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 뭔가가 있어...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분명 뭔가가 있어... 정보

분명 뭔가가 있어...

본문

 분명 뭔가가 있어... 잘 찾아보셈...

추천
0
  • 복사

댓글 11개

예수님께서 나타 나셨나? 
서양귀신인지?  줄행랑 치는 데요??
그딴 귀신들
예수님께서 몽땅 다 수집해서
영원한 풀무 불에 태운다는 진리가 있습니다!!    ^^
토종 귀신은,
 예수님께서 더 좋아 하십니다.
싹~ 쓸이 로 잡아 다가!!. 기냥//!
하나님은 한국을 많이 사랑 하고 계신다는 증거로
한국이 세계 선교 1위 국가입니다.
애국가에도
서로 소통 하고 있지 않습니까?  “ 하나님이 보호 하사~ 우리나라 만세~ ”    ^^
태클아니구 교정바랍니다.^^

하나님이 보우하사 아니구 ...하느님이 보우하사입니다.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이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토속신앙에 근거하여 하늘님 -> 하느님 으로 바뀌었습니다.^^

고조선때 단군신화에 근거해서도 하늘님이라고 했다죠..^^
하느님이 보우하사는 = 하나님이 보호하사입니다.
( 하느님.보우....., 지금은 잘 쓰지 않는 약간의 고어 적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 예: 서로 교통 한다 = 서로 교제(사귄다)한다. )
애국가를 만드신 분이 교회에서 찬송가를 부르시며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에서 활동 하셨고 우리 민족을 사랑 하신  기독인입니다.
-----------------------
안익태[安益泰]
1906. 12. 5 평남 평양~1965. 9. 16 스페인 마요르카.
작곡가, 지휘자, 첼로 연주자.
어린시절 교회에서 찬송가를 부르고 풍금과 악보 등을 보면서 음악을 접했다. 1913년 큰형 익삼이 그에게 스즈키[鈴木] 바이올린을 사주어 처음 바이올린을 접했으며, 1914년 평양 종로보통학교에 입학하여 트럼펫을 배웠다. 191 8년 평양 숭실중학교에 입학하여 숭실전문학교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했고, 숭실전문학교 교장 마우리의 주선으로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에서 음악을 가르치던 G. 게오르게로부터 첼로를 배웠다. 3·1운동 이후 친일교사 추방 데모를 벌인 주동자로 무기정학 처분을 받기도 했다. 마우리의 주선으로 일본에 가서 1921년 도쿄[東京] 세이소쿠 중학[正則中學]을 거쳐 1926년 구니다찌 음악학교[國立音樂學校]에 입학하여 첼로를 전공했다. 방학중에 귀국하여 서울·평양 등에서 첼로 독주회를 가지기도 했다. 193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신시내티 음악학교에 다니다가 작곡 공부를 위해 필라델피아음악대학 3학년에 편입했다. 1935년 커티스 음악학원에도 다니면서 F. 라이너에게 작곡과 지휘법을 배웠다. 1936년 필라델피아음악대학을 졸업하고 카네기홀에서 주관하는 작곡 콩쿠르에서 〈한국환상곡 Korea Fantasy〉이 입선되었으나 뉴욕 심포니오케스트라 단원의 거부로 낙선되었다.

1936년 유럽으로 건너가 베를린에서 〈애국가〉를 작곡하여 미국·일본·중국 등지에 있는 교포들에게 발송했다. 그후 오스트리아에서 F. 바인가르트너에게 베토벤 음악을 배웠고, 1937년 헝가리에서 코다이의 음악지도를 받으면서 〈한국환상곡〉을 수정했다. 〈한국환상곡〉은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에서 국립교향악단의 연주로 처음 연주되었다. 그뒤 다시 빈으로 돌아와 R. 슈트라우스의 손녀를 구출해준 것이 계기가 되어 슈트라우스의 총애를 받는 제자가 되었고, 유럽 각국의 오케스트라로부터 초청지휘를 받으면서 지휘자로서 명성을 떨쳤다. 1946년 7월 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롤리타와 결혼하여 마요르카 섬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1947년 오케스트라를 조직해서 연주회를 가졌고, 스페인 정부로부터 영주권도 받았다. 미국에서 지휘하려 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중 나치에 협력한 슈트라우스의 수제자였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가 그후 2년 만에 입국허가를 받아 필라델피아에서 지휘했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그가 작곡한 〈애국가〉가 정식국가로 채택되었으나 정작 그는 이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 1955년 2월 19일 한국을 떠난 지 25년 만에 이승만 대통령의 80회 생일 축제를 위한 특별초청을 받아 귀국했다. 그뒤 한국을 드나들면서 국립교향악단의 조직과 국제음악제 준비를 서둘렀으나 교향악단은 결국 조직하지 못했고, 국제음악제도 교향악단원과의 마찰이 심해서 3회 공연에 그치고 말았다. 그후 한국에 정착하기 위한 준비를 하려고 스페인으로 돌아갔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주요작품으로는 〈애국가〉·〈한국환상곡〉 이외에도 〈강천성악 降天聲樂〉(1959)·〈진혼곡〉(1962)·〈논개〉(1962) 등이 있고, 저서로 〈R. 슈트라우스의 전기〉·〈R. 슈트라우스 서한집〉이 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