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홈페이지 만들었어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개인홈페이지 만들었어요~ 정보

개인홈페이지 만들었어요~

본문

반응형으로 작업을 했는데, 구글 순위올리기가 상당히 힘이드네여~ 

부족하지만 놀러와주세여 ㅋ

추천
0
  • 복사

댓글 19개

자스를 <head> 에 많이 올려놓으셔서 그런지 로딩이 늦습니다. 중복로딩되는 자스도 있고... 자스들 정리하시고 합친후에 압축시켜주시면 로딩 속도가 빨라지실텐데... http request 는 가급적이면 최대한 줄여야죠....

일반적으로 자스는 <head></head> 에 넣는것이 아니라 </body> 혹은 </html> 위에 넣는게 페이지를 빨리 뜨게 합니다.  html 부터 로딩이 빨리되고, 나중에 자스가 로딩되니까....

그리고 모바일 용 자스들도 함께 로딩을 시켜주시니, 더 늦어지고 있네요...(swipe.js)

이래서 요즘 많은분들이 responsive 보다 개별적 구성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도 responsive 는 아닌 것 같아요...  디자인적인 제약, 페이지 로딩속도, 불필요한 asset 들을 같이 올려야 하는.... 등 등....

responsive 는 그냥 한번 지나가는 fad (유행) 정도가 아니었을까 생각되는데....

요즘 responsive 에 대한 비난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쿨럭.

http://managewp.com/5-reasons-why-responsive-design-is-not-worth-it/comment-page-1

근데 개인홈피는 꼭꼭 숨겨야지, 공개되서 좋을게 있나요??? ㅎㅎㅎㅎ
rwd 를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비난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라는 부분은 주관적인것 같습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rwd를 광고하는 글들이 훨씬 많을테니까요.. ^^;

위 글을 읽어봤는데, 그다지 포인트는 없네요..
rwd를 시도하는 경우에 당연히 고려되는 것들이고,
글쓴이도 언급했듯이 '잘못된' 적용인 경우같고요..

rwd를 무조건 하자는 것도 아니고,
(위 호순아잉님의 메뉴/사이드바 위치 옮기기 등의)
간단한 기법를 적용해서 모바일에서도 사용하기 편하게 만드는 것이 왜 나쁜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진정한 rwd는 '그정도'로는 부를수 없다고 하거나,
그정도는 이전부터 늘 해오던 것들이라고 하신다면야.. ^^;
물론 누구의 의견이나 주관적일 수가  없죠.  의견이란 것 자체가 객관적이니.

하지만 그 의견이 누구의 것 이냐에 따라 그 의견이 중요해 진다고 봅니다.

Jakob Nielsen - 웹접근성이나 usability 에 관해 가장 저명하신 전문가 중 한분 입니다.

대기업들이나 웹개발자들이나 이분 말씀을 거의 진리로 받아들입니다.

누군지 모르시면 구글링 해보시거나 국내 정찬명씨 같은, 알만한 분들 한테 이분에 대해서 물어보실수도 있고....

http://www.useit.com/alertbox/mobile-vs-full-sites.html

"모바일 페이지는 따로 만들어라."

물론 이분의 의견에 동의하실수도 있고 동의하지 않으실수도 있습니다.  100% 개인선택입니다.

http://www.nngroup.com/reports/mobile/

이분이 출간하신 모바일 페이지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살펴보셔도 되고.... 수백페이지 분량이니 읽어보실려면 시간이 좀 넉넉하셔야 할거에요.

저는 제 의견대로 하는 사람이 아니라서... 항상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그들이 권유하는 방식을 따르는 편 입니다.

물론 전문가들의 의견을 따라야 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단지 저는 나보다는 전문가들이 더 똑똑하다고 생각해 그렇게 하는 것 뿐 입니다.
다른분 글에서 댓글로 얘기를 나누는 것이 (제가 시작했지만) 적절치 않은것 같네요.
따로 글 남기겠습니다. ^^
답변감사합니다 ~
빠른 리퀘스트를 위해</body> 혹은 </html>에 넣는것은 알고있습니다만,  개인홈페이지라 트래픽도 적고(모바일에선 생각해야될 부분이긴하지만...) 문법상으로 head안에 스크립트링크를 넣는것이 정석으로 알고있어서요. syntax때문에 리퀘스트가 많기는합니다ㅎㅎ
조언 감사합니다 ^^
"문법상으로 head안에 스크립트링크를 넣는것이 정석으로 알고있어서" - 잘못 알고 계시구요, 정석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W3C 에서 <head> tag 에 넣으라고 한적은 없습니다.

보통 관공서나 대기업 웹사이트를 수주할때 best practice 를 사용해 달라는 요구가 들어오는데, best practice 라는 건 있습니다.  이걸 정석이라고 말해야 하는지는 모르겠고, "최선의 방식?" 이라고 번역해야 하나요?

암튼 자스의 best practice 는 문서의 가장 하단에 넣는 것 입니다.

http://developer.yahoo.com/performance/rules.html#js_bottom
W3C에서 <head>안에 js를 넣으라고 권고할 일은 아니죠. js(자바스크립트)는 W3C에서 DOM이 표준화 되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지  ECMA(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의표준입니다.

웹표준이 대두되기 이전 시각적인 사고로 웹을 이해하고 제작되어 오다가 웹표준이 대두되면서 문서화, 구조화를 지향하게 되었고 이런 흐름은 구조화의 일환으로 <head></head>에 js를 포함시키게 되었습니다.

W3C에서 권고하지 않아 정석이 아니다.라고 명확하게 규정지을 사안도 아니고 <head></head>에 js을 지향해야 되는 것이 맞겠죠?
그럼 <head> 넣고 그렇게 쓰세요. 


best practice (최선의 방식)

http://developer.yahoo.com/performance/rules.html#js_bottom

가 아니라고 하는데 그걸 왜, 누가, 지향해야 하는지 이해불가.. -..-;; 

한국방식인가 보네요....
웹 구현 방식에 있어 관점에 따른 최선의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이나 기타 유럽의 대형 사이트들이 되도록 <head></head> js를 불러 쓰는 이유는 그들도 웹표준에 대한 같은 지향점을 바라보고 있다는 거죠. 

CNN:
http://edition.cnn.com/

BBC:
http://www.bbc.co.uk/

이러한 현상은 한국만의 방식이 아닙니다.  가독성과 이식성 속도라는 관점에서의 최선의 코딩 패턴들은 이전에도 많았답니다.

정 거시기 하시면.......
<!DOCTYPE html PUBLIC "-//YAHOO//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yahoo.com/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로......(조크)
와우~ 잘만드셨네요.
핸폰으로 다녀와서 많은것은 보지못하였으나
사이트의 간결함이 너무 맘에 듭니다....^^
조금더 손보시면 멋진 사이트로 거듭나시겠어요.
인상적이네요. 혹 강좌를 진행해보실 생각 있으시면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pb_lecture 게시판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준히 강좌를 업데이트 해주시면 별도 카테고리로 독립을 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