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사이트 만들때 이런 바보 짓하지 마세요 -.,-;; 정보
웹 사이트 만들때 이런 바보 짓하지 마세요 -.,-;;본문
저는 온라인 매체 운영 중에 있는데, 저희 사이트를 데스크탑 버전 기준으로 보면
구글 페이지 스피드 88점, GTmetrix Page Speed 96점, Yslow 90점입니다.
게다가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제외한 서버 응답 시간은 2~3ms입니다.
그런데 실제 웹 페이지 개 쓰레기 같이 느립니다;;
제가 전문가는 아닌데 대충 제가 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제가 사용한 워드프레스 테마 자체가 호구.., 빠른 속도를 원한다면 커스텀 따위 말고 아예 첨부터 제작을;;
제가 사용한 워드프레스 테마에 기본 사용된 메인 페이지의 슬라이더가 미쳤는지 메뉴 바로 밑에 있는데 내부 콘텐츠중 제일 늦게 뜨더군요. 환장할 노릇이죠...
그 이유는... 좀 전에 타임라인을 보니까... 이전, 다음 버튼 이미지가 슬라이더랑 같이 로드가 되야하는데, 안드로메다 끝에서 로드되고 있는;; 이런 경우는 어떻게 먼저 로드되도록 수 있는건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css 파일안에 링크가 박혀있던데...
게다가 전문가분이 이걸 보고 이건 너무 방대하게 더러워서 손 댈 수는 있겠지만 차라리 새로 짜는게 낫겠다고;;
거기에다가 마크업 언어도 제대로 배워본적 없는 제가 커스텀이랍시고 이것저것 덕지덕지 했으니 말 다했죠;;
2. 외부 서비스 연동
메인 페이지에는 애드센스, 구글 플러스, 애드 디스가 로드되고 있고, Load Event Fired(크롬 네트워크 타임라인의 빨간줄)가 500ms에서 끝나는데 외부 서비스는 5초까지 로드되고 있구요.
아티클 페이지에는 애드센스,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디스쿼스, 애드 디스가 로드 되고 있는데, Load Event Fired는 1초미만이지만 모두 로드하는데 10초가 걸립니다...
추천
0
0
댓글 6개

속도 테스트는 테스트하는 서버을 기준으로 일반적인 평균이지 절대적인게 아닌게 맞습니다만
기준을 운영자 입장에서 판단하는건 아니고, 평균입니다.
테스트해주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좀더 최적화 시키는데 집중하는것이구요
100% 신뢰하는것 자체가 문제가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1) 워드 프레스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cm_free&wr_id=971576&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page=2
저걸 다 메모리에 상주 시키니 말 다 한거죠..저 그림도 4/5 만 그린겁니다....
시간이 가면 갈수록 느려질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최소한 조금만 더 느리게 하려면
테이블 따로 만드는 로직으로 PlugIN 을 개발해야 하더군요.
그래서, 분석하다가 말았습니다...
2) 저 같은 경우 그런 특이한 사항을 부딛치지 못해서 모르겠습니다만
에드센스나 타 포탈의 연동 부분은 사용자의 PC 와 서버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건 경우의 수가 많아서 운영자분의 PC 와 몇몇 PC 에 문제가 발견 된다면 하나씩 추적해보는 방법외에는 없구요.
( 서버문제도 있고, 서버와 네트워크 문제도 있고.. )
기준을 운영자 입장에서 판단하는건 아니고, 평균입니다.
테스트해주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좀더 최적화 시키는데 집중하는것이구요
100% 신뢰하는것 자체가 문제가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1) 워드 프레스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cm_free&wr_id=971576&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page=2
저걸 다 메모리에 상주 시키니 말 다 한거죠..저 그림도 4/5 만 그린겁니다....
시간이 가면 갈수록 느려질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최소한 조금만 더 느리게 하려면
테이블 따로 만드는 로직으로 PlugIN 을 개발해야 하더군요.
