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서버호스팅 vs 해외 클라우드 호스팅 고민입니다. 정보
국내 서버호스팅 vs 해외 클라우드 호스팅 고민입니다.본문
닷넷으로 만든 서비스를 호스팅할려고 하는데 단독 서버 호스팅과 ms 애저 클라우드를 생각하고있습니다.
1. 단독 서버 호스팅
장점
클라우드에 비해 저렴
내 서비스의 리소스들이 내꺼라는 기분이 든다
국내 선을 이용하여 국내에서는 속도가 빠르다
단점
서버관리나 확장시 공수가 좀 들어간다
ddos 공격에 취약할수있다
2. ms 애저 클라우드
장점
간편한 설정으로 서버구축이 가능 및 서버관리가 편리하다
단독 서버호스팅에 비해 안전성이 뛰어남 99.999 프로의 가동률을 보임
닷넷으로 개발된 서비스에 최적화
단점
요금이 비싸다.
해외망이기 때문에 미디어의 cdn 은 필수로 해야한다
내 서비스의 리소스들이 내것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
클라우드에 맞게 소스를 재수정해야한다 ( 예) 파일업로드시 hdd disk방식인데 클라우드 blob 스토리지 업로드로 바꿔야함
여러분의 의견은 어때요?
추천
0
0
댓글 5개

국내 VPS 나 클라우드 쓰세요.
단독 서버 호스팅이 빠른가요??
KT 에서 유클라우드 비즈라고 하는 클라우드 호스팅을 진행 중이니까
거기로 함 가보시는건 어떠신지?
써보시고 저 좀 알려주세요..ㅋㅋ
KT 에서 유클라우드 비즈라고 하는 클라우드 호스팅을 진행 중이니까
거기로 함 가보시는건 어떠신지?
써보시고 저 좀 알려주세요..ㅋㅋ
해외를 써도 아무데나 쓰시면 곤란합니다. http://lowendtalk.com 에서 프로모션 상품을 찾아보시고 cloudflare를 적용하시는게 훨 낫습니다. 만약 SSL 적용을 해야된다면 cloudflare에서 pro플랜을 이용하시면 와일드카드로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쓰는건 오직
자동으로 자원을 줄였다 늘렸다 쓸수 있어서 그 기능 안쓸거면
단독 호스팅쓰는게 좋아요.
자동으로 자원을 줄였다 늘렸다 쓸수 있어서 그 기능 안쓸거면
단독 호스팅쓰는게 좋아요.
저도 윗분들 생각에 동의하지만 윈도우애저 vm 서비스로 생각 굳혔습니다.
제 서비스가 윈도우 플랫폼으로 개발되었고
MS비즈스파크로 가입하면 윈도우 애저 사용료 18만원정도가 지원 받을 생각이고 (18만원이면 2코어 vm 가격)
오늘 기사 보니 ms 가 부산에 10조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짓는다고하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브라우저 빼고 ms 계열 제품을 좋아해서요...
제 서비스가 윈도우 플랫폼으로 개발되었고
MS비즈스파크로 가입하면 윈도우 애저 사용료 18만원정도가 지원 받을 생각이고 (18만원이면 2코어 vm 가격)
오늘 기사 보니 ms 가 부산에 10조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짓는다고하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브라우저 빼고 ms 계열 제품을 좋아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