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DTD 많이들 쓰시나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그누DTD 많이들 쓰시나요? 정보

그누DTD 많이들 쓰시나요?

본문

그누 DTD 많이들 쓰시나요?
추천
0
  • 복사

댓글 32개

예전 그누dtd가 있는줄 몰랐던 때는 일반 그누보드 다운받아서 dtd로 모두 수정하여 사용을 하다가 최근 만든 홈피는 그누 dtd를 이용하여 만들고 있습니다.
dtd게시판, 세션, 페이징, 함수 등을 80% 이상 수정하여 사용중이긴 하지만 그누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사용하는 중입니다. 문자셋도 euc-kr로 전체 변경 사용중....
한게 없으시다니요~;;
자리가 사람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 자리 멋져보여요.
SIR 자리는 이 분야에서는 최고라고 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그 자리에 앉아서 웰치스를 따고 계신 것만해도 멋지십니다 :)
오호 정말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저랑 바꾸실래요? ㅋㅋㅋ
리자님이 절 뽑으신 다음 3박 4일 술을 드셨다는 전설이...
그누보드 dtd라는 것에 대한 저의 개인적 생각을 올리겠습니다 ㅎ.ㅎ
저는 dtd라는 말 자체가 조금 모호하며 지금 웹쪽에 업으로 일하고 계신분들은 아시고 계시겠지만..
또한 경력과 상과없이 웹에 저의가 있으신분들의 생각과 다를지도 모르겠지만
아직 dtd라는 것에 익숙치 않으신분들도 계실것 같아 저의 개인적 시각을 이야기해볼까합니다.

1. dtd를 사용하려면 <img src=..... 태그 끝에 슬래쉬(/)를 넣어야한다?
  아닙니다. img, br등 한줄로 끝나는 태그(싱글태그)에 한해서..
  슬래쉬가 들어갈때도 있고 안들어갈때도있지만
  이것은 dtd와는 상관없이 XML을 지원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입니다.
  xml(xhtml)을 지원하면 싱글태그끝에 슬래쉬를 넣습니다. ㅎ.ㅎ)
2. <form 태그안에 바로 <input 이 들어오면 안된다?
  이것또한 dtd와 상관없이 (관련있지만 dtd 라는 것을 너무 포괄적으로 생각하시는분들이 많아서일
  단 읽어주시기바랍니다)
  이는 html문서안에서 input이라는 사각형(태그,객체,오브첵트,노드... 글자를 입력하는 그것~!
            그것을 말하는 같은 단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을
  어느위치에 얼만큼바깥으로 여백을주고 안으로는 얼만큼여백을주고 태두리는 뭘로보여줄껏이며 등등...
  보여줄것인가를
2-1,  명확히 지정해주어라~!(strict: 지정 안 해주면 안 해줬다고 오류 뱉어 버릴꺼야~!)
2-2, 지정 안해주면 위치 상황 판단해서 알아서 화면에 보여줄꺼야~!(transitinal:오류라고 말하진 않을께 ㅎ.ㅎ)

결론 싱글태그의 마지막에 /(슬래쉬)가 붙고 안붙고는 strict방식이든 transitinal방식이든 상관없이
xml(XHTML)을 지원할지 안할지에 따라 정해집니다.
xml(XHTML)을 지원하면 싱글태그 끝에 슬래쉬로 닫아주는것이구요
자바스크립트또한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 시작해서
쫘바스끄립뜨내용
//]]> <- 로 닫아주면 끝납니다.
</script>
이것에 혼란이 오는 이유는 저의 경험에 의해서 말해드리겠습니다.
html5에서 새롭게 생겨난 태그(video, email등등)를 작성하고나서 문서속성을(dtd) 스트릭트든 트랜지셔녈이든 지정을안하든
....................
결론은
웹브라우저(ff,chrom,ie9등등)가 알고있는 태그이면 dtd 지정과는 다르게 실행을 한다~! 라는
부분에서 이해하기가 참 어렵기도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하지만...
(dtd선언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지정한 dtd선언에 없는 태그 부분에 대해서 실행을 하고 화면에 보여준닭~~!!!!!)

최종결론
DTD라는것은 문서의 표현식을 먼저 웹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것이며
웹작성자가 지정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웹브러우저의 기본설정값에 따라~
화면에 보여주돼 작성자가 빼먹은것이있으면 오류또는 경고로 알려줘라~!
이것이 DTD가 아니라 웹표준이라는 계념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ㅎ
웹표준에 벗어났다고해서 화면에 출력되지 않는 것은 아니니까요

dtd라는 것은 html 최고위의 문서 속성을 정한 곳이며
이것으로 인해서
화면출력부분에 웹브라우저마다 다르게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을
최대한 같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 보고있습니다.

dtd를 지원하는것은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자동적으로 이뤄져야하는 부분일지도모릅니다.
윈도우즈계열에 익스플로러를 떠나 이젠 모바일을 통해 웹접근이 너무 많기때문입니다.
지금 갈등하고 어려운건....
인터넷에 div 위치 조정하는 부분에 대한 답변(대형포털사이트)들이 많은 질문에 대한 답변들이..
dtd를 선언하지 않고 답을 주고받는 경우가 너무많아...
그것을 적용해보면 답글자의 답처럼 질문자가 답글을 적용해봤을때
되지않은 경우가 많기때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것이 dtd의 불친근감....(질문자와 답글자의 컴퓨터, 웹브라우저, dtd선언이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

어려운건.. 모르니깐 어려운것이라 생각합니다..
알고나면 쉬운것이 됩니다.
이는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생각하고 생각하는 만큼 아는게 생기듯이...

앞으로 dtd가 컴퓨터를 켤때 모니터를 먼저 켜야할지 본체를 먼저 켜야할지 고민하지 않는 지금처럼
dtd선언에 자신있게 사용하는 시대가 올것이라 믿습니다~ ^^;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