여하시는 많은 분들이 좋은 작품 만들어 주세요 ^&^
일반버전 처럼 charset=<?=$g4['charset']?> 이라 수정하면 아무 하자 없는게 되는가요? ㅋㅋㅋ
전진님을 비롯한 참여하시는 많은 분들이 좋은 작품 만들어 주세요 ^&^
네...맞습니다.
변수로 정의했으면 변수로 쭉~~
변수가 없다면 직접 문자셋 직접 표기로 쭉~
이렇게하면 더 좋지 않겠나 싶어서요.
변수로 정의했으면 변수로 쭉~~
변수가 없다면 직접 문자셋 직접 표기로 쭉~
이렇게하면 더 좋지 않겠나 싶어서요.
다국어로 가면 캐릭셋 바꿔야하고 캐릭셋과 국가설정 바꾸는게 변수화되야겠죠..,
사실 이전에 그누보드 버전은 euc-kr만 나왔다가 utf-8 나오고 같이 배포되다가..
DTD버전은 utf-8로만 나와서 그런 거 맞습니다.
앞으로를 위해(I18n 대응?) 변수로 사용하는건 바꿀 필요는 없을 듯 싶네요..
사실 이전에 그누보드 버전은 euc-kr만 나왔다가 utf-8 나오고 같이 배포되다가..
DTD버전은 utf-8로만 나와서 그런 거 맞습니다.
앞으로를 위해(I18n 대응?) 변수로 사용하는건 바꿀 필요는 없을 듯 싶네요..
네..그래서 다음버전에는 head.sub.php 소스중 UTF-8 자리에
<?=$g4['charset']?> 표기해 주셨으면 하는 작은 소망이....^^
<?=$g4['charset']?> 표기해 주셨으면 하는 작은 소망이....^^
기떱(github)에다 올리시죠 ^^
아..거기도 게시판이 있나요?
알겠습니다.^^
알겠습니다.^^

그렇긴 하네요 ~저도 수정을 해서 작업을 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