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이는 영상제작에대하여 정보
움직이는 영상제작에대하여
본문
궁굼합니다.
뛰어다니는 캐릭터을...그러면 그 캐릭터을
0.1센치 움직일때마다 또 그리고 또그리고 또그리고 하나요?흠....
손들면 1센치 올라가고 또 팔만 드려서 1센치 올라가게하고 눈깜빡 거리고 팔1센치 올라가고
그렇게하는건가요?
애니메이션이나 이런게 참신기하네요 캐릭터을 어떻에 움직이게하는지 참..
추천
0
0
댓글 13개

보통 초당 20~30 회의 그림이 들어가
요즘은 어느정도 자동화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소리만 들어봣엉
요즘은 어느정도 자동화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소리만 들어봣엉

허허...그러면 완전 쌩노가다 겠군요 흐헙...
어떻에 영화찍는거보다 애니영화찍는게 더욱 힘들거같다는 생각이 드는 헙..
어떻에 영화찍는거보다 애니영화찍는게 더욱 힘들거같다는 생각이 드는 헙..

그렇지만은 않을거 같아..난 아무것도 모르니까...다음은 양계닭님께서 친절하게 설명해 주실꺼야 ㅋㅋ

양계닭님의 댓글을 기다리면서 다른분들에 댓글도 기다려야겟군뇽
거참 신기하군요 ㅎㅎ
거참 신기하군요 ㅎㅎ

음 저도 이런부분은 잘모르는데...일단 이런 움직이는 케릭터를 그릴때에는 말씀하신대로 0.1센치 움직이고 또그리고또그리고하진않아요;;;매우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나오겠지만 엄청 비효율적이에요;;;
흔히들 게임보면 몇프레임 몇프레임하자나요......'ㅁ';;;60프레임이라는말은 1초에 60개의 그림이들어갔다는 이야기에요^^;;;
보통 일본애니메이션 프레임숫자가 24프레임정도이고 미국쪽 애니메이션이 약 36프레임이라고 알고있어요;;;;
저도 아주 자세히아는부분은 아니라서요...ㅠ.ㅠ;;;;;;;
암튼 물론 위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만드는 애니메이션이있기는 있어요 이런애니메이션을 보통 클레이애니메이션 또는 스톡애니메이션 or 스톡모션(진흙또는 인형으로만드는)이라고하구요...이경우 제작기간도 상상을 초월해요;;;;몇달걸려서 몇분짜리 만들고 그런답니다;;;;;;;;(아니면 정교한 모형등이나 또는 피규어 비슷한것을 사용하기도합니다'ㅁ';;;)
예전 SF영화등 특수효과가 들어간(예를들어서 스타워즈4의 거대로봇)영화에서 이렇게 작업을 했다고 하네요;;;
일단 도트애니메이션의 경우는 6프레임~10프레임정도의 작은 프레임이 들어가는게 보통이에요^^;;;
일본 대전격투게임 킹오파라던가 이런 2디 도트 게임들보면 굉장히 많은 프레임이 들어간거같지만 실제로는 적은 숫자의 프레임이 들어간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단지 각 행동 하나하나의 이미지를 얼마나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만드냐가 더 중요하겠지요^^;;;
그리고 이런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2디의 경우는 프로모션이라는 프로그램을 쓰기도하고 간단하게 포토샵의 이미지레디(CS3부터는 통합되었습니다 애니메이션효과라는 이름으로요...)를 사용합니다...
