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5_URL 과 $g4[path]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G5_URL 과 $g4[path] 정보

G5_URL 과 $g4[path]

본문

절대경로는 서버 내부에서 처리되는 것이 아니고 DNS 조회를 통해 해당 파일을 찾기 때문에 웹문서의 로딩시간이 아주 약간 느려집니다. 
때문에, 홈페이지 내부의 파일을 불러 올 때는 상대경로를 사용하고 외부 사이트의 파일을 불러 올 때는 절대경로를 사용합니다. 
--------------------------------------
위 내용은 제가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만(어느 사이트에 있던 내용입니다)
g5에서는 모든 경로에 도메인주소가 들어가는 url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img src="http://abc.com/data/file/gallery/11.jpg">와 같이 
지금까지 저의 방식으로 볼 때에는 남의 사이트에서 가져오는 것처럼 되어있습니다
g4에서처럼 <img src="../data/file/gallery/11.jpg"> 이렇게 불러오는 것과 차이가 전혀 없을까요?

<a href="http://abc.com/bbs/bord.php?bo_table=abc">게시판</a>
<a href="../bbs/bord.php?bo_table=abc">게시판</a>
위 두 링크는 브라우저에서 서버까지 도달하는데 차이가 없는 것일까요?
두번째 링크는 웬지 브라우저가 방금전 연결되었던 서버로 곧 바로 직행하도록할 것같은 느낌이 드는데요. ㅎㅎ
지금까지는  홈페이지 제작시 언제나 상대경로를 사용했는데 
G5에서 이미지 경로를 도메인주소까지 들어가는 G5_DATA_URL 을 사용하다보니
G5방식이 맞는 것인지 무척이나 궁금하군요
추천
0

댓글 5개

둘다 기본값이라면
G5_URL = Request URL
G5_PATH = 서버에서도 절대경로
$g4[path] = Request URL + 서버에서도 상대경로
그리고 상대경로라도 Request 시에는 도메인이 붙어서 요청됩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
그러니까 브라우저가 서버에 연결해서 소스를 가져온 다음 해석해서 출력할 때
<img src="http://내도메인/img.jpg:> 이렇게 된 것과 <img src="/img.jpg:> 이렇게 된 것을 출력하는 방법이
완전히 같은가요?
제 생각엔 뒤에 것은 연결한 서버에서 곧바로 가져와서 출력하지않을까 그런 생각이듭니다만
아니면 경로가 서버주소와 같으면 dns를 거칠 필요없이 내 서버로 곧바로 연결 되는 것일까요?
Request를 할때 브라우저에서 <img src="http://내도메인/img.jpg> 프로토콜이 붙어 있어니 바로 요청을 보낼꺼구요
<img src="/img.jpg>은 현재창의 URL참조해서 http://브라우저의URL/img.jpg 이런식으로 요청하겠죠?
DNS 캐시는 또 별개의 문제입니다.
제가 K사 회선을 사용한다고 치고 도메인은 kr이라고 치고 네임서버는 미국있는  N으로 되있다고 치고 서버는 한국에 있다고 칩시다
그럼 일단 도메인을 치면 K사 DNS 서버에 접속해서 캐시에 있는지 검사하고 없다면 도메인이 KR이니 KRNIC로 이 도메인의 서버 나도 몰라 미국 N으로 되있네 여기로 물어봐 그럼 다시 K사 DNS는 N사에 요청하면 해당 서버의 IP을 알려주면 또 그기로 요청보내서 살아있다면 img.jpg것 좀 처리해서 보내줘라고 하면 처리결과가 있다면 보내주겠고 없다면  서버설정 응답을 하겠죠

자세한 사항은 아래 사이트로 확인해보세요
http://dns.kisa.or.kr/jsp/dns/dnsInfo/dnsInfo.jsp
http://pet2r.tistory.com/131
http://mxtoolbox.com/DNSLookup.aspx 해외 DNS lookup 사이트
구글링을 해보니 이런 말이 있군요
Relative URL
상대경로는 현재 웹 페이지와 연결하고자 하는 링크의 대상이 같은 서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경로(pathname)만으로 구성된다. 
이는 현재 웹페이지 안에서 찾아가기 때문에 굳이 대상 페이지를 url형태로 적을 필요가 없으며
체감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실제 속도에서도 차이가 있다
---------------------
상대경로의 문서 요청시 브라우저의 캐시에서 찾아올 수도 있으므로 속도가 빠를 수 있다는 말 같은데..
dns 영향보다 브라우저 캐시 영향이 더 크겠네요
좀더 찾아봐야 겠군요
http://blog.pages.kr/254 이문서랑
크롬사용하시면 개발자도구(F12)여시고 status text 한번 봐보시고 프로토콜의 원리를 한번 생각하보시길 바랍니다.
계속 이러시면 상처받습니다 ㅠ_ㅠ
전체 199,647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