그래서, 분석하다가 말았습니다...
2) 저 같은 경우 그런 특이한 사항을 부딛치지 못해서 모르겠습니다만
에드센스나 타 포탈의 연동 부분은 사용자의 PC 와 서버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건 경우의 수가 많아서 운영자분의 PC 와 몇몇 PC 에 문제가 발견 된다면 하나씩 추적해보는 방법외에는 없구요.
( 서버문제도 있고, 서버와 네트워크 문제도 있고.. )
1. 워드프레스 응답 속도 문제 부분은 어차피 저희 사이트가 HTML 캐싱을 하기 때문에 상관이 없고, 캐싱이 된 후에는 실제로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와도 PHP 처리는 없습니다.
뭔가 주저리 주저리 썼는데 한 마디로 하면, 백엔드 속도가 문제가 아니라 프론트 엔드 속도가 문제였다는 것이죠 ㅎㅎ
2. 이건 결국 내부 서버에서 별도 캐싱을 하지 않으면 속도 향상이 힘들겠더군요. 리뉴얼에 대비해 해결책은 찾아보고 있으나 쉽지 않은 문제더군요.
워드프레스, 사실 별로 쓰고 싶지 않지만 Python 같은 개발기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걸리는 언어로 제작해도 워드프레스의 CMS로서의 기능을 구현하려면 예산 문제가 있을 듯 싶네요.
뭔가 주저리 주저리 썼는데 한 마디로 하면, 백엔드 속도가 문제가 아니라 프론트 엔드 속도가 문제였다는 것이죠 ㅎㅎ
2. 이건 결국 내부 서버에서 별도 캐싱을 하지 않으면 속도 향상이 힘들겠더군요. 리뉴얼에 대비해 해결책은 찾아보고 있으나 쉽지 않은 문제더군요.
워드프레스, 사실 별로 쓰고 싶지 않지만 Python 같은 개발기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걸리는 언어로 제작해도 워드프레스의 CMS로서의 기능을 구현하려면 예산 문제가 있을 듯 싶네요.

제가 궁금해서 그런데요
1) 한번 캐싱하고 관리 모드 같은곳에서 다시 캐싱하게 하시나요?
아니면 web 서버 start 할때 메모리에 캐싱하시는건지요?
보통은 방문자가 접속했를때 몇분 단위로 캐싱하는 로직을 보통 쓰는데, 이럴 경우 제가 단글의 이미지처럼
페이지 생성시 기본이 하나의 테이블에서 다 불러 들이면서 저 로직을 다 돌리기에
사용자가 조금 있는 사이트라도 swap 까지도 넘칠것이라 추측하고 있었습니다.
( 아무리 메모리 사용한다해도 record 가 좀 있고, 접속자가 있다면 버벅일것이라 생각 )
2) 트위터, 애드센스은 기본으로 openapi 로 연동해서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었구요
다이렉트로 메모리에 상주 시키는건 너무 많을것 같아 ( 단 방방한 서버라면 제외하구요 )
중간에 프로그램으로 일정 시간마다 자체 운영서버에 저장시키고
그걸 보여준다면 가능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직접 해보지 않았고, 옆에서 본것이 떠올라 적어요....( 이때 답답함....)
웹 분야에서 상품성으로 따진다면
투입인력 대비 산출물로 php 만큼 빠른건 없다고 생각하구요
소수 인력으로 직접 개발자가 큰 대형 사이트 및 사용자을 대상으로 개발한다면
jsp 을 이용한 framework 으로 하는게 더 낳다고 생각하는 초보자입니다......ㅋ...
어떤 용도의 사이트을 개발하느냐에 따라 같은 언어라도 방향이 틀리는것 같아요
1) 한번 캐싱하고 관리 모드 같은곳에서 다시 캐싱하게 하시나요?
아니면 web 서버 start 할때 메모리에 캐싱하시는건지요?
