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 빨고 IE 대응에 관해서 제 의견을 약간 말씀드리자면,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진지 빨고 IE 대응에 관해서 제 의견을 약간 말씀드리자면, 정보

진지 빨고 IE 대응에 관해서 제 의견을 약간 말씀드리자면,

본문

지운아빠님이 지적한대로 IE 가 현재 이런 상황입니다.

<<< IE6 >>> 빵 
~~~IE7~~~ 양상추 
ooooIE8oooo 토마토 
----IE9----- 치즈 
====IE10==== 햄 
<<<IE11>>> 빵 

농담삼아 하신 얘기겠지만, 사실 매우 정확한 판단이라 생각됩니다.

문제는, 지금이야 개삽질하든 밤을 꼬박세우든 어떻게 해서든 문제 해결들을 보시겠지만,

IE12는요?  13은요? 14은요? ...... IE 18은요?  앞으로 점점더 상황이 복잡해져 갈겁니다.

그래서 오늘도 몇몇 개발자 친구들 (미국 친구들) 하고 이 문제에 관해 얘기를 나눠봤는데, 몇가지 현실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습니다.

node.js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해하시겠지만, 자스를 서버로 올려버리면 이런 브라우져상의 conflict 을 원천적으로 피해갈수 있습니다. 

자스를 서버로 올리는 방식은 node.js 말고도 구글의 V8 엔진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스를 V8 엔진으로 감싸서 서버에서 구동하는 방식이지요.  (여러가지 implementation 이 가능할거고 아직은 통일된 방식이 대두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제 친구/파트너는 nginx 의 reverse proxy 를 이용, 일단 자스를 서버로 올리고 (node.js), 그리고, node.js 의 front 를 nginx 가 처리하는 방식으로 로딩속도문제 (node.js 는 static file 처리 속도가 매우 늦습니다.) 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아무튼 결론은/큰 그림은, 자스를 서버로 올리는 방안이 궁극적인 해결방안이라는데 어느정도 census (잠정적 결론) 가 내려지는 듯 합니다.

지금까지 크로스 브라우징이라고 하면, 크롬, 사파리, 파폭, 그리고 IE, 이런식으로 생각해 왔는데, 앞으로는 IE들 끼리의 충돌해결도 엄청난 문제가 될겁니다.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이걸 해결보려면 이게 앞으로 인간적으로 해결이 불가능할 (humanly impossible) 지경까지 가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 문제는 front-end 개발자 분들이 지금이라도 정말 심각하게 생각해보시고, 단기적이 아닌, 장기적인 해결책 마련을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추천
0

댓글 10개

"node.js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해하시겠지만, 자스를 서버로 올려버리면 이런 브라우져상의 conflict 을 원천적으로 피해갈수 있습니다."

node.js를 사용하지 않아서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자스를 서버에 올리는 것으로 어떻게 크로스 브라우징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지 힌트를 주실 수 있는지요?
자스를 서버에서 rendering 한후 그걸 완성된 형태로 브라우져로 내려보내기 때문에 브라우져 때문에 생기는 conflict 들이 사라집니다.
I think perhaps you should watch this video first.

http://www.youtube.com/watch?v=hWhMKalEicY

Basically, V8 (which node.js uses) is platform-independent & it is compatible with different OS. 

"All the browsers from different OS (mobile, mac, desktop, and laptop) should have same behavior." - according to Lars Bak who created Google's V8 engine.

If you think about it, javascript basically dictates the behavior of a page.  And if your script is using the V8 engine on the server-side, outside of the browser environment, which btw is platform-independent, your outcome should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browser - in theory at least.

That's what my friends & I are getting at.  You can expect the identical behavior regardless of the browser if you are using V8 to render your script. Would you agree?

I've thought about writing this in Korean but there's just no way for me to do it.  Perhaps you can translate my reply in Korean for me so that other can understand.

Thanks.
Thanks for the vid and explanation !
But I still have a problem to understand how V8 engine can solve the cross-browser issues, most of which, I believe, are from rendering HTML/CSS components, not javascripts. Am I wrong?
Maybe 'dc데이터' 내컴퓨터님 mentioned down there is what you're talking about?
dc데이터를 뿌린다구요. 우왕~ 근데 끊김현상 장난아닐거같은데.. 일단 기술을몰라서 자세한 강좌 ~ 기대할게용 ㅎㅎ
한국에는 웹호스팅 사이트가 대부분이라,
node.js 에 대해 모르지만 따로 설치 해야 하는거 아닌지요?

게다가 한서버당 사용하는 cpu 랑 메모리 한계 설정을 해놓기 때문에
서버을 가지고 있는 업체가 아니면....OTL...ㅠㅠ
v8 엔진과 node.js는 개념적으로 틀린걸로 알고 있습니다.
v8 엔진은 클라이언트 기반 렌더링 엔진이며,
node.js는 자바스크립트 성향을 따르는 이벤트 기반의 서버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Node is an open source toolkit for developing server side applications based on the V8 JavaScript engine. Like Node, V8 is written in C++ and is mostly known for being used in Google Chrome.

-----------------------------------------------
이부분 때문에 오해가 있으실것 같아서 node.js는 자바스크립트 해석을 v8 엔진 위에서 작동한다. 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
전체 199,646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