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의뢰받으실때.. 어떻게 작업하시나요? 정보
개발 의뢰받으실때.. 어떻게 작업하시나요?본문
음.. 뭐라고 해야할라나;
개발 의뢰를 받으면.. 처음에 가격을 정하고
작업을 다 합니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처음 약속한 가격을 받구요.
그 후에 수정할게 있으면.. 돈 더 안받고 해줍니다.
전혀 상관없이 새로 추가하는거라두요. (새 페이지 추가, 프로그램 수정 등)
뭐.. 처음에는 이정도야 뭐 별거 아니니 그냥 해주자~ 라는 맘이었는데
그게 점점 쌓이다보니까 내가 옳게 하는게 맞나... 생각이 들더라구요.
한번 개발 맡긴다음에 그담부터 계속 맡기니까.. 무보수로.. ㅡ.ㅡ;
음... 여러분은 개발 의뢰 받으실때 어떻게 하는지 궁금한데요..
1. 가격 협상하시고 어떤식으로 입금 받으시나요?
2. 작업 완료 후 추가 작업시 돈을 받으시나요?
3. 딱딱 정확하게 입금을 요구하시나요? 아니면 뭐 이정도야.. 하면서 그냥 해주시나요?
궁금합니다. ㅠㅠ
개발 의뢰를 받으면.. 처음에 가격을 정하고
작업을 다 합니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처음 약속한 가격을 받구요.
그 후에 수정할게 있으면.. 돈 더 안받고 해줍니다.
전혀 상관없이 새로 추가하는거라두요. (새 페이지 추가, 프로그램 수정 등)
뭐.. 처음에는 이정도야 뭐 별거 아니니 그냥 해주자~ 라는 맘이었는데
그게 점점 쌓이다보니까 내가 옳게 하는게 맞나... 생각이 들더라구요.
한번 개발 맡긴다음에 그담부터 계속 맡기니까.. 무보수로.. ㅡ.ㅡ;
음... 여러분은 개발 의뢰 받으실때 어떻게 하는지 궁금한데요..
1. 가격 협상하시고 어떤식으로 입금 받으시나요?
2. 작업 완료 후 추가 작업시 돈을 받으시나요?
3. 딱딱 정확하게 입금을 요구하시나요? 아니면 뭐 이정도야.. 하면서 그냥 해주시나요?
궁금합니다. ㅠㅠ
댓글 전체
그냥 해줘야 하는 부분과 그냥 해줄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 클라이언트를 설득해야 합니다.
그리고 고객이 요구하는 부분을 빨리 캐치하여 이해할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고객이 원하지 않는 기능을 만들고선 추가 비용을 얘기해서는 안되는것입니다.
그리고, 고객이 잘 모르는것같아 거짓말을 해서도 안됩니다. 한가지는 속을수 있지만, 한가지는 알아챌수도 있습니다.(이정도 가면 신뢰는 무너졌다고 봐야죠)
그리고 고객이 요구하는 부분을 빨리 캐치하여 이해할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고객이 원하지 않는 기능을 만들고선 추가 비용을 얘기해서는 안되는것입니다.
그리고, 고객이 잘 모르는것같아 거짓말을 해서도 안됩니다. 한가지는 속을수 있지만, 한가지는 알아챌수도 있습니다.(이정도 가면 신뢰는 무너졌다고 봐야죠)
개발자 개개인의 철학(?)이라던가 각각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군요.
경험을 쌓아나가며 나만의 방식을 찾는게 중요할거 같습니다.
고객을 속여서도 안되겠구요.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ㅎㅎㅎ
경험을 쌓아나가며 나만의 방식을 찾는게 중요할거 같습니다.
고객을 속여서도 안되겠구요.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ㅎㅎㅎ
사실 객관적으로 하는게 좋죠.
좀 딱딱해 보여도.. 그게 분쟁이 줄어드는 길입니다. 경험 상....
저는.. 솔직히.. 좀 약한 작업은 걍 해드립니다.
때론...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ㅠ_ㅠ 근데.. 이거 피곤하므로 비추천..
어떤 분은 새벽에도 전화 하시더라구요...
일은 일이라는.. 선을 분명히 해주는 것도 필요한 듯..
가끔... 잘해드리면.. 그냥.. 계약 끝나고 나서도.. 갑자기 돈을 부쳐오는 신기한 분들..
선물을 보내오시는 신기한 분들도 계심..
돈 띠먹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 반면 말이죠..
전.. 칼 같이 하는게 원칙이지만.. 아직은 두리뭉실함.
때문에.. 플러스 되는 것도 많고.. 마이너스도 은근히 있는거 같습니다.
