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방법으로 웹 작업을 하고 계신가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어떤 방법으로 웹 작업을 하고 계신가요? 정보

어떤 방법으로 웹 작업을 하고 계신가요?

본문

저는 aceFTP라는 프로그램을 10년 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애초부터 이 걸 사용해 왔는데 디렉토리를 옮겨 다닐 때 서버랑 클라이언트가 싱크가 되고 업로드 다운로드 버튼이 가운데 있어서 저한테는 이게 완전히 손에 익었습니다.
애초에 웹프로그램을 공부 할 때 책으로 배워서 다른 사람은 어떻게 작업을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회사 다닐 때는 초창기라 정해진 게 없어서 제가 회사 직원들한테 이건 이렇게 저건 저렇게 하라고 가르쳐 주는 입장이여서 실제로 저는 다른 사람이 작업하는 형식을 본적이 없습니다.
오로지 글로...

저는 일단 브라우저 종류별로 실행해 놓고 ftp와 에디트플러스를 실행 시킵니다.
색상을 찍어 올 때는 이클립스팔레트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1. PC에 있는 에디트플러스에서 코딩 작업을 합니다.
2. ftp로 서버에 업로드 합니다.
3. 브라우저에서 f5로 결과를 확인 합니다.
4. goto 1
옛날엔 이게 정석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제가 생각해도 완전 무식한 방법인 거 같습니다.
그래서 남들처럼 svn이나 git 같은거 활용해서 작업하고 싶은데 머리가 돌맹이라서 도무지 이해가 되지도 않고 손에 붙지도 않고...
에디트플러스에 있는 ftp로 서버 파일을 직접 작업해 보기도 했는데 작업을 잘 못 했을 때 롤백이 원위치로 안 되거나 작업 끝나면 매번 백업을 해줘야 하는 게 번거로워서 마찬가지로 원시적인 방법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ㅡ,.ㅡ

다른 분들은 웹 작업 어떻게 하시나요?
추천
0

댓글 6개

저도 같은 방식입니다..
에딧이 편한점이..
이미지 빼곤
작업하고 에딧에서 바로 업로드..
이미지 파일만 업로드 할때 ftp사용.
제일 편합니다.
svn 과 trac 때문에 회사방침상 이클립스를 쓰고 있습니다^^

에딧플도 라이선스 주고 살만큼 즐겨썼는데 요즘은 이클립스가 최고인 것 같네요^^ 메모리 점유율만 빼면...

 그런걸 보면 다른분들 말씀같이 손에 익은게 가장 좋은 개발툴이지 싶습니다
Coda2 를 이용해서.
로컬과 서버 그리고 github와 3개 동기화되고 있는 로컬 작업폴더에서
파일을 수정하고, 로컬서버에서 작업내역을 확인하고, 퍼블리싱합니다. (Coda2에서는 로컬내에서 변경된 파일을 기억하고 있다가 서버와 동기화시켜주는 작업이 있습니다.) 퍼블리싱하면 서버로 업로드되죠.
그리고 일정수준의 수정사항이 모이게 되면, github에 커밋합니다.
이것도 역시 Coda2에서 git버전과 변경된점을 기억하고 있다가 커밋하라고 하면 그간 변경내역을 커밋해주죠.
커밋도 일정부분 쌓이면, 싱크해서 git과 합쳐줍니다. ㅎㅎ
전체 199,661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