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세율 75프로 통과 정보
프랑스 세율 75프로 통과
본문
연봉이 100만 유료 (한국돈으로15억)이상 버시는분은 세금을 75만유로정도 토해야함...ㅎㄷㄷㄷ
기존세율 45 -> 12월 30일자로 프랑스 연봉 100만유로 이상 75퍼센트 세금법안 통과.
현재 유럽 국가별 최고세율
영국 - 45퍼센트
스페인 - 42퍼센트
독일 - 45퍼센트
이탈리아 - 45퍼센트
현재 유럽 국가별 최고세율
영국 - 45퍼센트
스페인 - 42퍼센트
독일 - 45퍼센트
이탈리아 - 45퍼센트
추천
0
0
댓글 5개

어떻게 살라는거죠??? 신기하네요
그대신 전기세나 의료비 교통비는 다 무료일거 같은 분위기 아니면 말고요 ;;;
그대신 전기세나 의료비 교통비는 다 무료일거 같은 분위기 아니면 말고요 ;;;

독일의 경우, 일단 교육에 관련된 비용이 거의 없습니다.
얼마전 뉴스에서 보셨겟지만, 대학등록금도 최근 한 주를 마지막으로 완전폐지되었습니다.
그런것이 가능한 이유 중 하나가, 대학은 정말 가고 싶은 사람만 가기때문이기도 하고요..
육아부분에서도, 아이를 많이 가질 수록 보조비가 많이 나옵니다.
심지어, 일부 터키인들은 아이들 4-5 정도 나아서 받는 돈으로 벤츠 몰고 다닐 정도고요..
인구가 줄어드는 독일 입장에서는 어쩔수 없는 선택일것 같아요..
의료의 경우, 보험료가 쎄긴 하지만 중병에 걸려서 집이 망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대신 감기등으로 병원에 갔다가는 생각보다 많이 낼 수 있기에, 알아서들 관리 하지요..
하지만 수술하고 한달가량 병원에 입원하더라도 나올때는 우리돈으로 10만원 미만 정도만 내면 되고요.. (물론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작용으로, 독일 자국인들은 의사를 하려하지 않아요..
그래서 외국인 의사도 많이 받고, 의대에 외국인 학생 비율도 높아지는 단점도 있죠..
교통비는.. 엄청 비쌉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유럽사람들은 시내정도는 자전거가 필수이죠.
전기세도.. 음.. 사실 우리나라만큼 전기세, 교통비 등이 싼 나라도 없죠.. 비슷한 생활 수준을 하는 나라와 비교하면요..
기본적으로, 독일의 경우는 알아서 줄일 수 있는 (전기세, 감기등 생활치료비, 교통비 등) 부분에 대해서는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반면,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 (육아, 교육 등) 나 개인이 감당할 수 없는 부분 (중병 치료 등) 에 대해서는, 높은 세율로 받은 재정으로 지원을 충분히 해주는 것 같습니다.
얼마전 뉴스에서 보셨겟지만, 대학등록금도 최근 한 주를 마지막으로 완전폐지되었습니다.
그런것이 가능한 이유 중 하나가, 대학은 정말 가고 싶은 사람만 가기때문이기도 하고요..
육아부분에서도, 아이를 많이 가질 수록 보조비가 많이 나옵니다.
심지어, 일부 터키인들은 아이들 4-5 정도 나아서 받는 돈으로 벤츠 몰고 다닐 정도고요..
인구가 줄어드는 독일 입장에서는 어쩔수 없는 선택일것 같아요..
의료의 경우, 보험료가 쎄긴 하지만 중병에 걸려서 집이 망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대신 감기등으로 병원에 갔다가는 생각보다 많이 낼 수 있기에, 알아서들 관리 하지요..
하지만 수술하고 한달가량 병원에 입원하더라도 나올때는 우리돈으로 10만원 미만 정도만 내면 되고요.. (물론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작용으로, 독일 자국인들은 의사를 하려하지 않아요..
그래서 외국인 의사도 많이 받고, 의대에 외국인 학생 비율도 높아지는 단점도 있죠..
교통비는.. 엄청 비쌉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유럽사람들은 시내정도는 자전거가 필수이죠.
전기세도.. 음.. 사실 우리나라만큼 전기세, 교통비 등이 싼 나라도 없죠.. 비슷한 생활 수준을 하는 나라와 비교하면요..
기본적으로, 독일의 경우는 알아서 줄일 수 있는 (전기세, 감기등 생활치료비, 교통비 등) 부분에 대해서는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반면,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경우 (육아, 교육 등) 나 개인이 감당할 수 없는 부분 (중병 치료 등) 에 대해서는, 높은 세율로 받은 재정으로 지원을 충분히 해주는 것 같습니다.

저도 세금 많이 내고 싶습니다..^^
정치인들 나와서 맨날 하는게 어디 남의나라에서 실패한 것들만 따라 할라고 하고, 성공한 방침은 모르는척 외면하고 만다는거죠. 성공한 사례를 참고삼아 더 개량할 생각을 해야 하는데...남이 하다 실패한걸 우리는 아니겠지 우리는 할 수 있을꺼야 라며 덤비는 꼴이란...지난 몇년간 한두번 봐온게 아니니 말이죠.

쉐어링... 하하.. 우리나라에서 저러자고 하면 바로 빨갱이 소리 나올꺼임.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