보통은 방문자가 접속했를때 몇분 단위로 캐싱하는 로직을 보통 쓰는데, 이럴 경우 제가 단글의 이미지처럼
페이지 생성시 기본이 하나의 테이블에서 다 불러 들이면서 저 로직을 다 돌리기에
사용자가 조금 있는 사이트라도 swap 까지도 넘칠것이라 추측하고 있었습니다.
( 아무리 메모리 사용한다해도 record 가 좀 있고, 접속자가 있다면 버벅일것이라 생각 )
2) 트위터, 애드센스은 기본으로 openapi 로 연동해서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었구요
다이렉트로 메모리에 상주 시키는건 너무 많을것 같아 ( 단 방방한 서버라면 제외하구요 )
중간에 프로그램으로 일정 시간마다 자체 운영서버에 저장시키고
그걸 보여준다면 가능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직접 해보지 않았고, 옆에서 본것이 떠올라 적어요....( 이때 답답함....)
웹 분야에서 상품성으로 따진다면
투입인력 대비 산출물로 php 만큼 빠른건 없다고 생각하구요
소수 인력으로 직접 개발자가 큰 대형 사이트 및 사용자을 대상으로 개발한다면
jsp 을 이용한 framework 으로 하는게 더 낳다고 생각하는 초보자입니다......ㅋ...
어떤 용도의 사이트을 개발하느냐에 따라 같은 언어라도 방향이 틀리는것 같아요
1. 워드프레스 순정 상태에서는 서버 응답이 거의 600~700ms 수준이기 때문에, 속도 개선 및 서버 효율 개선을 위해 Revers Proxy로 동작하는 Varinsh Cache 처리를 하고, 글 수정시에는 해당 URL Purge, 글 추가시에는 메인 Purge하게 됩니다. 캐싱이 안된 페이지는 최초 접속시는 지연시간이 좀 있지만 프론트엔드 속도에 비하면 아주 아주 양호합니다 ㅋㅋ
2. 애드센스는 실시간 입찰 방식이기 때문에 힘들 듯 하고...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등은 서버에서 캐싱이 가능할 것 같고, 디스쿼스소셜 댓글이나 애드 디스 소셜 공유 등은 나중에 그냥 자체적으로 구현하는게 나을 듯 싶어요.
2. 애드센스는 실시간 입찰 방식이기 때문에 힘들 듯 하고...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등은 서버에서 캐싱이 가능할 것 같고, 디스쿼스소셜 댓글이나 애드 디스 소셜 공유 등은 나중에 그냥 자체적으로 구현하는게 나을 듯 싶어요.

본글의 테스트에 대한 글을 보고 적은거였는데, 더 많은 수확을 제가 얻어서..
방금 위에 적어 주신 뎃글 어디다 북마크 해놓고 싶습니다...^-^
그럼, 워프 문제가 아니고, 스크립트 문제라는 말씀이신거죠?
제가 난독증이 이리 심하다니......ㅠㅠ
방금 위에 적어 주신 뎃글 어디다 북마크 해놓고 싶습니다...^-^
그럼, 워프 문제가 아니고, 스크립트 문제라는 말씀이신거죠?
제가 난독증이 이리 심하다니......ㅠㅠ
네 그렇죠 ㅎㅎ
리뉴얼하면서 디자인 다시 만들때는 아예 워드프레스 계층 구조 무시하고 일반 사이트처럼 파일 하나로 개발해야되나 싶네요. 워드프레스의 CMS 기능이 필요한거지, 느려터진 강력함 따위는 필요없...ㅠㅠ
리뉴얼하면서 디자인 다시 만들때는 아예 워드프레스 계층 구조 무시하고 일반 사이트처럼 파일 하나로 개발해야되나 싶네요. 워드프레스의 CMS 기능이 필요한거지, 느려터진 강력함 따위는 필요없...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