단.. 계약서는 철두철미하게 작성해야합니다. 이건 다들 아실 듯...
좀 딱딱해 보여도.. 그게 분쟁이 줄어드는 길입니다. 경험 상....
저는.. 솔직히.. 좀 약한 작업은 걍 해드립니다.
때론...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ㅠ_ㅠ 근데.. 이거 피곤하므로 비추천..
어떤 분은 새벽에도 전화 하시더라구요...
일은 일이라는.. 선을 분명히 해주는 것도 필요한 듯..
가끔... 잘해드리면.. 그냥.. 계약 끝나고 나서도.. 갑자기 돈을 부쳐오는 신기한 분들..
선물을 보내오시는 신기한 분들도 계심..
돈 띠먹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 반면 말이죠..
전.. 칼 같이 하는게 원칙이지만.. 아직은 두리뭉실함.
때문에.. 플러스 되는 것도 많고.. 마이너스도 은근히 있는거 같습니다.
단.. 계약서는 철두철미하게 작성해야합니다. 이건 다들 아실 듯...
정확하게 그러나 융통성있게 ㅎㅎ
그런데 계약서는 큰 금액 아니면 작성을 안하게되던데... 고객이 귀찮아하는거같아서.. ㅡ.ㅡ; 금액이 작을경우도 계약서 받으시나요?
그런데 계약서는 큰 금액 아니면 작성을 안하게되던데... 고객이 귀찮아하는거같아서.. ㅡ.ㅡ; 금액이 작을경우도 계약서 받으시나요?
100 미만은 전액 선불.
계약서를 설령 안쓰더라도.. text 작성해서 메일로라도 해서 서로 확정해놔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뒤에 말이 많은 경우가 많죠..
전화도 좋지만.. 메일 등을 이용해서 근거 자료를 충분히 남겨두는게 여러모로 좋죠.
질문 형식으로 해서.. 답변을 하여 자신이 한 것을 서면상 남겨버려야합니다.
그러면 분쟁은 줄어들죠..
계약서도 없고.. 이런 것에도 소홀히 하면 정말............... 바보됩니다.
아시죠? ㅠ_ㅠ
계약서를 설령 안쓰더라도.. text 작성해서 메일로라도 해서 서로 확정해놔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뒤에 말이 많은 경우가 많죠..
전화도 좋지만.. 메일 등을 이용해서 근거 자료를 충분히 남겨두는게 여러모로 좋죠.
질문 형식으로 해서.. 답변을 하여 자신이 한 것을 서면상 남겨버려야합니다.
그러면 분쟁은 줄어들죠..
계약서도 없고.. 이런 것에도 소홀히 하면 정말............... 바보됩니다.
아시죠? ㅠ_ㅠ
저도 제작의뢰 덕분에(?) 제대로 피본경험이 잇는데여.....
모든건 계약서상으로 남겨주시면 좋습니다.
추후 보수나 유지등등의 관한 내용도 같이 넣어두시면 나중에 분쟁을 줄이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모든건 계약서상으로 남겨주시면 좋습니다.
추후 보수나 유지등등의 관한 내용도 같이 넣어두시면 나중에 분쟁을 줄이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 계약서가 없더라도 작업 일정표는 작성후 체크받습니다.
계약서에 첨부문서로 작업 일정 포함시킵니다.
작업 일정은 알기 쉽게 표로 작성합니다.
* 이 부분은 간략히 누가봐도 알기 쉽게 작성
포함시킨것을 보여 주면서 작업일정과 내용에 대해 미리 안내해 줍니다.
(일정을 안내해주고 지키는 것은 상당한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
작업일정에는 클라언트의 체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시안후, 프로그램밍등 후, 자료등록 후 등등.. 간략히..)
* 중요 : 이 과정을 거쳐 작업을 하는데.. 보통 소규모 작업에서는 선불을.. 중간급 작업에서는
작업비를 받고 시작후 프로그래밍 후 자료등록 이전에 완불받습니다.
다음 서버이전후 자료등록을 합니다.
완불 받지 못한 상황에서는 자료등록과 서버이전을 해주지 않습니다.
* 반드시 작업은 본인 서버에서 그리고, 소규모 작업에서도 고객이 원하면 중간급 작업과 동일하게
작업비 완료비로 나누어 받습니다.
* 작업 일정과 내용에서 벗어난 것들이 중간 또는 완료후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고객은 작업 내용을 벗어난 것을 알게 되어 있습니다. 간단한 것은 무료로 해줍니다.
이것도 역시 작업 일정표 뒤에 무료로 작업해준 내용을 기록해 둡니다.
여러번 반복 될 경우 기록해 둔 것을 보여주면서 추가 견적을 타진합니다.