애니메이션업체들의 같은 경우는 전문편집 프로그램이 또있구요..........
아니면 이스트소프트의 알gif라는 프로그램으로도 간단히 제작가능하고 플래쉬도 사용할수 있겠지요^^;;;
그외에는 에펙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이라던가.......그런프로그램들이 있지만 이경우는 거의 대다수 특수효과 이펙트용이고.......음......3디작업물의 경우는 마야를 많이사용합니다^^;;;;;;;;
일단 제가 아는건 여기까지에요-ㅁ-;;;;;;;긁적긁적..저도 아는게 거의없어서요..ㅠ.ㅠ 아는만큼만 설명했습니다....다른부분은 좀더 자세한 내용은 다른분들이 이어서 설명해주시겠죠;;;ㅌㅌㅌㅌ;;;
흔히들 게임보면 몇프레임 몇프레임하자나요......'ㅁ';;;60프레임이라는말은 1초에 60개의 그림이들어갔다는 이야기에요^^;;;
보통 일본애니메이션 프레임숫자가 24프레임정도이고 미국쪽 애니메이션이 약 36프레임이라고 알고있어요;;;;
저도 아주 자세히아는부분은 아니라서요...ㅠ.ㅠ;;;;;;;
암튼 물론 위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만드는 애니메이션이있기는 있어요 이런애니메이션을 보통 클레이애니메이션 또는 스톡애니메이션 or 스톡모션(진흙또는 인형으로만드는)이라고하구요...이경우 제작기간도 상상을 초월해요;;;;몇달걸려서 몇분짜리 만들고 그런답니다;;;;;;;;(아니면 정교한 모형등이나 또는 피규어 비슷한것을 사용하기도합니다'ㅁ';;;)
예전 SF영화등 특수효과가 들어간(예를들어서 스타워즈4의 거대로봇)영화에서 이렇게 작업을 했다고 하네요;;;
일단 도트애니메이션의 경우는 6프레임~10프레임정도의 작은 프레임이 들어가는게 보통이에요^^;;;
일본 대전격투게임 킹오파라던가 이런 2디 도트 게임들보면 굉장히 많은 프레임이 들어간거같지만 실제로는 적은 숫자의 프레임이 들어간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단지 각 행동 하나하나의 이미지를 얼마나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만드냐가 더 중요하겠지요^^;;;
그리고 이런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2디의 경우는 프로모션이라는 프로그램을 쓰기도하고 간단하게 포토샵의 이미지레디(CS3부터는 통합되었습니다 애니메이션효과라는 이름으로요...)를 사용합니다...
애니메이션업체들의 같은 경우는 전문편집 프로그램이 또있구요..........
아니면 이스트소프트의 알gif라는 프로그램으로도 간단히 제작가능하고 플래쉬도 사용할수 있겠지요^^;;;
그외에는 에펙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이라던가.......그런프로그램들이 있지만 이경우는 거의 대다수 특수효과 이펙트용이고.......음......3디작업물의 경우는 마야를 많이사용합니다^^;;;;;;;;
일단 제가 아는건 여기까지에요-ㅁ-;;;;;;;긁적긁적..저도 아는게 거의없어서요..ㅠ.ㅠ 아는만큼만 설명했습니다....다른부분은 좀더 자세한 내용은 다른분들이 이어서 설명해주시겠죠;;;ㅌㅌㅌㅌ;;;

