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CMS가 가능성이 있을까요? 정보
새로운 CMS가 가능성이 있을까요?
본문
벌써 수많은 CMS가 있지요.
그누보드, XE, 테크노트, 킴스큐, GR보드 등등...
이 시점에서 새로운 CMS가 가능성이 있을까요?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거나, 새로운 CMS를 찾으시는분들이 좀 있으시다면...
저도 아이모듈이나 공개해볼까 갑자기 생각이 들더라구요.
허접한 CMS이지만, 3년가까이 개발해오고 있는걸 단순히 프리랜서용으로만 쓰기엔...
스킨이나 위젯, 애드온 개념부터 각각 독립적인 모듈개념으로 잡아놨는데...
스킨, 위젯, 에드온, 새로운 모듈을 혼자 만들기 귀찮아서 그런건 절대아닙;;;; =3=3
공개할까 생각은 꽤 옛날부터 해왔는지라 일단 imodule.kr 도메인까지 사둔... (도메인 확보가 제1순위! ㅎ)
공개의 걸림돌은 역시 소스가 공개되었을때부터 터질 보안이슈들... (그간 소스가 공개되지 않음으로 인한 1차적인 보안이었지요 ㅠ)
그리고 메뉴얼 만들기 (위키모듈을 하나 만들어서 메뉴얼을 만들어나가야할 듯)
디비설계구조, 클래스 개층구조, 몇가지 모듈 규약들 정리하기?
어젯밤부터 급 공개하고 싶어져서... 고민입니다. 요즘 일도 많은데... ㅠ
추천
0
0
댓글 13개
알쯔님 반갑습니다.
요즘 cms는 일단 가장 중요한게 속도와 편의성 그리고 보편화가 답인거 같네요
얼마만큼 초보가 쉽게 접근 할수 있느냐 얼마만큼 속도가 뒷받침 되느냐 또 얼마만큼 확장성이 크냐등
그누보드는 cms 개념이 아니지 않나요 ? ^^
결국 사용자들은 자기 편한걸 찾게 되는데 제로보드가 흥한 이유는 최초에 남들 돈받고 팔때 무료로 배포된것도 있지만 상당히 빠른 속도와 편의성이 아마 좌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제로보드 xe는 물론 지금 nhn으로 들어가 지원을 받고 있음에도 불만이 속출하는 이유가 속도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 진다는 면도 있고 시장은 언제나 열려 있지 않을까요 ? ^^
요즘 cms는 일단 가장 중요한게 속도와 편의성 그리고 보편화가 답인거 같네요
얼마만큼 초보가 쉽게 접근 할수 있느냐 얼마만큼 속도가 뒷받침 되느냐 또 얼마만큼 확장성이 크냐등
그누보드는 cms 개념이 아니지 않나요 ? ^^
결국 사용자들은 자기 편한걸 찾게 되는데 제로보드가 흥한 이유는 최초에 남들 돈받고 팔때 무료로 배포된것도 있지만 상당히 빠른 속도와 편의성이 아마 좌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제로보드 xe는 물론 지금 nhn으로 들어가 지원을 받고 있음에도 불만이 속출하는 이유가 속도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 진다는 면도 있고 시장은 언제나 열려 있지 않을까요 ? ^^

그누도 워낙에 빌더가 많아서. 뭐 CMS라고 볼수도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ㅎㅎ
그러고보면 제 모듈은 빌더가 제공되지 않는데... = _=
비 프로그래머가 사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프로그래머가 쉽게 뚝딱 만들어내는데 중점이 있다보니까요.
이부분은 만약에 공개하게 된다면 좀 손을 봐야겠네요.
= ㅁ=;;;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
ㅎㅎ
그러고보면 제 모듈은 빌더가 제공되지 않는데... = _=
비 프로그래머가 사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프로그래머가 쉽게 뚝딱 만들어내는데 중점이 있다보니까요.
이부분은 만약에 공개하게 된다면 좀 손을 봐야겠네요.
= ㅁ=;;;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

공개가 시급합니다 ㅎㅎ

전 CMS라는 개념이 잘 안와닿네요..
기존 빌더들에서 좀 더 진화한 개념인듯 한데
위젯형태로 쉽게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으면 CMS 라고 볼 수 있는건가요? ㅇ.ㅇ
대충 찾아보니 아래처럼 나오는데 더 헷갈린다는 ;;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는 글자 그대로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IT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오범(Ovum)에서는 cms에 대해 'e비즈니스에 포함되는 모든 컨텐 츠를 생성, 보관, 관리하는 일련의 작업(Task)과 과정(Process)'이라고 정의했다. 일반적 으로는 '기업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포맷의 컨텐츠인 문서, 이미지, 동영상, 소리 등을 제 작, 출판,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보통 컨텐츠 생성,출판, 배포, 보관 등으로 정리되는 컨텐 츠 라이프스타일 전체를 관리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기존 빌더들에서 좀 더 진화한 개념인듯 한데
위젯형태로 쉽게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으면 CMS 라고 볼 수 있는건가요? ㅇ.ㅇ
대충 찾아보니 아래처럼 나오는데 더 헷갈린다는 ;;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는 글자 그대로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IT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오범(Ovum)에서는 cms에 대해 'e비즈니스에 포함되는 모든 컨텐 츠를 생성, 보관, 관리하는 일련의 작업(Task)과 과정(Process)'이라고 정의했다. 일반적 으로는 '기업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포맷의 컨텐츠인 문서, 이미지, 동영상, 소리 등을 제 작, 출판,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보통 컨텐츠 생성,출판, 배포, 보관 등으로 정리되는 컨텐 츠 라이프스타일 전체를 관리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저는 여지가 많다고 보는데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군요. 개인적으로 하나쯤 이제 나와줘야 하는 타이밍이 된 듯도 하고 그렇습니다. 보안이야....오픈 즉시 터질 문제고 구더기 무서워서 장을 못 담을 개제도 아니고 그렇게 생각되는 군요.

그누를 CMS 로 언급하신 건 예의 차원이신 것 같네요. :)

그누보드 자체로는 CMS라고 하기엔 좀 어렵겠지만, 수많은 빌더들이 있으므로.
그 빌더개념까지 합친다면, 충분히 CMS라고 불릴만하다고 봅니다. ^^;;
그 빌더개념까지 합친다면, 충분히 CMS라고 불릴만하다고 봅니다. ^^;;

좋은건 나누는게 배가 된다고 하잖아요.
우리 함께 나눠요^^
우리 함께 나눠요^^

알쯔님 개인적인 결단이 필요하시겠지만,
공개해주시면 저희들은 많은 공부가 되겠네요. ^^
공개해주시면 저희들은 많은 공부가 되겠네요. ^^
아니, 이사람. 결국 공개하려하는건가 ㅋㅋㅋㅋㅋㅋ
일단 기본적으로 옆에서 지켜본 결과
알쯔님께서 만드신 아이모듈은 정말 쓸만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옆에서 지켜본 결과
알쯔님께서 만드신 아이모듈은 정말 쓸만합니다^^

비공개냐 공개냐 어려움보다는 아무래도 앞으로 쭉 유지해가는게 더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여튼 3년 준비하셨으니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튼 3년 준비하셨으니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빌더를 2개 배포해본 사람입장으로서는.. 공개보다는 유지가 정말 힘들어요

모바일에 특화되면, 비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