( 추가 작업은 사실상 작업 내용에 따라 자세히 견적표를 만들어 두셔야 하지만..
보통 소규모 작업이나 프리랜서분들 작은 에이전시에서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럴때는 작업요청한 것과 작업한것을 반드시 기록해 두었다가 고객을 이해 시키고 추가
금액을 받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말로써는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구요..)
마지막으로 작업 일정표는 자신의 작업스타일이나 의뢰자의 유형에 따라.. 노하우가 쌓인다면..
적절한 표를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작업은 고객에게 신뢰를 얻기 위함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작업표를 보여주면서
이러니까.. 돈을 내셔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홈이 만들어 졌습니다.
무상으로도 이런 이런 작업들을 했습니다. 무상작업이 많아 질경우에는 이런 이런 유지보수
방법이 있는데 어떤 것을 선택하시겠습까.. 의 식으로 상냥하고 시스템적인 대응을 하시면
인정 없다는 소리를 듣지 않고도 돈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_______^ 좀 길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일정표를 만들어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계약서에 첨부문서로 작업 일정 포함시킵니다.
작업 일정은 알기 쉽게 표로 작성합니다.
* 이 부분은 간략히 누가봐도 알기 쉽게 작성
포함시킨것을 보여 주면서 작업일정과 내용에 대해 미리 안내해 줍니다.
(일정을 안내해주고 지키는 것은 상당한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
작업일정에는 클라언트의 체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시안후, 프로그램밍등 후, 자료등록 후 등등.. 간략히..)
* 중요 : 이 과정을 거쳐 작업을 하는데.. 보통 소규모 작업에서는 선불을.. 중간급 작업에서는
작업비를 받고 시작후 프로그래밍 후 자료등록 이전에 완불받습니다.
다음 서버이전후 자료등록을 합니다.
완불 받지 못한 상황에서는 자료등록과 서버이전을 해주지 않습니다.
* 반드시 작업은 본인 서버에서 그리고, 소규모 작업에서도 고객이 원하면 중간급 작업과 동일하게
작업비 완료비로 나누어 받습니다.
* 작업 일정과 내용에서 벗어난 것들이 중간 또는 완료후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고객은 작업 내용을 벗어난 것을 알게 되어 있습니다. 간단한 것은 무료로 해줍니다.
이것도 역시 작업 일정표 뒤에 무료로 작업해준 내용을 기록해 둡니다.
여러번 반복 될 경우 기록해 둔 것을 보여주면서 추가 견적을 타진합니다.
( 추가 작업은 사실상 작업 내용에 따라 자세히 견적표를 만들어 두셔야 하지만..
보통 소규모 작업이나 프리랜서분들 작은 에이전시에서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럴때는 작업요청한 것과 작업한것을 반드시 기록해 두었다가 고객을 이해 시키고 추가
금액을 받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말로써는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구요..)
마지막으로 작업 일정표는 자신의 작업스타일이나 의뢰자의 유형에 따라.. 노하우가 쌓인다면..
적절한 표를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작업은 고객에게 신뢰를 얻기 위함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작업표를 보여주면서
이러니까.. 돈을 내셔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홈이 만들어 졌습니다.
무상으로도 이런 이런 작업들을 했습니다. 무상작업이 많아 질경우에는 이런 이런 유지보수
방법이 있는데 어떤 것을 선택하시겠습까.. 의 식으로 상냥하고 시스템적인 대응을 하시면
인정 없다는 소리를 듣지 않고도 돈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_______^ 좀 길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일정표를 만들어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모든걸.. 객관적으로 판단하시는게 좋은거라 생각됩니다..^^;;
계획표나 일정표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지만.. 계속 들어 주다보면 그거두 힘들죠 ㅎㅎ
계획표나 일정표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지만.. 계속 들어 주다보면 그거두 힘들죠 ㅎㅎ
저도 요즘 그부분에 고민이 많습니다.간단하니까 그냥 해주고, 돈 만원 이만원 달라기 뭐해서
그냥 해주다보니..
그간 홈피작업한게 꽤 되는데..하루 한통화 이상씩 수정요청 전화가 오네요
돈을 안받는다는걸 아니까, 어려워 하지 않고 오히려 언제 언제까지 해달라고 합니다
돈 만원이라도 받아야 하나..ㅡㅡ;
그냥 해주다보니..
그간 홈피작업한게 꽤 되는데..하루 한통화 이상씩 수정요청 전화가 오네요
돈을 안받는다는걸 아니까, 어려워 하지 않고 오히려 언제 언제까지 해달라고 합니다
돈 만원이라도 받아야 하나..ㅡㅡ;