허헙...그래서 만화들은 짧고 영화들도 그렇게 긴건아니였군요
짱구 달릴때 계속 같은 패턴으로 달리고 그랬군용
허허 참신기하네요 기본기만 다 그려놓고 프레임 짜놓으면
후에는 조금 쉬워질수가있겠군용
사이트에 버튼을 클릭하면 가만히있는 이미지에서 gif움직이는 이미지로 변경해서
뿌려줄까했는데 그걸 만드는게 노가다가 되겟군용 흐익
짱구 달릴때 계속 같은 패턴으로 달리고 그랬군용
허허 참신기하네요 기본기만 다 그려놓고 프레임 짜놓으면
후에는 조금 쉬워질수가있겠군용
사이트에 버튼을 클릭하면 가만히있는 이미지에서 gif움직이는 이미지로 변경해서
뿌려줄까했는데 그걸 만드는게 노가다가 되겟군용 흐익

원래 다 그렇쵸..ㅠ.ㅠ이쪽일이란게;;;;노가다 아닌게 어디있나요;;;다들 맨땅에 삽질하면서 타블렛에 해딩하면서 하는거죠(.....;;;)
아참 버튼이미지의 경우는 포토샵의 레이어효과적당히 활용해보시면 도움이 될껍니다.
그리고 아래링크는 제가 간단하게 만들어본 강좌글인데.....혹시 아시는지는 모르겠지만..아마 작업하시는데 도움이 될수도 있을꺼같아요^^;;;버튼이미지를 만들때 이렇게하면 좀더 수월해지지않을까하네요'ㅁ';;
참고로 버튼이미지등은 포토샵보다는 일러스트쪽이 좀더 좋은 결과물을 뽑을수 있기는한데 이건 작업하는 사람마다 다 틀린부분이니 어느게 더 좋다고는 말할수없을꺼같아요'ㅁ';;;;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 사용하시면될꺼같아요^^;;;
http://huter1004.blog.me/20140208902
(개인적으로 생각하시기에는 이미 아시는내용일꺼 같아요^^;;;;)
참고해주세요'ㅁ';;
아참 버튼이미지의 경우는 포토샵의 레이어효과적당히 활용해보시면 도움이 될껍니다.
그리고 아래링크는 제가 간단하게 만들어본 강좌글인데.....혹시 아시는지는 모르겠지만..아마 작업하시는데 도움이 될수도 있을꺼같아요^^;;;버튼이미지를 만들때 이렇게하면 좀더 수월해지지않을까하네요'ㅁ';;
참고로 버튼이미지등은 포토샵보다는 일러스트쪽이 좀더 좋은 결과물을 뽑을수 있기는한데 이건 작업하는 사람마다 다 틀린부분이니 어느게 더 좋다고는 말할수없을꺼같아요'ㅁ';;;;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 사용하시면될꺼같아요^^;;;
http://huter1004.blog.me/20140208902
(개인적으로 생각하시기에는 이미 아시는내용일꺼 같아요^^;;;;)
참고해주세요'ㅁ';;
그림상의 레이어가 흐미...

아하 그렇군요 ㅎㅎ 참고하겠습니다 ㅎㅎ
하하 만들수가있을지나 걱정이군요 흐익
하하 만들수가있을지나 걱정이군요 흐익
애니메이션 원리를 말씀하시는거면
보통 영상이 1초당 수십장의 사진이 지나가면서 그게 눈의 착시효과로 움직이는거처럼 보이는건데.
그 그림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던 손으로 그리던 직접 그려서 하는거라 보면되고요..(요즘은 대부분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지요...)
영화 같은경우는 실제 영상도 섞여 있는데 그안에 배경등을 기준으로 공간을 설정하고(이걸 트래킹 이라고 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이걸 해주는 프로그램이있습니다.) 이 공간을 기준으로 3D 작업물(CG)를 실제 영상위에 올려줘서 마치 실제 처럼 보이게 하지요.....
저도 제가 아는건 여기까지. ㄷㄷ
보통 영상이 1초당 수십장의 사진이 지나가면서 그게 눈의 착시효과로 움직이는거처럼 보이는건데.
그 그림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던 손으로 그리던 직접 그려서 하는거라 보면되고요..(요즘은 대부분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지요...)
영화 같은경우는 실제 영상도 섞여 있는데 그안에 배경등을 기준으로 공간을 설정하고(이걸 트래킹 이라고 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이걸 해주는 프로그램이있습니다.) 이 공간을 기준으로 3D 작업물(CG)를 실제 영상위에 올려줘서 마치 실제 처럼 보이게 하지요.....
저도 제가 아는건 여기까지. ㄷㄷ

허허 그런거군요 거참 신기하네요 ㅎㅎ
예전에는 앞사람들 이야기가 맞지만 요즘은 제가 알기론 3D로 제작할겁니다.
일부 포즈를 주고 그걸 3D로 제작하는 거죠..
작업때는 당연히 하드웨어 사양이 높든가 리눅스 같은 병렬연결 네트웍 작업을 주로 할겁니다.
여기까지만 입니다.
일부 포즈를 주고 그걸 3D로 제작하는 거죠..
작업때는 당연히 하드웨어 사양이 높든가 리눅스 같은 병렬연결 네트웍 작업을 주로 할겁니다.
여기까지만 입니다.
10년전에 셀애니메이션 작업했던 사람인데 일반적으로 초당30프레임이라도 30프레임 다다른그림을 그려넣는게아니구요 같은 그림을 몇장씩 보여주는방식입니다 일본애니메이션은 보통 초당8프레임
셀애니메이션은 아직까지도 수작업입니다 배경정도3D로넣어주고 프로그램으로 뚝딱 그런거 없습니다
셀애니메이션은 아직까지도 수작업입니다 배경정도3D로넣어주고 프로그램으로 뚝딱 그런거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